맨위로가기

일본국유철도 485계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일본국유철도 485계 전동차는 1964년부터 1979년까지 제작된 교류/직류 겸용 특급형 전동차이다. 151계, 161계, 181계 전동차의 뒤를 이어 일본 국철의 특급 열차 노선망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485계는 1500V 직류, 20kV 교류(50/60Hz)의 세 가지 전원 방식에 대응하여, 전국 각지의 전철화 노선에서 운행할 수 있었다. 485계는 481계, 483계, 489계 등 다양한 파생 모델을 파생시켰으며, 1968년부터 2011년까지 홋카이도, 동일본, 서일본, 큐슈 지역에서 다양한 특급 열차에 투입되었다. 485계는 다양한 개조를 거쳐 조이풀 트레인으로도 활용되었으며, 2022년 12월 28일 모든 차량이 폐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큐슈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신칸센 N700계 전동차는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하여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수송력 증강과 속도 향상을 목표로 틸팅 시스템을 통해 곡선 구간에서의 속도 저하를 최소화하고 승차감을 개선한 고속철도 차량으로, 최고 영업 속도 300km/h로 노조미, 히카리, 코다마 등 다양한 등급으로 운행되며 산요·규슈 신칸센 직통 운행을 위한 8량 편성 모델도 존재한다.
  • 큐슈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일본국유철도 415계 전동차
    일본국유철도 415계 전동차는 1971년부터 1991년까지 제작된 교직류 겸용 통근형 전동차이며, 다양한 모델이 존재하고 조반선과 규슈 지역에서 운행되었으며, 현재는 JR 큐슈에서 일부 차량이 운행 중이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고속화를 위해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신칸센 700계 전동차는 0계 및 100계 전동차를 대체하여 1999년부터 최고 속도 285km/h로 운행되었으며, 노조미, 히카리, 히카리 레일스타 등으로 운행된 다양한 모델이 있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신칸센 500계 전동차
    신칸센 500계 전동차는 서일본여객철도가 개발한 최고 속도 300km/h의 신칸센 차량으로, 독특한 공기역학적 디자인과 원통형 차체가 특징이며, 현재는 코다마 등급으로 운행되거나 특별 테마 열차 및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 일본국유철도의 철도 차량 - 일본국유철도 C51형 증기 기관차
    일본국유철도 C51형 증기 기관차는 일본 최초의 퍼시픽형 축 배치를 채용한 여객용 증기 기관차로, 1919년부터 1928년까지 289량이 제작되어 도카이도 본선 등에서 활약했으며, 일부는 중국으로 공출, 현재 4량이 철도 박물관 등에 보존되고 있다.
  • 일본국유철도의 철도 차량 -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는 국철에서 노후화된 113계 및 115계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통근형 전동차로, 스테인리스 차체, 볼스터리스 대차, 회생 제동 시스템 등을 채택하여 효율성을 높였으며, 국철 민영화 이후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서 운용되었고, JR 도카이에서는 315계 도입으로 퇴역 후 일부 차량이 산기 철도로 양도될 예정이다.
일본국유철도 485계 전동차
개요
1998년 8월 조반선 히타치 운행 당시의 오리지널
1998년 8월 조반선 히타치 운행 당시의 오리지널 "보닛 스타일" 485계 열차
서비스 기간1964년–2022년
제조사히타치 제작소
가와사키 중공업
긴키 차량
기샤 세이조
닛폰 차량
도큐 차량
대체 대상KiHa 80계
KiHa 58계
제작 년도1964년–1987년
서비스 개시1964년 12월 25일
개조1999년–2006년
폐차 년도1985년 (481계)
총 제작 차량 수1,453량
폐차 차량 수1,312량 (나머지 116량은 183계로 개조됨)
보존 차량 수6량 및 1개의 운전실 끝부분
후속 열차253계
683계
651계
E653계
E751계
787계
789계
781계
운영 회사일본국유철도 (1964년–1987년)
동일본 여객철도 (1987년–2022년)
서일본 여객철도 (1987년–2011년)
규슈 여객철도 (1987년–2015년)
노선다양
차체강철
차량 길이20 m (65 ft 7 in)
최대 속도120 km/h (일반)
130 km/h (고세이 선)
140 km/h (쓰가루 해협선)
견인저항 제어
전기 시스템직류 1,500 V / 교류 20 kV (60 Hz) (481계)
직류 1,500 V / 교류 20 kV (50 Hz) (483계)
직류 1,500 V / 교류 20 kV (50/60 Hz) (485계)
집전 방식가선
대차DT32, TR69
제동 장치발전 제동, 전기 공기 브레이크
보안 장치ATS-S
ATS-P
ATC (485-3000계만 해당)
도부 ATS (닛코) 세트에만 해당
상세 정보
제조 회사가와사키 차량 →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가사도 사업소
일본차량제조
도큐 차량제조
기차 제조
긴키 차량
제조 년도1964년 - 1979년
총 생산량1453량
전기 방식직류 1500 V, 교류 20000 V (50 Hz・60 Hz)
최고 운행 속도120 km/h
설계 최고 속도160 km/h
기동 가속도1.3 km/h/s (MT비 1:1) - 1.6 km/h/s (MT비 2:1)
차체 재질보통강
대차DT32・TR69, 인다이렉트 마운트 공기 용수철 대차
주전동기MT54형 직류 직권 전동기
주전동기 출력120 kW × 4축
구동 방식중공축 평행 카르단 구동 방식
기어비22:77 (1:3.50)
정격 속도72.0 km/h (전계자), 116.0 km/h (40 % 계자)
제어 방식저항 제어・직병렬 조합세・약계자
제어 장치CS15계 제어기
제동 장치발전 제동 병용 전자 직통 제동, 억속 제동
보안 장치ATS-S (등장시), ATS-P (일부), ATC-L (3000번대 일부), 도부 ATS (일부)
비고기본값. 고세이 선・호쿠호쿠 선에서 130km/h, 쓰가루 해협선에서 140km/h 운행을 실시함.
운용 개시1964년 12월 25일
정기 운행 종료2017년 3월 3일
임시 운행 종료2022년 12월 11일

2. 개발 배경 및 도입

151계(구 20계 전동차)는 국철 최초의 특급형 직류 전동차로, 1958년 11월 1일부터 도쿄 - 오사카·고베 간 특급 "고다마"로 운전을 시작했다. 151계와 거의 동시에 급행형인 153계(구 91계)도 도쿄 - 나고야·오가키 간 준급 "도카이"에 투입되었다.

교류 직류 전동차로는 급행형인 451계가 1962년 10월 1일부터 우에노 - 센다이 간 급행 "미야기노"로 운전을 시작했지만, 특급형은 당초 151계 전동차를 교류 직류 사양으로 개조하여 신규 투입하는 것이 검토되었으며, 451계 전동차와 동시에 우에노 - 센다이 간의 특급으로 투입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으로 잉여가 되는 151계 전동차에 교류 직류화 개조를 실시하는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7], 기존 차량을 활용하는 배려에서 신규 제작 계획은 동결되었다. 하지만, 신칸센의 개업을 계기로 방침이 특급 열차망 정비로 재전환되어, 151계 전동차의 교류 직류화 개조는 보류되었고, 산요 본선이나 조에쓰선으로 전용되었다.

이 결과, 한 번 보류되었던 교류 직류 특급형 전동차 신규 제작 계획이 재개되었다. 1964년 12월 25일부터는 호쿠리쿠 본선 계통에서 교류 60Hz용 481계가, 1965년 10월 1일부터는 도호쿠 본선 계통에서 교류 50Hz용 483계가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2. 1. 국철 특급형 전동차의 등장

151계(구 20계 전동차)는 1958년 11월 1일부터 도쿄 - 오사카·고베 간 특급 "고다마"로 운전을 시작했고, 급행형인 153계(구 91계)도 도쿄 - 나고야·오가키 간 준급 "도카이"에 투입되었다.

교류 직류 전동차로는 급행형인 451계가 1962년 10월 1일부터 우에노 - 센다이 간 급행 "미야기노"로 운전을 시작했다. 특급형은 당초 151계 전동차를 교류 직류 사양으로 개조하여 신규 투입하는 것이 검토되었으나,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으로 잉여가 되는 151계 전동차에 교류 직류화 개조를 실시하는 계획이 있어, 기존 차량을 활용하는 배려에서 신규 제작 계획은 동결되었다. 하지만, 신칸센의 개업을 계기로 방침이 특급 열차망 정비로 재전환되어, 151계 전동차의 교류 직류화 개조는 보류되었고, 산요 본선이나 조에쓰선으로 전용되었다.

이 결과, 한 번 보류되었던 교류 직류 특급형 전동차 신규 제작 계획이 재개되었다. 1964년 12월 25일부터는 호쿠리쿠 본선 계통에서 교류 60Hz용 481계가, 1965년 10월 1일부터는 도호쿠 본선 계통에서 교류 50Hz용 483계가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2. 2. 전원 방식의 다양성과 직결 운행의 필요성

151계(구 20계 전동차)는 1958년 11월 1일부터 도쿄 - 오사카·고베 간 특급 "고다마"로 운전을 시작했다. 151계와 거의 동시에 급행형인 153계(구 91계)도 도쿄 - 나고야·오가키 간 준급 "도카이"에 투입되었다.

교류 직류 전동차로는 급행형인 451계가 1962년 10월 1일부터 우에노 - 센다이 간 급행 "미야기노"로 운전을 시작했지만, 특급형은 당초 151계 전동차를 교류 직류 사양으로 개조하여 신규 투입하는 것이 검토되었으며, 451계 전동차와 동시에 우에노 - 센다이 간의 특급으로 투입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으로 잉여가 되는 151계 전동차에 교류 직류화 개조를 실시하는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7], 기존 차량을 활용하는 배려에서 신규 제작 계획은 동결되었다. 하지만, 신칸센의 개업을 계기로 방침이 특급 열차망 정비로 재전환되어, 151계 전동차의 교류 직류화 개조는 보류되었고, 산요 본선이나 조에쓰선으로 전용되었다.

이 결과, 한 번 보류되었던 교류 직류 특급형 전동차 신규 제작 계획이 재개되었다. 1964년 12월 25일부터는 호쿠리쿠 본선 계통에서 교류 60Hz용 481계가, 1965년 10월 1일부터는 도호쿠 본선 계통에서 교류 50Hz용 483계가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2. 3. 481계, 483계, 485계 개발

1958년 11월 1일부터 도쿄 - 오사카·고베 간 특급 "고다마"에 151계가 투입되었고, 급행열차로는 451계가 1962년 10월 1일부터 우에노 - 센다이 간 급행 "미야기노"로 운행을 시작했다.[7] 그러나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151계 전동차를 교류 직류화하여 사용하려던 계획이 변경되어, 특급 열차망 정비로 방향이 전환되었다.[7]

이에 따라 교류 직류 특급형 전동차 신규 제작 계획이 재개되어, 1964년 호쿠리쿠 본선 계통에서 교류 60Hz용 481계가 도입되었다.[1] 481계는 1,500V 직류 또는 20kV 교류(60Hz) 전원 공급 방식으로 운행할 수 있었으며, 이후 JR 서일본과 JR 큐슈에서 운행되었다.

1982년경 미도리 열차로 운행되는 481계 전동차


1965년에는 도호쿠 본선 계통에서 교류 50Hz용 483계가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1] 483계는 1,500V 직류 또는 20kV 교류(50Hz) 가선 전원 공급 하에서 운행할 수 있었다.[1]

2. 4. 우스이 고개와 489계 개발

국철 최초의 특급형 직류 전동차인 151계(구 20계 전동차)는 1958년 11월 1일부터 도쿄 - 오사카·고베 간 특급 "고다마"로 운전을 시작했다. 151계와 거의 동시에 급행형인 153계(구 91계)도 도쿄 - 나고야·오가키 간 준급 "도카이"에 투입되었다.

교류 직류 전동차로는 급행형인 451계가 1962년 10월 1일부터 우에노 - 센다이 간 급행 "미야기노"로 운전을 시작했지만, 특급형은 당초 151계 전동차를 교류 직류 사양으로 개조하여 신규 투입하는 것이 검토되었으며, 451계 전동차와 동시에 우에노 - 센다이 간의 특급으로 투입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으로 잉여가 되는 151계 전동차에 교류 직류화 개조를 실시하는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7], 기존 차량을 활용하는 배려에서 신규 제작 계획은 동결되었다. 하지만, 신칸센의 개업을 계기로 방침이 특급 열차망 정비로 재전환되어, 151계 전동차의 교류 직류화 개조는 보류되었고, 산요 본선이나 조에쓰 선으로 전용되었다.

이 결과, 한 번 보류되었던 교류 직류 특급형 전동차 신규 제작 계획이 재개되었다. 1964년 12월 25일부터는 호쿠리쿠 본선 계통에서 교류 60 Hz용 481계가, 1965년 10월 1일부터는 도호쿠 본선 계통에서 교류 50 Hz용 483계가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3. 기술적 특징



※ 본 항목에서는 기본 구조에 대해 해설한다. 상세한 설계 변경은 각 항목을 참조할 것.

== 차체 ==

외관은 151계의 흐름을 답습했지만, 1972년 이후에 제조된 차량(후기형)은 183계에 가까운 외관으로 변경되어 정원이 8명 증가하였다. 하부기기의 치수에 맞추어 바닥 높이를 근교형·급행형 차량보다 10mm 높은 1,230mm로 하였으며 지붕 높이도 151계에 비해 120mm 높아졌다. 사용되는 노선의 홈 높이에 맞출 수 있도록 출입문에는 스텝이 설치되었으며, 도호쿠·호쿠리쿠 등 한랭 지구로의 투입을 고려하여 내설내한 설계가 되어 있다. 또한 측면 출입문은 당초에는 보통 강철이었지만, 1968년 이후 제조차에서는 내측에 무도장 스테인리스제로 변경되었다.

서비스 면에서 운행 당초에는 측면 행선 표시에 종래대로 행선표를 사용했지만, 481계·483계에서는 자동 권양식 행선막 탑재 준비 공사가 일본국철의 차량으로서는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당초에는 18회전 대응, 후기형 이후에는 40회전 대응 기종이 탑재되었으며, 후에 전기형 차량도 교체되었다.

냉방 장치는 전기형에서 AU12형 분산식 냉방 장치 1기 내지 2기를, 지붕위에 버섯형 케이스로 선두차에는 5기, 중간차에는 6기 탑재했다. 팬터그래프나 교류 기기가 지붕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하 480형·모하 482형·모하 484형·모하 488형은 의장 공간 관계로 지붕 상부로의 탑재는 AU12형 3기로 제약되었기 때문에 차내 기기실에 상치형의 AU41형을 3기 설치했지만, 후기형 이후부터는 변경되었다.

== 주요 기기 ==

=== 주행 성능 ===

주 전동기는 특급형 차량으로는 처음으로 MT54계 전동기(출력 120kW)를 채용하여, MT비 1:1에서도 20‰ 정도의 경사를 올라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MM'유닛 방식을 채용하여 M차(홀수 형식)에는 주제어기로 '자동 주간제어기 반환 기구'를 탑재한 CS15계 제어장치를 채용하였으며, 산악 구간에서의 주행도 고려하여 구배 억속제동을 탑재하고 있다.

주행부는 401계·421계 전동차부터 이어진 국철 교직양용 전동차의 기본 구성을 따르고 있다. 교류 전화 구간에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여 이용하는 방식으로, M'차에는 전동기 등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주변압기·주정류기 등의 기기가 탑재되어 있다.

제어 방식은 직류 전철 구간에서는 가선 전원을 그대로 사용하고, 교류 전철 구간에서는 변압기로 강압 후 정류기로 직류로 하는 401계·421계부터의 일관된 간접식 기기 구성을 답습한 MM' 유닛 방식에 의한 저항 제어를 채용했다. M차에는 산악 구간에서의 사용도 고려하여 억속 브레이크를 탑재한 자동 노치 복귀 기구가 있는 CS15계 제어 장치를, M'차에는 교류 구간에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주 변압기·주 정류기 등의 기기를 탑재하지만, 대응하는 상용 주파수나 제조 시기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주 전동기는 정격 출력 120kW의 MT54계 직류 직권 전동기를 특급형 전동차로서는 처음으로 탑재했다. 기어비를 22:77(1:3.50)으로 함으로써, MT비 1:1 편성에서도 20‰ 정도의 구배를 등판할 수 있게 되어, 경제성이 향상되었다. 최고 운전 속도는 120km/h로 설정되었다.

=== 대차 ===

대차는 요침 멈춤을 폐지한 인 다이렉트 마운트 방식 공기 용수철 대차 DT32A형을 전동차에, TR69A형을 부수차에 장착했다. 이후 개량형으로 여러 차례 마이너 체인지되었다.

=== 집전 장치 ===

팬터그래프는 설계 단계에서 BT 궤도 방식의 교직·교교 섹션 통과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로 1기 탑재 안이 있었지만, 직류 구간에서는 이선 대책으로 2기를 탑재하여 사용하였다. 국철 말기 이후에는 130km/h 운전을 실시하고 있던 고세이 선을 제외하고, 가선의 손상 감소 대책으로 원칙적으로 제2 팬터그래프를 사용 중지하거나 철거했다. 단, (JR 동일본)의 일부 차량에서는 가선의 서리 제거를 목적으로 계속 2기를 사용했다.

=== 서비스 전원 ===

편성 전체의 서비스 전원용 전동 발전기(MG) 및 공기 압축기(CP)는, 조리용 전열기에 의한 전력 소비량을 확보하기 위해, 식당차인 사시 481형이 자체 급전용으로 정격 용량 70kVA의 MG를 차체 하부에 탑재하는 것 외에는, 151계 이래의 "소음 발생원을 객실에서 가능한 한 멀리 떨어뜨린다"는 설계 사상을 그대로 반영하여, MG·CP 모두 선두가 되는 제어차의 보닛 내에 탑재되었다. 용량 및 탑재 위치는 제조 연도에 따라 다르며, 제어차의 형상 변경이나 이후의 3MG·CP화에 의해 부수차에도 탑재되었으며,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단편성화에 의해 MG·CP 미탑재의 쿠하 480형이나, 폐차 발생품의 MG·CP를 탑재하는 개조차 차번대 구분도 존재했다.

481계 전동차·483계 전동차·485계 전동차·489계 전동차 주요 기기 상이
계열주 제어기주 변압기주 정류기주 전동기제어차 전동 발전기식당차 전동 발전기공기 압축기
481CS15BTM10RS22MT54BMH94B-DM58MH92B-C3000A
483TM9
485CS15E
CS15F
TM14
TM20
RS22A
RS40A
RS45A
RS45B
MT54B
MT54D
MH93-DM55A
MH129-DM88
SC54
MH92B-C3000A
MH113-C2000
489CS15GRS22AMH129-DM88



'''비고'''


  • CS15F형 주 제어기: 1971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TM20형 주 변압기·RS40A형 주 정류기: 1974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RS45A형 주 정류기: 모하 484-1010·1012·1014·1016·1018·1020·1022·1024가 탑재
  • RS45B형 주 정류기: 모하 484-1081 - 1088이 탑재
  • MT54D형 주 전동기: 1972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MH93-DM55A형 전동 발전기: 용량 150kVA, 1970년 제조 차량까지 탑재
  • MH129-DM88형 전동 발전기: 용량 210kVA, 1971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SC54형 SIV: 용량 210kVA, 3000번대 개조 차량이 탑재
  • MH92B-C3000A형 공기 압축기: 용량 2,950L/min, 초기형 보닛차가 탑재
  • MH113-C2000형 공기 압축기: 용량 2,100L/min, 중기형 차량 이후가 탑재


=== 제동 장치 ===

485계 전동차는 제동장치에 대한 별도의 언급은 없지만, 본문에 따르면 산악 구간에서의 사용을 고려하여 억속 브레이크가 탑재되어 있다.

3. 1. 차체

외관은 151계의 흐름을 답습했지만, 1972년 이후에 제조된 차량(후기형)은 183계에 가까운 외관으로 변경되어 정원이 8명 증가하였다. 하부기기의 치수에 맞추어 바닥 높이를 근교형·급행형 차량보다 10mm 높은 1,230mm로 하였으며 지붕 높이도 151계에 비해 120mm 높아졌다. 사용되는 노선의 홈 높이에 맞출 수 있도록 출입문에는 스텝이 설치되었으며, 도호쿠·호쿠리쿠 등 한랭 지구로의 투입을 고려하여 내설내한 설계가 되어 있다. 또한 측면 출입문은 당초에는 보통 강철이었지만, 1968년 이후 제조차에서는 내측에 무도장 스테인리스제로 변경되었다.

서비스 면에서 운행 당초에는 측면 행선 표시에 종래대로 행선표를 사용했지만, 481계·483계에서는 자동 권양식 행선막 탑재 준비 공사가 일본국철의 차량으로서는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당초에는 18회전 대응, 후기형 이후에는 40회전 대응 기종이 탑재되었으며, 후에 전기형 차량도 교체되었다.

냉방 장치는 전기형에서 AU12형 분산식 냉방 장치 1기 내지 2기를, 지붕위에 버섯형 케이스로 선두차에는 5기, 중간차에는 6기 탑재했다. 팬터그래프나 교류 기기가 지붕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하 480형·모하 482형·모하 484형·모하 488형은 의장 공간 관계로 지붕 상부로의 탑재는 AU12형 3기로 제약되었기 때문에 차내 기기실에 상치형의 AU41형을 3기 설치했지만, 후기형 이후부터는 변경되었다.

3. 2. 주요 기기

## 주행 성능

주 전동기는 특급형 차량으로는 처음으로 MT54계 전동기(출력 120kW)를 채용하여, MT비 1:1에서도 20‰ 정도의 경사를 올라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MM'유닛 방식을 채용하여 M차(홀수 형식)에는 주제어기로 '자동 주간제어기 반환 기구'를 탑재한 CS15계 제어장치를 채용하였으며, 산악 구간에서의 주행도 고려하여 구배 억속제동을 탑재하고 있다.

주행부는 401계·421계 전동차부터 이어진 국철 교직양용 전동차의 기본 구성을 따르고 있다. 교류 전화 구간에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여 이용하는 방식으로, M'차에는 전동기 등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주변압기·주정류기 등의 기기가 탑재되어 있다.

제어 방식은 직류 전철 구간에서는 가선 전원을 그대로 사용하고, 교류 전철 구간에서는 변압기로 강압 후 정류기로 직류로 하는 401계·421계부터의 일관된 간접식 기기 구성을 답습한 MM' 유닛 방식에 의한 저항 제어를 채용했다. M차에는 산악 구간에서의 사용도 고려하여 억속 브레이크를 탑재한 자동 노치 복귀 기구가 있는 CS15계 제어 장치를, M'차에는 교류 구간에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주 변압기·주 정류기 등의 기기를 탑재하지만, 대응하는 상용 주파수나 제조 시기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주 전동기는 정격 출력 120kW의 MT54계 직류 직권 전동기를 특급형 전동차로서는 처음으로 탑재했다. 기어비를 22:77(1:3.50)으로 함으로써, MT비 1:1 편성에서도 20‰ 정도의 구배를 등판할 수 있게 되어, 경제성이 향상되었다. 최고 운전 속도는 120km/h로 설정되었다.

## 대차

대차는 요침 멈춤을 폐지한 인 다이렉트 마운트 방식 공기 용수철 대차 DT32A형을 전동차에, TR69A형을 부수차에 장착했다. 이후 개량형으로 여러 차례 마이너 체인지되었다.

## 집전 장치

팬터그래프는 설계 단계에서 BT 궤도 방식의 교직·교교 섹션 통과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로 1기 탑재 안이 있었지만, 직류 구간에서는 이선 대책으로 2기를 탑재하여 사용하였다. 국철 말기 이후에는 130km/h 운전을 실시하고 있던 고세이 선을 제외하고, 가선의 손상 감소 대책으로 원칙적으로 제2 팬터그래프를 사용 중지하거나 철거했다. 단, (JR 동일본)의 일부 차량에서는 가선의 서리 제거를 목적으로 계속 2기를 사용했다.

## 서비스 전원

편성 전체의 서비스 전원용 전동 발전기(MG) 및 공기 압축기(CP)는, 조리용 전열기에 의한 전력 소비량을 확보하기 위해, 식당차인 사시 481형이 자체 급전용으로 정격 용량 70kVA의 MG를 차체 하부에 탑재하는 것 외에는, 151계 이래의 "소음 발생원을 객실에서 가능한 한 멀리 떨어뜨린다"는 설계 사상을 그대로 반영하여, MG·CP 모두 선두가 되는 제어차의 보닛 내에 탑재되었다. 용량 및 탑재 위치는 제조 연도에 따라 다르며, 제어차의 형상 변경이나 이후의 3MG·CP화에 의해 부수차에도 탑재되었으며,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단편성화에 의해 MG·CP 미탑재의 쿠하 480형이나, 폐차 발생품의 MG·CP를 탑재하는 개조차 차번대 구분도 존재했다.

481계 전동차·483계 전동차·485계 전동차·489계 전동차 주요 기기 상이
계열주 제어기주 변압기주 정류기주 전동기제어차 전동 발전기식당차 전동 발전기공기 압축기
481CS15BTM10RS22MT54BMH94B-DM58MH92B-C3000A
483TM9
485CS15E
CS15F
TM14
TM20
RS22A
RS40A
RS45A
RS45B
MT54B
MT54D
MH93-DM55A
MH129-DM88
SC54
MH92B-C3000A
MH113-C2000
489CS15GRS22AMH129-DM88



'''비고'''


  • CS15F형 주 제어기: 1971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TM20형 주 변압기·RS40A형 주 정류기: 1974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RS45A형 주 정류기: 모하 484-1010·1012·1014·1016·1018·1020·1022·1024가 탑재
  • RS45B형 주 정류기: 모하 484-1081 - 1088이 탑재
  • MT54D형 주 전동기: 1972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MH93-DM55A형 전동 발전기: 용량 150kVA, 1970년 제조 차량까지 탑재
  • MH129-DM88형 전동 발전기: 용량 210kVA, 1971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SC54형 SIV: 용량 210kVA, 3000번대 개조 차량이 탑재
  • MH92B-C3000A형 공기 압축기: 용량 2,950L/min, 초기형 보닛차가 탑재
  • MH113-C2000형 공기 압축기: 용량 2,100L/min, 중기형 차량 이후가 탑재


## 제동 장치

485계 전동차는 제동장치에 대한 별도의 언급은 없지만, 본문에 따르면 산악 구간에서의 사용을 고려하여 억속 브레이크가 탑재되어 있다.

3. 2. 1. 주행 성능

MT54계 주전동기(출력 120kW)를 특급형 차량으로서는 처음으로 채용하여 MT비 1:1에서도 20‰ 정도의 구배를 등판할 수 있게 되었다. 또 MM'유닛 방식을 채용하여 M차(홀수 형식)에는 주제어기로 '자동 주간제어기 반환 기구'를 탑재한 CS15계 제어장치를 채용하였으며 산악 구간에서의 주행도 고려하여 구배 억속제동을 탑재하고 있다.

주행부는 국철 교직양용 전동차의 기본 구성으로 교류 전화 구간에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여 이용하는 401계·421계 전동차부터 일관된 견실한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 M'차에는 전동기 등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주변압기·주정류기등의 기기가 탑재되고 있다.

대차는 요침적을 폐지하여 인 다이렉트 마운트 공기 용수철 대차 DT32A형을 동력차, TR69A형을 부수차에 채용하였다. 후기형에서는 같은 계열 대차의 개량형으로 마이너 체인지도 실시되었다.

이선 대책으로 팬터그래프를 2기 설치하고 있어 직류 구간에서는 2기를 모두 사용한다. 일본국철 말기 이후에는 가선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원칙적으로 제2팬터그래프의 사용을 중지하거나 철거했지만 JR동일본의 일부 열차에서는 가선의 서리 제거, 130km/h 운행을 실시하는 고세이 선에서는 과전류 방지를 위해 2기를 사용하고 있다.

제어 방식은 직류 전철 구간에서는 가선 전원을 그대로 사용하고, 교류 전철 구간에서는 변압기로 강압 후 정류기로 직류로 하는 401계·421계부터의 일관된 간접식 기기 구성을 답습한 MM' 유닛 방식에 의한 저항 제어를 채용했다. M차에는 산악 구간에서의 사용도 고려하여 억속 브레이크를 탑재한 자동 노치 복귀 기구가 있는 CS15계 제어 장치를, M'차에는 교류 구간에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주 변압기·주 정류기 등의 기기를 탑재하지만, 대응하는 상용 주파수나 제조 시기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주 전동기는 정격 출력 120kW의 MT54계 직류 직권 전동기를 특급형 전동차로서는 처음으로 탑재했다. 기어비를 22:77(1:3.50)으로 함으로써, MT비 1:1 편성에서도 20‰ 정도의 구배를 등판할 수 있게 되어, 경제성이 향상되었다. 최고 운전 속도는 120km/h로 설정되었다.

대차는 요침 멈춤을 폐지한 인 다이렉트 마운트 방식공기 용수철 대차 DT32A형을 전동차에, TR69A형을 부수차에 장착했다. 증비 중에 몇 번이나 개량형으로의 마이너 체인지도 실시했다.

팬터그래프는 설계 단계에서 BT 궤도 방식의 교직·교교 섹션 통과 시 트러블을 우려하여 1기 탑재 안이 있었지만, 직류 구간에서는 이선 대책으로 2기 탑재 사용이 되었다. 국철 말기 이후에는 130km/h 운전을 실시하고 있던 호서선을 제외하고, 가선의 손모 감소 대책으로 원칙적으로 제2 팬터그래프를 사용 중지 또는 철거했다. 단, JR 동일본의 일부 차량에서는 가선의 서리 제거를 목적으로 계속 2기를 사용했다.

편성 전체의 서비스 전원용 전동 발전기(MG) 및 공기 압축기(CP)는, 조리용 전열기에 의한 전력 소비량을 확보하기 위해, 식당차의 사시 481형이 자차 급전용으로 정격 용량 70kVA의 MG를 차체 하부에 탑재하는 것 외에는, 151계 이래의 "소음 발생원을 객실에서 가능한 한 멀리 떨어뜨린다"는 설계 사상을 그대로 반영하여, MG·CP 모두 선두가 되는 제어차의 보닛 내에 탑재되었다. 용량 및 탑재 위치는 제조 연도에 따라 다르며, 제어차의 형상 변경이나 이후의 3MG·CP화에 의해 부수차에도 탑재되었으며,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단편성화에 의해 MG·CP 미탑재의 쿠하 480형이나, 폐차 발생품의 MG·CP를 탑재하는 개조차 차번대 구분도 존재했다.

  • 자세한 내용은 각 계열·개조차의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481계 전동차·483계 전동차·485계 전동차·489계 전동차 주요 기기 상이
계열주 제어기주 변압기주 정류기주 전동기제어차 전동 발전기식당차 전동 발전기공기 압축기
481CS15BTM10RS22MT54BMH93-DM55AMH94B-DM58MH92B-C3000A
483TM9
485CS15E
CS15F
TM14
TM20
RS22A
RS40A
RS45A
RS45B
MT54B
MT54D
MH93-DM55A
MH129-DM88
SC54
MH92B-C3000A
MH113-C2000
489CS15GRS22AMH129-DM88



;비고


  • CS15F형 주 제어기: 1971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TM20형 주 변압기·RS40A형 주 정류기: 1974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RS45A형 주 정류기: 모하 484-1010·1012·1014·1016·1018·1020·1022·1024가 탑재
  • RS45B형 주 정류기: 모하 484-1081 - 1088이 탑재
  • MT54D형 주 전동기: 1972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MH93-DM55A형 전동 발전기: 용량 150kVA 1970년 제조 차량까지 탑재
  • MH129-DM88형 전동 발전기: 용량 210kVA 1971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SC54형 SIV: 용량 210kVA 3000번대 개조 차량이 탑재
  • MH92B-C3000A형 공기 압축기: 용량 2,950L/min 초기형 보닛차가 탑재
  • MH113-C2000형 공기 압축기: 용량 2,100L/min 중기형 차량 이후가 탑재

3. 2. 2. 대차

대차는 요침 멈춤을 폐지한 인 다이렉트 마운트 방식공기 용수철 대차 DT32A형을 전동차에, TR69A형을 부수차에 장착했다. 증비 중에 몇 번이나 개량형으로의 마이너 체인지도 실시했다.

3. 2. 3. 집전 장치

팬터그래프는 설계 단계에서 BT 궤도 방식의 교직·교교 섹션 통과 시 트러블을 우려하여 1기 탑재 안이 있었지만, 직류 구간에서는 이선 대책으로 2기 탑재 사용이 되었다. 국철 말기 이후에는 130km/h 운전을 실시하고 있던 호서선을 제외하고, 가선의 손모 감소 대책으로 원칙적으로 제2 팬터그래프를 사용 중지 또는 철거했다. 단, (JR 동일본)의 일부 차량에서는 가선의 서리 제거를 목적으로 계속 2기를 사용했다.

3. 2. 4. 서비스 전원

제어 방식은 직류 전철 구간에서는 가선 전원을 그대로 사용하고, 교류 전철 구간에서는 변압기로 강압 후 정류기로 직류로 하는 401계·421계부터의 일관된 간접식 기기 구성을 답습한 MM' 유닛 방식에 의한 저항 제어를 채용했다. M차에는 산악 구간에서의 사용도 고려하여 억속 브레이크를 탑재한 자동 노치 복귀 기구가 있는 CS15계 제어 장치를, M'차에는 교류 구간에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주 변압기·주 정류기 등의 기기를 탑재하지만, 대응하는 상용 주파수나 제조 시기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주 전동기는 정격 출력 120kW의 MT54계 직류 직권 전동기를 특급형 전동차로서는 처음으로 탑재했다. 기어비를 22:77(1:3.50)으로 함으로써, MT비 1:1 편성에서도 20‰ 정도의 구배를 등판할 수 있게 되어, 경제성이 향상되었다. 최고 운전 속도는 120km/h로 설정되었다.

대차는 요침 멈춤을 폐지한 인 다이렉트 마운트 방식공기 용수철 대차 DT32A형을 전동차에, TR69A형을 부수차에 장착했다. 증비 중에 몇 번이나 개량형으로의 마이너 체인지도 실시했다.

팬터그래프는 설계 단계에서 BT 궤도 방식의 교직·교교 섹션 통과 시 트러블을 우려하여 1기 탑재 안이 있었지만, 직류 구간에서는 이선 대책으로 2기 탑재 사용이 되었다. 국철 말기 이후에는 130km/h 운전을 실시하고 있던 호서선을 제외하고, 가선의 손모 감소 대책으로 원칙적으로 제2 팬터그래프를 사용 중지 또는 철거했다. 단, JR 동일본의 일부 차량에서는 가선의 서리 제거를 목적으로 계속 2기를 사용했다.

편성 전체의 서비스 전원용 전동 발전기(MG) 및 공기 압축기(CP)는, 조리용 전열기에 의한 전력 소비량을 확보하기 위해, 식당차의 사시 481형이 자차 급전용으로 정격 용량 70kVA의 MG를 차체 하부에 탑재하는 것 외에는, 151계 이래의 "소음 발생원을 객실에서 가능한 한 멀리 떨어뜨린다"는 설계 사상을 그대로 반영하여, MG·CP 모두 선두가 되는 제어차의 보닛 내에 탑재되었다. 용량 및 탑재 위치는 제조 연도에 따라 다르며, 제어차의 형상 변경이나 이후의 3MG·CP화에 의해 부수차에도 탑재되었으며,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단편성화에 의해 MG·CP 미탑재의 쿠하 480형이나, 폐차 발생품의 MG·CP를 탑재하는 개조차 차번대 구분도 존재했다.

  • 자세한 내용은 각 계열·개조차의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style="font-size:80%;"

|-

|

481계 전동차·483계 전동차·485계 전동차·489계 전동차 주요 기기 상이
계열주 제어기주 변압기주 정류기주 전동기제어차 전동 발전기식당차 전동 발전기공기 압축기
481CS15BTM10RS22MT54BMH93-DM55AMH94B-DM58MH92B-C3000A
483TM9
485CS15E
CS15F
TM14
TM20
RS22A
RS40A
RS45A
RS45B
MT54B
MT54D
MH93-DM55A
MH129-DM88
SC54
MH92B-C3000A
MH113-C2000
489CS15GRS22AMH129-DM88



|}

'''비고'''


  • CS15F형 주 제어기: 1971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TM20형 주 변압기·RS40A형 주 정류기: 1974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RS45A형 주 정류기: 모하 484-1010·1012·1014·1016·1018·1020·1022·1024가 탑재
  • RS45B형 주 정류기: 모하 484-1081 - 1088이 탑재
  • MT54D형 주 전동기: 1972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MH93-DM55A형 전동 발전기: 용량 150kVA, 1970년 제조 차량까지 탑재
  • MH129-DM88형 전동 발전기: 용량 210kVA, 1971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SC54형 SIV: 용량 210kVA, 3000번대 개조 차량이 탑재
  • MH92B-C3000A형 공기 압축기: 용량 2,950L/min, 초기형 보닛차가 탑재
  • MH113-C2000형 공기 압축기: 용량 2,100L/min, 중기형 차량 이후가 탑재

3. 2. 5. 제동 장치

제어 방식은 직류 전철 구간에서는 가선 전원을 그대로 사용하고, 교류 전철 구간에서는 변압기로 강압 후 정류기로 직류로 하는 401계·421계부터의 일관된 간접식 기기 구성을 답습한 MM' 유닛 방식에 의한 저항 제어를 채용했다. M차에는 산악 구간에서의 사용도 고려하여 억속 브레이크를 탑재한 자동 노치 복귀 기구가 있는 CS15계 제어 장치를, M'차에는 교류 구간에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주 변압기·주 정류기 등의 기기를 탑재하지만, 대응하는 상용 주파수나 제조 시기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주 전동기는 정격 출력 120kW의 MT54계 직류 직권 전동기를 특급형 전동차로서는 처음으로 탑재했다. 기어비를 22:77(1:3.50)으로 함으로써, MT비 1:1 편성에서도 20‰ 정도의 구배를 등판할 수 있게 되어, 경제성이 향상되었다. 최고 운전 속도는 120km/h로 설정되었다.

대차는 요침 멈춤을 폐지한 인 다이렉트 마운트 방식공기 용수철 대차 DT32A형을 전동차에, TR69A형을 부수차에 장착했다. 증비 중에 몇 번이나 개량형으로의 마이너 체인지도 실시했다.

팬터그래프는 설계 단계에서 BT 궤도 방식의 교직·교교 섹션 통과 시 트러블을 우려하여 1기 탑재 안이 있었지만, 직류 구간에서는 이선 대책으로 2기 탑재 사용이 되었다. 국철 말기 이후에는 130km/h 운전을 실시하고 있던 호서선을 제외하고, 가선의 손모 감소 대책으로 원칙적으로 제2 팬터그래프를 사용 중지 또는 철거했다. 단, JR 동일본의 일부 차량에서는 가선의 서리 제거를 목적으로 계속 2기를 사용했다.

편성 전체의 서비스 전원용 전동 발전기(MG) 및 공기 압축기(CP)는, 조리용 전열기에 의한 전력 소비량을 확보하기 위해, 식당차의 사시 481형이 자차 급전용으로 정격 용량 70kVA의 MG를 차체 하부에 탑재하는 것 외에는, 151계 이래의 "소음 발생원을 객실에서 가능한 한 멀리 떨어뜨린다"는 설계 사상을 그대로 반영하여, MG·CP 모두 선두가 되는 제어차의 보닛 내에 탑재되었다. 용량 및 탑재 위치는 제조 연도에 따라 다르며, 제어차의 형상 변경이나 이후의 3MG·CP화에 의해 부수차에도 탑재되었으며,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단편성화에 의해 MG·CP 미탑재의 쿠하 480형이나, 폐차 발생품의 MG·CP를 탑재하는 개조차 차번대 구분도 존재했다.

  • 자세한 내용은 각 계열·개조차의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481계 전동차·483계 전동차·485계 전동차·489계 전동차 주요 기기 상이
계열주 제어기주 변압기주 정류기주 전동기제어차 전동 발전기식당차 전동 발전기공기 압축기
481CS15BTM10RS22MT54BMH93-DM55AMH94B-DM58MH92B-C3000A
483TM9
485CS15E
CS15F
TM14
TM20
RS22A
RS40A
RS45A
RS45B
MT54B
MT54D
MH93-DM55A
MH129-DM88
SC54
MH92B-C3000A
MH113-C2000
489CS15GRS22AMH129-DM88



;비고


  • CS15F형 주 제어기: 1971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TM20형 주 변압기·RS40A형 주 정류기: 1974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RS45A형 주 정류기: 모하 484-1010·1012·1014·1016·1018·1020·1022·1024가 탑재
  • RS45B형 주 정류기: 모하 484-1081 - 1088이 탑재
  • MT54D형 주 전동기: 1972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MH93-DM55A형 전동 발전기: 용량 150kVA 1970년 제조 차량까지 탑재
  • MH129-DM88형 전동 발전기: 용량 210kVA 1971년 이후의 제조 차량이 탑재
  • SC54형 SIV: 용량 210kVA 3000번대 개조 차량이 탑재
  • MH92B-C3000A형 공기 압축기: 용량 2,950L/min 초기형 보닛차가 탑재
  • MH113-C2000형 공기 압축기: 용량 2,100L/min 중기형 차량 이후가 탑재

4. 형식별 분류

481계 전동차는 1964년 호쿠리쿠 본선의 특급 열차 운행을 위해 도입되었으며, 1,500V 직류 또는 20kV 교류(60Hz) 전원 공급 방식으로 운행할 수 있었다.[1] 1964년 8월 호쿠리쿠 본선 가나자와 - 도야마 조차장(현재: 도야마 화물) 간 교류 전철화 완성에 따라 1964년 10월 1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신설된 '라이쵸', '시라사기'에서의 운용을 위해 제조되어, 같은 해 12월 25일부터 운용을 시작했다.

호쿠리쿠 특급용으로 1964년에 모하 481형·모하 480형 전동차 유닛이 11개 편성 22량과 제어·부수차가 총 19량으로 11량 편성×3개 편성과 예비차 8량의 총 41량이 신규 제작되었다. 이듬해 1965년에는 151계 전동차로 운행되던 규슈 특급 '쓰바메', '하토'의 대체용으로 11량 편성×5개 편성과 예비차 1량의 총 56량이 증비되었다. 신규 제작 시에는 무코마치 운전소(교토 종합 운전소를 거쳐 현재: 스이다 종합 차량소 교토 지소)에 집중 배치되어, 호쿠리쿠 특급과 산요·규슈 특급에서 광역 운용이 실시되었다.

151계는 계열 내에 10종류의 형식이 준비되었지만, 481계에서는 운용 효율 등의 관점에서 제어차 쿠하 481형, 전동차 모하 481형 및 모하 480형, 1등차(후의 그린차) 사로 481형, 식당차 사시 481형의 5형식으로 집약되었다. 운용 개시 시의 편성은 1등차를 2량, 식당차 1량을 조합한 11량 편성이었다.

제어차의 전면 형상은 151계 '고다마형'에 준한 보닛 스타일이다. 보닛 내부는 151계와 마찬가지로 기기실로, 삼상 교류 440V・60Hz, 정격 용량 150kVA를 출력하는 MH93-DM55A형 전동 발전기(MG)와 용량 2950L/min의 MH92B-C3000A형 공기 압축기(CP)를 탑재했다. 보닛 측면 하부에는 통풍 그릴이 설치되었으며, 쿠하 151형의 2개소에서 3개소로 증설되었다.

운전대는 후방에 감시창을 설치했지만, 지붕에 대한 조형이 약간 다르다. 차체 높이가 높아진 부분을 미등 하부의 밑단 치수를 줄임으로써 조정하고, 운전실 상부 높이는 151계와 같은 3,880mm로 했다. 전등 옆 좌우의 마커 라이트[9]가 생략되었다. 또한 신조 시에는 백미러가 부착되었지만, 파손이 많고 보수가 곤란했기 때문에, 증비차를 포함해 대부분이 1970년대 전반에 철거되었다. 또한 당초에는 후방 방호용으로 편성 마지막이 되는 경우에는 하부 전조등에 적색 필터를 부착한 외, 불시 정차 시용으로 교호 점멸 회로가 탑재되었지만, ATS의 완비 등에 의해 1966년 10월에 폐지되었다.

차체 도색은 적 2호와 크림 4호의 이른바 '국철 특급색'이다. 쿠하 481형 중 1964년 신제작차의 쿠하 481-1 - 8은 직류형인 151계와의 구별을 위해 운전대 하부의 스커트가 적색으로 칠해졌지만, 1965년 증비차의 쿠하 481-9 - 18은 보닛에 '수염'이 들어갔고, 도호쿠 특급용 483계의 등장에 의해 50Hz・60Hz를 식별하기 위해 스커트가 적색과 크림색 띠로 칠해졌다. 후에 1 - 8도 동일한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좌석은 161계와 같고, 1등차(후의 그린차)가 리클라이닝 시트의 R24형, 2등차(후의 보통차)가 회전 크로스 시트의 T17계로 했다.


  • '''쿠하 481-1 - 18'''


제어차. 보닛형 선두부에는 쿠하 151형·161형처럼 150kVA 전동 발전기(MG) 및 용량 3,000l/min의 공기 압축기(CP)가 탑재되었지만, 운전대는 후방에 감시창을 설치하는 것으로 인해 지붕에 모양이 약간 서로 다르고 전조등 및 옆 좌우의 마커등[275]이 생략되었다. 당초에는 후방 방호용으로 편성 최후부인 경우에는 하부 전조등에 빨간색 필터를 설치했고 비상 정차시용으로 교대 점멸 회로가 탑재되었으나 ATS의 완비 등에 의해 1966년 10월에 폐지되었다. 보닛 외기 취입 그릴이 쿠하 151형의 2곳에서 3곳으로 증설되었다.

1964년 신제차의 1-8은 등장 당초 배장기를 적색으로 한 이외에 151계(181)계에 준한 도장이 되고 있었지만, 다음 1965년 증비차의 9-18부터 교직 양용 차량임을 나타내는 하부 라이트의 경우 위에 붉은 '수염(눈썹)'으로 불리는 도장의 추가와 빨간 배장기의 정권에 크림대를 추가한 도장으로 변경되었다. 나중에 1-8도 같은 도색으로 변경되고 이것이 '교류 60Hz 구간 한정 편성(481계)'으로 표시하였다.

신조시에는 백미러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파손이 많고 보수가 곤란했기 때문에 대부분이 증비차도 포함하여 1970년대 전반에 철거되었다. 본 그룹은 산요 신칸센 하카타 개업에 따른 1975년 3월 10일의 다이아 개정으로 큐슈 지구로 전출 후 12·14·17은 가고시마 소속 시절, 나머지는 1985년 가쓰다 전차구 이동 전출 후 1986년 3월까지 고리야마 공장(현 고리야마 종합 차량센터)에서의 검수 때 배장기부가 크림색으로 변경되었고 1977년 이후 하부 라이트의 경우 위의 붉은 '수염(눈썹)'이 생략되었다. 그러나 센다이 소속 및 가쓰다 구에 전출 후 1985년 이후에 '수염'이 복원되었다.

분할 민영화 때에는 JR동일본에 승계되어 독자적 도장으로의 변경과 밀착 연결기의 교체 등을 시공했다. 2000년까지 훈련차 편성에 조성된 차량을 제외하고 폐차되었다. 2007년에 끝까지 잔존한 17도 폐차되었다.

쿠하 481-1 - 18 제조사별 분류
신제작 배치예산제조 연도가와사키 차량히타치 제작소
무코마치39년 제1차 민유 차량19641 - 45 - 8
39년 제4차 채무19659 - 1415 - 18


  • '''모하 481·480-1 - 26'''


신조후에는 호쿠리쿠 특급[276]이나 산요·규슈 특급으로 사용되었지만 산요 신칸센 하카타 개업에 수반한 1975년 3월 10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전차량 가고시마 운전소(현·가고시마 종합 차량소)에 전속하여 규슈 지구에서만 사용되었다. 1982년부터 노후화에 수반한 폐차가 시작되어 1985년에 전차량 폐차되었다[277].

모하 481+480형 제조사별 분류
신제작 배치예산제조 연도가와사키 차량히타치 제작소
무코마치39년 제1차 민유 차량19641 - 56 - 11
39년 제4차 채무196512 - 2021 - 26


  • '''사로 481-1 - 18'''


1등차(현 그린차)로 객실 정원은 48명. 레이아웃은 앞 위측에서 일본식 화장실+화장실·객실·출입대·전무 차장실 양변기+세면소로 181계와는 다르다.

사로 481형 제조사별 분류
신제작 배치예산제조 연도가와사키 차량히타치 제작소기차제조
무코마치39년 제1차 민유 차량1964 1 - 7
39년 제4차 채무19658 - 1314 - 18 


  • '''사시 481-1 - 9'''


조리에 전기 레인지를 사용하기 위해 자가 급전용 70kVA의 MG를 탑재한 식당차이다. 기본 구조는 사시 151형에 준하고 있지만 회송 운전대가 조리실 측 처면에도 설치되고 당초부터 FRP제 의자를 채용하는 등 사시 151형과의 차이점이 있다. 또한 그것까지 전동차·디젤동차의 식당차에 설치되어 있던 열차 위치 표시기는 본 형식부터 폐지되었다.

사시 481형 제조사별 분류
신제작 배치예산제조 연도긴키 차량
무코마치39년 제1차 민유 차량19641 - 5
39년 제4차 채무19656 - 9



4. 1. 481계

481계 전동차는 1964년 호쿠리쿠 본선의 특급 열차 운행을 위해 도입되었으며, 1,500V 직류 또는 20kV 교류(60Hz) 전원 공급 방식으로 운행할 수 있었다.[1] 1964년 8월 호쿠리쿠 본선 가나자와 - 도야마 조차장(현재: 도야마 화물) 간 교류 전철화 완성에 따라 1964년 10월 1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신설된 '라이쵸', '시라사기'에서의 운용을 위해 제조되어, 같은 해 12월 25일부터 운용을 시작했다.

호쿠리쿠 특급용으로 1964년에 모하 481형·모하 480형 전동차 유닛이 11개 편성 22량과 제어·부수차가 총 19량으로 11량 편성×3개 편성과 예비차 8량의 총 41량이 신규 제작되었다. 이듬해 1965년에는 151계 전동차로 운행되던 규슈 특급 '쓰바메', '하토'의 대체용으로 11량 편성×5개 편성과 예비차 1량의 총 56량이 증비되었다. 신규 제작 시에는 무코마치 운전소(교토 종합 운전소를 거쳐 현재: 스이다 종합 차량소 교토 지소)에 집중 배치되어, 호쿠리쿠 특급과 산요·규슈 특급에서 광역 운용이 실시되었다.

151계는 계열 내에 10종류의 형식이 준비되었지만, 481계에서는 운용 효율 등의 관점에서 제어차 쿠하 481형, 전동차 모하 481형 및 모하 480형, 1등차(후의 그린차) 사로 481형, 식당차 사시 481형의 5형식으로 집약되었다. 운용 개시 시의 편성은 1등차를 2량, 식당차 1량을 조합한 11량 편성이었다.

제어차의 전면 형상은 151계 '고다마형'에 준한 보닛 스타일이다. 보닛 내부는 151계와 마찬가지로 기기실로, 삼상 교류 440V・60Hz, 정격 용량 150kVA를 출력하는 MH93-DM55A형 전동 발전기(MG)와 용량 2950L/min의 MH92B-C3000A형 공기 압축기(CP)를 탑재했다. 보닛 측면 하부에는 통풍 그릴이 설치되었으며, 쿠하 151형의 2개소에서 3개소로 증설되었다.

운전대는 후방에 감시창을 설치했지만, 지붕에 대한 조형이 약간 다르다. 차체 높이가 높아진 부분을 미등 하부의 밑단 치수를 줄임으로써 조정하고, 운전실 상부 높이는 151계와 같은 3,880mm로 했다. 전등 옆 좌우의 마커 라이트[9]가 생략되었다. 또한 신조 시에는 백미러가 부착되었지만, 파손이 많고 보수가 곤란했기 때문에, 증비차를 포함해 대부분이 1970년대 전반에 철거되었다. 또한 당초에는 후방 방호용으로 편성 마지막이 되는 경우에는 하부 전조등에 적색 필터를 부착한 외, 불시 정차 시용으로 교호 점멸 회로가 탑재되었지만, ATS의 완비 등에 의해 1966년 10월에 폐지되었다.

차체 도색은 적 2호와 크림 4호의 이른바 '국철 특급색'이다. 쿠하 481형 중 1964년 신제작차의 쿠하 481-1 - 8은 직류형인 151계와의 구별을 위해 운전대 하부의 스커트가 적색으로 칠해졌지만, 1965년 증비차의 쿠하 481-9 - 18은 보닛에 '수염'이 들어갔고, 도호쿠 특급용 483계의 등장에 의해 50Hz・60Hz를 식별하기 위해 스커트가 적색과 크림색 띠로 칠해졌다. 후에 1 - 8도 동일한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좌석은 161계와 같고, 1등차(후의 그린차)가 리클라이닝 시트의 R24형, 2등차(후의 보통차)가 회전 크로스 시트의 T17계로 했다.

  • 쿠하 481-1 - 18


제어차. 보닛형 선두부에는 쿠하 151형·161형처럼 150kVA 전동 발전기(MG) 및 용량 3,000l/min의 공기 압축기(CP)가 탑재되었지만, 운전대는 후방에 감시창을 설치하는 것으로 인해 지붕에 모양이 약간 서로 다르고 전조등 및 옆 좌우의 마커등[275]이 생략되었다. 당초에는 후방 방호용으로 편성 최후부인 경우에는 하부 전조등에 빨간색 필터를 설치했고 비상 정차시용으로 교대 점멸 회로가 탑재되었으나 ATS의 완비 등에 의해 1966년 10월에 폐지되었다. 보닛 외기 취입 그릴이 쿠하 151형의 2곳에서 3곳으로 증설되었다.

1964년 신제차의 1-8은 등장 당초 배장기를 적색으로 한 이외에 151계(181)계에 준한 도장이 되고 있었지만, 다음 1965년 증비차의 9-18부터 교직 양용 차량임을 나타내는 하부 라이트의 경우 위에 붉은 '수염(눈썹)'으로 불리는 도장의 추가와 빨간 배장기의 정권에 크림대를 추가한 도장으로 변경되었다. 나중에 1-8도 같은 도색으로 변경되고 이것이 '교류 60Hz 구간 한정 편성(481계)'으로 표시하였다.

신조시에는 백미러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파손이 많고 보수가 곤란했기 때문에 대부분이 증비차도 포함하여 1970년대 전반에 철거되었다. 본 그룹은 산요 신칸센 하카타 개업에 따른 1975년 3월 10일의 다이아 개정으로 큐슈 지구로 전출 후 12·14·17은 가고시마 소속 시절, 나머지는 1985년 가쓰다 전차구 이동 전출 후 1986년 3월까지 고리야마 공장(현 고리야마 종합 차량센터)에서의 검수 때 배장기부가 크림색으로 변경되었고 1977년 이후 하부 라이트의 경우 위의 붉은 '수염(눈썹)'이 생략되었다. 그러나 센다이 소속 및 가쓰다 구에 전출 후 1985년 이후에 '수염'이 복원되었다.

분할 민영화 때에는 JR동일본에 승계되어 독자적 도장으로의 변경과 밀착 연결기의 교체 등을 시공했다. 2000년까지 훈련차 편성에 조성된 차량을 제외하고 폐차되었다. 2007년에 끝까지 잔존한 17도 폐차되었다.

쿠하 481-1 - 18 제조사별 분류
신제작 배치예산제조 연도가와사키 차량히타치 제작소
무코마치39년 제1차 민유 차량19641 - 45 - 8
39년 제4차 채무19659 - 1415 - 18


  • 모하 481·480-1 - 26


신조후에는 호쿠리쿠 특급[276]이나 산요·규슈 특급으로 사용되었지만 산요 신칸센 하카타 개업에 수반한 1975년 3월 10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전차량 가고시마 운전소(현·가고시마 종합 차량소)에 전속하여 규슈 지구에서만 사용되었다. 1982년부터 노후화에 수반한 폐차가 시작되어 1985년에 전차량 폐차되었다[277].

모하 481+480형 제조사별 분류
신제작 배치예산제조 연도가와사키 차량히타치 제작소
무코마치39년 제1차 민유 차량19641 - 56 - 11
39년 제4차 채무196512 - 2021 - 26


  • 사로 481-1 - 18


1등차(현 그린차)로 객실 정원은 48명. 레이아웃은 앞 위측에서 일본식 화장실+화장실·객실·출입대·전무 차장실 양변기+세면소로 181계와는 다르다.

사로 481형 제조사별 분류
신제작 배치예산제조 연도가와사키 차량히타치 제작소기차제조
무코마치39년 제1차 민유 차량1964 1 - 7
39년 제4차 채무19658 - 1314 - 18 


  • 사시 481-1 - 9


조리에 전기 레인지를 사용하기 위해 자가 급전용 70kVA의 MG를 탑재한 식당차이다. 기본 구조는 사시 151형에 준하고 있지만 회송 운전대가 조리실 측 처면에도 설치되고 당초부터 FRP제 의자를 채용하는 등 사시 151형과의 차이점이 있다. 또한 그것까지 전동차·디젤동차의 식당차에 설치되어 있던 열차 위치 표시기는 본 형식부터 폐지되었다.

사시 481형 제조사별 분류
신제작 배치예산제조 연도긴키 차량
무코마치39년 제1차 민유 차량19641 - 5
39년 제4차 채무19656 - 9



4. 2. 483계

483계는 1965년 도호쿠 본선 모리오카까지의 전철화에 따라 키하 80계로 운행되었던 모리오카행 특급 '야마비코[10]'와 센다이행 특급 '히바리'의 전철화용으로 제조되었다.[278] 1,500V DC 또는 20kV AC(50Hz) 가선 전원 공급 하에서 운행할 수 있었으며,[1] 1965년부터 1966년까지 센다이 운전소(현 센다이 차량센터)에 배치되었다. 483계에서 무동력 객차는 481계로 분류되었다.[1]

엄밀한 의미로 483계는 모하 483형·482형의 2형식뿐이며, 481계와의 차이는 탑재하는 주변압기가 교류 50Hz용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모하 483·482형과 모하 481·480형의 큰 차이는 탑재하는 주변압기이며, 기본 구조는 동일하다. 주변압기는 453계에서 채용된 TM9이다.

쿠하481형
크림색 스커트 차량
도호쿠 지구용 타이폰(태풍 경보기) 이전 공사 완료


쿠하 481형은 선두부 도색에 '수염'이 있었지만, 스커트는 50Hz 대응 식별을 위해 크림색으로 변경되었다. 쿠하 481-26은 보닛 하부 통풍 그릴이 3개에서 2개로 변경된 변칙 차량이다. 쿠하 481-19·20·22·24는 1982년 도호쿠 신칸센 개업으로 미나미 후쿠오카 전차구(현 미나미 후쿠오카 차량구)로 전출되었으나, 이후 붉은 '수염(눈썹)'이 생략되었다. 그러나 1985년 이후 조반 선 '히타치'로 재전용되면서 '수염'을 복원했다.

분할 민영화 시 쿠하 481형(19 - 28) 전 차량은 JR 동일본에 승계되었고, 영업용 차량은 1999년까지, 훈련차로 전용된 24·26은 2007년까지 폐차되었다. 21·28은 조이풀 트레인 "하나"의 선두차로 개조되어 2022년까지 운용되었다. 모하 483형·모하 482형(1 - 15) 중 12 - 15는 JR 동일본으로 승계되어 1990년에 폐차되었다. 사로 481형(19 - 25)은 1968년 편성 변경으로 쿠로 481형 50번대로 개조되었다. 사시 481형(10 - 14)는 신제 배치된 센다이 운전소에서 전속 없이 1981년 - 1984년에 폐차되었다.

쿠하481-19 - 28 제조 메이커별 분류
신제 배치예산제조 연도일본 차량긴키 차량
센다이39년 제4차 채무196519·2021 - 26
39년 제5차 채무196727·28 



모하483+482형 제조 메이커별 분류
신제 배치예산제조 연도일본 차량기샤 회사히타치 제작소
센다이39년 제4차 채무19651 - 45 - 8 
39년 제5차 채무9·1011 - 13
40년 제2차 민유 차량1966 14·15



사로481-19 - 25 제조 메이커별 분류
신제 배치예산제조 연도기샤 회사
센다이39년 제4차 채무196519 - 22
39년 제5차 채무23 - 25



사시481-10 - 14 제조 메이커별 분류
신제 배치예산제조 연도긴키 차량
센다이39년 제1차 민유 차량196510 - 13
39년 제4차 채무14


4. 3. 485계

전동차 유닛을 교류 50 Hz・60 Hz 공용으로 하고, 국철 재래선 모든 전철화 방식에 대응하는 3전원형의 모하485・모하484로 변경한 그룹으로, 1968년부터 1979년까지 제조되었다.

  • 3전원 구간을 직통하는 정기 열차는 오사카 - 아오모리의 "하쿠쵸" 뿐이었지만, 본래의 목적은 차량 운용과 전국적인 광역 전속의 자유도에 있었다.


제조 기간이 장기간에 걸쳐, 그 사이에 큰 설계 변경이나 파생 형식의 제조 등이 이루어졌으며, TM14형 주 변압기는 냉각 및 절연용으로 사용되던 PCB (폴리염화 바이페닐) 변압기유의 독성이 문제[11]가 되었기 때문에, 신조차에서는 1974년 (쇼와 49년) 제조의 1500번대부터 변압기유에 실리콘 오일을 사용한 TM20형으로 변경. 그 이전의 차량도 순차적으로 교환 공사가 시행되었다.

  • '''481계''': 복전압 (1,500V 직류 / 20kV 교류 (60Hz), 1964년 도입)
  • '''483계''': 복전압 (1,500V 직류 / 20kV 교류 (50Hz), 1965년 도입)
  • '''485계''': 복전압 (1,500V 직류 / 20kV 교류 (50Hz/60Hz), 1968년 도입)


== 초기형 (1968년 - 1972년) ==

1972년 제조차[280]는 공기 용수철을 밸로즈식에서 다이어프램식으로 변경한 DT32E·TR69E형이 되었다.

쿠로 481-104
1992년 7월 하카타


쿠하 481형 100번대


; 쿠하 481-29 - 40

배장기를 483계 그룹의 19 - 28과 동일한 눈썹이 있는 크림색으로 했으며 1969년산 이후 30- 및 이후 쿠로 481-5는 보닛 외기 취입 그릴의 슬릿 형상이 가로형에서 세로형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후방 방호용의 빨간색 필터나 비상 정차시용 교대 점멸 회로는 신조 때부터 아직 미탑재이다.

무코마치 배치차는 1975년에 전체 차량 가고시마 운전소로, 1985년에 센다이 배치의 29.30는 무코마치로 전출, 1986년 가미누마로 재전출되었다.

큐슈 지구 배치차는 1977년 이후 '수염(눈썹)'이 생략되었으나 센다이 및 가쓰다구로 재전출된 31·32·34·36·38·40은 1985년 이후 '수염'을 복원했다.

분할 민영화 때에는 29-32·34·36·38·40이 JR동일본에, 그 외에는 JR큐슈에 승계되었다. 두 회사 모두 자체 도색으로의 변경과 밀착 연결기 교체 등의 개조가 시공되었지만, JR큐슈에서는 1996년까지 JR동일본에서는 2000년까지 조이풀 트레인의 부수차가 된 차량을 제외하고 폐차되었다.

:; 쿠하 481형 제조 회사별 분류

신제시 형태신제
배치
예산신제 년도별
순서
히타치 제작소닛폰 차량긴키 차량도큐 차량
배장기수염슬릿
크림측면센다이1967년 제2차 채무1968 29 
세로1968년 제4차 채무1969 30 
무코마치 31・3233・34
1968년 제5차 채무35・36 
1969년 민유 차량1970 37・38
1970년 제1차 채무197139・40 



; 쿠로 481-1 - 5

1968년 오우 본선 야마가타·반에쓰사이선 기타카타 구간 전철화 완성에 의해 '야마바토' '아이즈'가 본 계열화되었지만, 센다이 운전소의 편성에는 다음의 제약이 부과되었다.


  • 오우 본선 이타야 고개 구배 구간의 자력 주행 성능 때문에 M:T비 2:1이상 확보.
  • 반에쓰사이선에서의 홈 유효장 문제로 식당차와 1등차를 동시 연결하여 9량화.


이 때문에 닛폰 차량 제조에서 생산된 센다이 운전소에 집중 배치된 것이 본 형식이다. 정원은 36명. 차장실·화장실·세면소·출입문을 객실 후방에 설치하고 냉방 장치는 AU12형을 4기 탑재했다. 또한 이미 배치된 사로 481형→ 쿠로 481형 50번대 개조 공사도 시공되었지만 신조 차량 개조차에 맞춘 설계로 되었기 때문에 길이는 쿠하 481형 0번대보다 짧은 21,100 mm가 되었다.

1.2는 1975년에 미나미 후쿠오카로, 3-5는 1983년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에서 쿠하 481형 600번대로 개조 시공된 후 이곳에 전출했지만 1량은 쿠로 481형으로 복원 및 원번호로 환원되었다. 전체 차량 모두 분할 민영화 때에는 JR큐슈에 승계되었다. 1995년까지 폐차되었다.

:; 쿠로 481-1 - 5 이력

차량
번호
제조
회사
예산완성 날짜신제
배치
큐슈 지구
배치
쿠로 481
개조
폐차된 날짜비고
1닛폰 차량1967년 제2차 채무1968.06.03센다이1975.05.30
미나미 후쿠오카
 1993.04.23
가고시마
 
21968.06.041975.06.06
미나미 후쿠오카
31968.06.061983.10.05
가고시마
6011993.11.07
가고시마
41968.06.066021993.03.24
가고시마
1988.12.04
쿠로 481-4로 환원
51968년 제4차 채무1969.06.271983.10.31
가고시마
6031995.03.24
미나미 후쿠오카
큐슈 철도 기념관
정태 보존 차량



; 쿠로·쿠하 481형 100번대

1971년부터 생산되었으며 마이너 체인지에 의해 구분된 번대로 아래의 설계 변경을 실시했다.


  • 전조등을 백열등에서 쉴드빔으로 변경했다.
  • MG의 소형·대용량화(150kVA→210kVA)로 보닛내에서 바닥밑으로 이전.
  • CP만 보닛내 냉각용의 외부 공기 유입구로 덕트장의 커버를 장착.
  • 타이폰은 쿠하 481·쿠로 481과 101만 스커트부 설치로 완성되었지만 102 이후는 보닛으로 이전되었다[281].


; 쿠로 481-101 - 104

전차량 센다이 운전소에 신조 배치[282]되었다. 쿠하 481-101 - 104도 각각 같은 날 센다이에 배치되었다. 1982년에 쿠로 481형은 4량 모두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에 전속하고 후에 JR큐슈에 승계되었다. 1988년에는 가고시마 운전소에 전속했다. 1995년부터 1996년에 걸쳐 전차량 폐차되었다.

:; 쿠로 481-101 - 104 이력

차량 번호신제 회사예산완성 날짜신제 배치미나미후쿠오카 전속가고시마 전속폐차 날짜
101닛폰 차량1970년 제2차 채무1971.06.30센다이1982.12.021988.03.071995.03.24
102도큐1971년 본 예산1971.12.231982.10.021988.03.02
103히타치 제작소1971.12.221982.09.251988.03.011995.10.05
1041971년 제1차 채무1972.02.241982.10.151988.02.271996.03.31



; 쿠하 481-101 - 126

전술의 101 - 104가 센다이에, 105 - 108·111·112·119 - 124[283]가 무코마치 운전소에, 109[284]·110·113 - 118·125·126이 아오모리 운전소(현·아오모리 차량 센터)에 신제 배치되었다. 그러나 아오모리 배속차는 전차량 1973년 1월까지 무코마치에 전출되었다. 또한 101 - 104도 1985년에 무코마치로 전출되었기 때문에 그룹 전차량이 무코마치에 배치된다[285]. 그러나 분할 민영화 직전의 1986년 11월 - 12월에 걸쳐 무코마치에서 아래의 10량이 전출되었다.


  • →가나자와 운전소[286]
  • * 104·107 - 110·113·115·124·125
  • →가미눗타리 운전구(현 니가타 차량 센터)
  • * 102

이 결과 102만이 JR동일본으로, 이외에는 JR서일본에 승계되었지만 2004년까지 전차량 폐차되었다.

:; 쿠하 481형 100번대 제조 회사별 분류

신제 배치예산제조 년도별 순서도큐 차량히타치 제작소닛폰 차량가와사키 중공업
센다이1970년 제2차 채무1971 101 
1971년 본 예산102103 
1971년 제1차 채무1972 104 
아오모리1971년 제2차 채무 125・126 109・110・113 - 118
무코마치105・106119 - 124107・108111・112



; 모하 485·484-1 - 96

기본 설계는 모하 481+480·모하 483+482부터 계속 이어지고 있지만 3전원 대응 외에 측면 출입문 포켓에 장착되고 있던 측면 표시등을 차체 중앙으로 집중하는 설계 변경을 했다.

무코마치 운전소에는 481계의 센다이 운전소에는 483계 증비차로 배치되었고, 1972년부터는 아오모리 운전소(현 아오모리 차량센터)에도 배치되었다.

분할 민영화 때에는 JR동일본·JR서일본·JR큐슈에 승계되었지만, JR큐슈에서는 1994년까지, JR동일본에서는 훈련차 편성에 포함된 모하 485-61이 2007년 JR서일본에서는 교토 종합 운전소 배치 차량이 2011년에 각각 폐차되어 구분 소멸했다.

모야 484-2에서 복원된 모하 484-61이 철도 박물관에 정태 보존되어 있다.

:; 모하 485.484형 제조 회사별 분류

제조 년도별 순서신제 배치도큐 차량히타치 제작소닛폰 차량긴키 차량기샤 회사가와사키 중공업
1968센다이1 - 1213 - 17 
1969 18 - 20 
무코마치24 - 2728 - 30 21 - 23 
1970센다이 34 - 36 37 - 43 
무코마치31 - 33 
1971센다이50 - 5354 - 5747 - 49 
무코마치 44 - 46 
1972센다이 58 - 61 
무코마치62 - 6482 - 8865 - 67 72 - 74
아오모리 89 - 96 68 - 71
75 - 81



; 사하 481-1 - 14

1970년 높은 수요로 인해 12량화된 '히바리', '야마비코'용으로 1970년부터 1972년에 걸쳐 전차량 센다이 운전소에 신조 배치되었다.


  • 1972년 1·2는 사하 489형으로 개조, 3 - 11은 1975년에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로 전출되었다. 1978년 12 이후의 센다이 소속은 사하 481형 100번대와 주고받는 식으로 무코마치 운전소에 전속 후 1984년 - 1985년에 쿠하 480형으로 개조되었다. 미개조차는 1996년 - 2000년에 걸쳐 전차량 폐차되어 구분 소멸하였다.

:; 사하 481형 제조 회사별 분류

제조 년도별 순서신제 배치닛폰 차량기샤 회사도큐 차량히타치 제작소
1970센다이1 - 56 - 10 
197111 1213
1972 14



; 사로 481-26 - 51

그린차로 객실 정원은 48명이다. 전위측에서 일본식 화장실·세면소, 출입대, 전무 차장실, 서양식 화장실·세면소의 순서로 레이아웃 되고 있어 181계와는 다르다. 1979년 이후 큐슈 배속차는 서양식 화장실·세면소를 폐지하고 그 부분에 차내 판매 준비실을 설치하고 있다.

:; 사로 481형 제조 회사별 분류

제조
년도별 순서
신제
배치
가와사키 중공업히타치 제작소긴키 차량도큐 차량닛폰 차량
1969무코마치 26・27・30・3128 - 29 
1970 34・35 32・33 
197241・4246 - 49 36・3738・39
아오모리40・43 - 4550・51 



; 사시 481-15 - 39

1965년까지 제조된 1 - 14와는 내장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어 객실 창문의 커튼이 베네살 블라인드를 채용하는 등의 설계 변경이 실시되었다.

:; 사시 481형 제조 회사별 분류

제조 년도별 순서신제 배치긴키 차량히타치 제작소닛폰 차량도큐 차량가와사키 중공업
1968센다이15・1617 - 20 
1969 21 
무코마치22 - 24 
1970 26 25 
1971센다이 28 27 
1972 29 
무코마치 36・37313033
아오모리 38・3932 34・35


4. 3. 1. 초기형 (1968년 - 1972년)

1972년 제조차[280]는 공기 용수철을 밸로즈식에서 다이어프램식으로 변경한 DT32E·TR69E형이 되었다.

; 쿠하 481-29 - 40

배장기를 483계 그룹의 19 - 28과 동일한 눈썹이 있는 크림색으로 했으며 1969년산 이후 30- 및 이후 쿠로 481-5는 보닛 외기 취입 그릴의 슬릿 형상이 가로형에서 세로형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후방 방호용의 빨간색 필터나 비상 정차시용 교대 점멸 회로는 신조 때부터 아직 미탑재이다.

무코마치 배치차는 1975년에 전체 차량 가고시마 운전소로, 1985년에 센다이 배치의 29.30는 무코마치로 전출, 1986년 가미누마로 재전출되었다.

큐슈 지구 배치차는 1977년 이후 '수염(눈썹)'이 생략되었으나 센다이 및 가쓰다구로 재전출된 31·32·34·36·38·40은 1985년 이후 '수염'을 복원했다.

분할 민영화 때에는 29-32·34·36·38·40이 JR동일본에, 그 외에는 JR큐슈에 승계되었다. 두 회사 모두 자체 도색으로의 변경과 밀착 연결기 교체 등의 개조가 시공되었지만, JR큐슈에서는 1996년까지 JR동일본에서는 2000년까지 조이풀 트레인의 부수차가 된 차량을 제외하고 폐차되었다.

:; 쿠하 481형 제조 회사별 분류

신제시 형태신제
배치
예산신제 년도별
순서
히타치 제작소닛폰 차량긴키 차량도큐 차량
배장기수염슬릿
크림측면센다이1967년 제2차 채무1968 29 
세로1968년 제4차 채무1969 30 
무코마치 31・3233・34
1968년 제5차 채무35・36 
1969년 민유 차량1970 37・38
1970년 제1차 채무197139・40 



; 쿠로 481-1 - 5

1968년 오우 본선 야마가타·반에쓰사이선 기타카타 구간 전철화 완성에 의해 '야마바토' '아이즈'가 본 계열화되었지만, 센다이 운전소의 편성에는 다음의 제약이 부과되었다.


  • 오우 본선 이타야 고개 구배 구간의 자력 주행 성능 때문에 M:T비 2:1이상 확보.
  • 반에쓰사이선에서의 홈 유효장 문제로 식당차와 1등차를 동시 연결하여 9량화.


이 때문에 닛폰 차량 제조에서 생산된 센다이 운전소에 집중 배치된 것이 본 형식이다. 정원은 36명. 차장실·화장실·세면소·출입문을 객실 후방에 설치하고 냉방 장치는 AU12형을 4기 탑재했다. 또한 이미 배치된 사로 481형→ 쿠로 481형 50번대 개조 공사도 시공되었지만 신조 차량 개조차에 맞춘 설계로 되었기 때문에 길이는 쿠하 481형 0번대보다 짧은 21,100 mm가 되었다.

1.2는 1975년에 미나미 후쿠오카로, 3-5는 1983년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에서 쿠하 481형 600번대로 개조 시공된 후 이곳에 전출했지만 1량은 쿠로 481형으로 복원 및 원번호로 환원되었다. 전체 차량 모두 분할 민영화 때에는 JR큐슈에 승계되었다. 1995년까지 폐차되었다.

:; 쿠로 481-1 - 5 이력

차량
번호
제조
회사
예산완성 날짜신제
배치
큐슈 지구
배치
쿠로 481
개조
폐차된 날짜비고
1닛폰 차량1967년 제2차 채무1968.06.03센다이1975.05.30
미나미 후쿠오카
 1993.04.23
가고시마
 
21968.06.041975.06.06
미나미 후쿠오카
31968.06.061983.10.05
가고시마
6011993.11.07
가고시마
41968.06.066021993.03.24
가고시마
1988.12.04
쿠로 481-4로 환원
51968년 제4차 채무1969.06.271983.10.31
가고시마
6031995.03.24
미나미 후쿠오카
큐슈 철도 기념관
정태 보존 차량



; 쿠로·쿠하 481형 100번대

1971년부터 생산되었으며 마이너 체인지에 의해 구분된 번대로 아래의 설계 변경을 실시했다.


  • 전조등을 백열등에서 쉴드빔으로 변경했다.
  • MG의 소형·대용량화(150kVA→210kVA)로 보닛내에서 바닥밑으로 이전.
  • CP만 보닛내 냉각용의 외부 공기 유입구로 덕트장의 커버를 장착.
  • 타이폰은 쿠하 481·쿠로 481과 101만 스커트부 설치로 완성되었지만 102 이후는 보닛으로 이전되었다[281].


; 쿠로 481-101 - 104

전차량 센다이 운전소에 신조 배치[282]되었다. 쿠하 481-101 - 104도 각각 같은 날 센다이에 배치되었다. 1982년에 쿠로 481형은 4량 모두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에 전속하고 후에 JR큐슈에 승계되었다. 1988년에는 가고시마 운전소에 전속했다. 1995년부터 1996년에 걸쳐 전차량 폐차되었다.

:; 쿠로 481-101 - 104 이력

차량 번호신제 회사예산완성 날짜신제 배치미나미후쿠오카 전속가고시마 전속폐차 날짜
101닛폰 차량1970년 제2차 채무1971.06.30센다이1982.12.021988.03.071995.03.24
102도큐1971년 본 예산1971.12.231982.10.021988.03.02
103히타치 제작소1971.12.221982.09.251988.03.011995.10.05
1041971년 제1차 채무1972.02.241982.10.151988.02.271996.03.31



; 쿠하 481-101 - 126

전술의 101 - 104가 센다이에, 105 - 108·111·112·119 - 124[283]가 무코마치 운전소에, 109[284]·110·113 - 118·125·126이 아오모리 운전소(현·아오모리 차량 센터)에 신제 배치되었다. 그러나 아오모리 배속차는 전차량 1973년 1월까지 무코마치에 전출되었다. 또한 101 - 104도 1985년에 무코마치로 전출되었기 때문에 그룹 전차량이 무코마치에 배치된다[285]. 그러나 분할 민영화 직전의 1986년 11월 - 12월에 걸쳐 무코마치에서 아래의 10량이 전출되었다.


  • →가나자와 운전소[286]
  • * 104·107 - 110·113·115·124·125
  • →가미눗타리 운전구(현 니가타 차량 센터)
  • * 102

이 결과 102만이 JR동일본으로, 이외에는 JR서일본에 승계되었지만 2004년까지 전차량 폐차되었다.

:; 쿠하 481형 100번대 제조 회사별 분류

신제 배치예산제조 년도별 순서도큐 차량히타치 제작소닛폰 차량가와사키 중공업
센다이1970년 제2차 채무1971 101 
1971년 본 예산102103 
1971년 제1차 채무1972 104 
아오모리1971년 제2차 채무 125・126 109・110・113 - 118
무코마치105・106119 - 124107・108111・112



; 모하 485·484-1 - 96

기본 설계는 모하 481+480·모하 483+482부터 계속 이어지고 있지만 3전원 대응 외에 측면 출입문 포켓에 장착되고 있던 측면 표시등을 차체 중앙으로 집중하는 설계 변경을 했다.

무코마치 운전소에는 481계의 센다이 운전소에는 483계 증비차로 배치되었고, 1972년부터는 아오모리 운전소(현 아오모리 차량센터)에도 배치되었다.

분할 민영화 때에는 JR동일본·JR서일본·JR큐슈에 승계되었지만, JR큐슈에서는 1994년까지, JR동일본에서는 훈련차 편성에 포함된 모하 485-61이 2007년 JR서일본에서는 교토 종합 운전소 배치 차량이 2011년에 각각 폐차되어 구분 소멸했다.

모야 484-2에서 복원된 모하 484-61이 철도 박물관에 정태 보존되어 있다.

:; 모하 485.484형 제조 회사별 분류

제조 년도별 순서신제 배치도큐 차량히타치 제작소닛폰 차량긴키 차량기샤 회사가와사키 중공업
1968센다이1 - 1213 - 17 
1969 18 - 20 
무코마치24 - 2728 - 30 21 - 23 
1970센다이 34 - 36 37 - 43 
무코마치31 - 33 
1971센다이50 - 5354 - 5747 - 49 
무코마치 44 - 46 
1972센다이 58 - 61 
무코마치62 - 6482 - 8865 - 67 72 - 74
아오모리 89 - 96 68 - 71
75 - 81



; 사하 481-1 - 14

1970년 높은 수요로 인해 12량화된 '히바리', '야마비코'용으로 1970년부터 1972년에 걸쳐 전차량 센다이 운전소에 신조 배치되었다.


  • 1972년 1·2는 사하 489형으로 개조, 3 - 11은 1975년에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로 전출되었다. 1978년 12 이후의 센다이 소속은 사하 481형 100번대와 주고받는 식으로 무코마치 운전소에 전속 후 1984년 - 1985년에 쿠하 480형으로 개조되었다. 미개조차는 1996년 - 2000년에 걸쳐 전차량 폐차되어 구분 소멸하였다.

:; 사하 481형 제조 회사별 분류

제조 년도별 순서신제 배치닛폰 차량기샤 회사도큐 차량히타치 제작소
1970센다이1 - 56 - 10 
197111 1213
1972 14



; 사로 481-26 - 51

그린차로 객실 정원은 48명이다. 전위측에서 일본식 화장실·세면소, 출입대, 전무 차장실, 서양식 화장실·세면소의 순서로 레이아웃 되고 있어 181계와는 다르다. 1979년 이후 큐슈 배속차는 서양식 화장실·세면소를 폐지하고 그 부분에 차내 판매 준비실을 설치하고 있다.

:; 사로 481형 제조 회사별 분류

제조
년도별 순서
신제
배치
가와사키 중공업히타치 제작소긴키 차량도큐 차량닛폰 차량
1969무코마치 26・27・30・3128 - 29 
1970 34・35 32・33 
197241・4246 - 49 36・3738・39
아오모리40・43 - 4550・51 



; 사시 481-15 - 39

1965년까지 제조된 1 - 14와는 내장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어 객실 창문의 커튼이 베네살 블라인드를 채용하는 등의 설계 변경이 실시되었다.

:; 사시 481형 제조 회사별 분류

제조 년도별 순서신제 배치긴키 차량히타치 제작소닛폰 차량도큐 차량가와사키 중공업
1968센다이15・1617 - 20 
1969 21 
무코마치22 - 24 
1970 26 25 
1971센다이 28 27 
1972 29 
무코마치 36・37313033
아오모리 38・3932 34・35


4. 3. 2. 중기형 (1972년 - 1973년)

1972년 하반기부터 1976년까지 제조된 그룹으로 무코마치 운전소·센다이 운전소·아오모리 운전소에 신제 배치되었다. 다음과 같은 큰 설계 변경이 실시되었다.

  • 쿠하 481형은 장래 예상되는 분할·병합 운전을 고려하여 보닛이 폐지되고, 전면 관통형을 채용했다.[287]
  • 냉방 장치는 모하 484형에서는 1기로 1량 전체를 냉방할 수 있는 AU71형 집중식 냉방 장치로, 그 외의 형식에서는 AU13E형 분산식 냉방 장치 5기 탑재로 변경되었다. 특징적인 버섯형 커버를 가진 AU12형이나 얇은 판자 프레스의 차내 루버는 폐지되어 기능면이 우선되었다.


모하 484형은 200번대, 모하 484형이 200번대 외에 600번대의 번대 구분이 되었지만, 모하 485형·사로 481형·사시 481형은 냉방 장치 이외에 큰 설계 변경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 차량의 순서를 그대로 이어갔다.

'''쿠하 481-201 - 263'''

쿠하481형 200번대


관통형으로의 설계 변경 외에 210 KVA MG와 용량을 2,000 l/min으로 변경한 CP를 바닥 밑 탑재에 연결면 차체 길이도 21,000 mm로 단축되었지만 객실 공간은 확대되어 정원은 0.100번대부터 8명 증가한 64명으로 늘었다. 구조적으로는 쿠하네 581형·583형처럼 외부문으로 관통문 등을 감추지만 외부문 개폐는 공기 실린더로 자동화되었다. 선두의 열차명 표시는 관통문 폭 문제로 소형의 정방형 수동식이다.

영업 운행에서의 정면 관통로 사용 개시는 1985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에 의해 '쿠로시오'[288]부터이며, 그 이전부터 사용할 전망이 없는 차량은 부식 방지나 외풍 대책으로 외부문 용접, 혹은 관통로를 완전히 채워 넣는 개조가 실시되었다. 분할 병합 운용에 대해서는 1976년부터 나가사키 본선·사세보 선 '카모메'·'미도리'에서도 실시되었으나 이 때는 정면 관통로를 일절 사용하지 않았다.

본 구분은 모두 63량이 제조되었지만 신조시 그 2/3에 해당하는 42량이 아오모리 운전소에, 21량이 무코마치 운전소에 집중 배치되었다. 아오모리에는 100번대도 10량이 배치되었지만 200번대 배치에 따른 전체 차량이 무코마치 운전소로 조기 전출되었다. 이것은 당시 도호쿠 본선 계통과 오우 본선 계통의 특급을 후쿠시마 역에서 분할·병합 운행할 계획이어서 그 준비 단계로 집중 배치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홈 유효장의 문제·오우 본선 이타야 고개 구배에 의한 M:T비 2:1의 제약·신형식 도입의 필요성과 수송량 등의 사정[289] 등으로 계획은 백지화되었다. 더 나아가 단점인 틈새 바람과 거주성의 불편이 승무원으로부터 외면받고, 300번대 이후의 비관통형 쿠하에 설치가 진행된 아오모리 소속은 국철 시대에 호쿠리쿠·큐슈 지구로 전차량 전출[290]되었다.

아오모리 소속 203·204[291]·207·208에는 전기 연결기와 자동 해결 장치 및 자동 관통막 인출 장치가 시험적으로 탑재되어 있었다. 이들은 분할·병합 운용시 작업의 에너지 절약화를 겨냥한 것이었으나 몇번 시험되는 데 그쳐 1976년에 철거[292]되었다.

운전실에서의 승하차는 1972년 제조차가 발판 방식, 1973년 제조차는 0.100번대와 같은 계단식을 채용했다.

2014년 4월 현재 JR큐슈 소속 256만이 파동 수송 대응으로 운용되는 것 외에는 폐차 또는 보류차이다.

쿠하481-201 - 263 제조 회사별 분류
제조
년도별 순서
신제
배치
도큐
차량
닛폰
차량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긴키
차량
1972아오모리201 - 204205・206
211・212
207・208
213 - 218
227・228
209・210
219・220
 
무코마치 225・226 
1973아오모리235
258・259
221 - 224
254・255
229・230
256・257
237・238
262・263
236
260・261
무코마치233・234
245・246
243・244231・232
251 - 253
239 - 242
247 - 250
 



'''모하 484-201 - 308'''

모하 484-206


AU71형 탑재에 의한 AU41형 상치 냉방 장치 수납 기기실과 업무용실을 폐지했기 때문에 정원이 8명이 증가하여 72명으로 증가했다. 한편 모하 485형은 수 차례로 구분되었기 때문에 그것까지 일치했던 MM'유닛의 차량 번호가 부족했다.

'''모하 484-601 - 602'''

200번대에 차장실과 업무용실을 마련한 번대 구분이다. 정원은 200번대보다 8명 적은 64명이다. 분할 민영화로 JR큐슈에 승계되었다. 일반 특급 열차 여객 전무실은 편성 중앙부에 있는 그린차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도호쿠 특급에서는 센다이 운전소 편성이 우에노 방면 선두차에 쿠로 481형을 편입하고, 아오모리 운전소 편성도 사로 481형은 2호차에 연결되어 편성 중앙부 근처에 여객 전무실을 갖추고 보통차가 필요한 본 번대 구분이 제조되었다. 이 구조는 후의 1000·1500번대에 승계되었다.

모하484형 제조 회사별 분류
신제
년도별 순서
신제
배치
도큐
차량
닛폰
차량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긴키
차량
1972아오모리201 - 208209 - 212
221 - 224
213 - 216
230 - 233
247・248
602
217 - 220 
무코마치 225 - 229
243 - 246
234 - 236 
1973아오모리293 - 296237 - 239
285 - 288
601
289 - 292262 - 264
301 - 308
297 - 300
무코마치256 - 258
273・274
240 - 242
271・272
277
249 - 255
281 - 284
265 - 270
275・276
278 - 280
259 - 261



'''모하 485-97 - 206'''

모하 485형 제조 회사별 분류
제조
년도별 순서
신제
배치
도큐
차량
닛폰
차량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긴키
차량
1972아오모리97 - 104105 - 108
117 - 120
109 - 112
126 - 129
144 - 146
113 - 116 
무코마치 121 - 125
140 - 143
130 - 132 
1973아오모리191 - 194133 - 136
183 - 186
187 - 190160 - 162
199 - 206
195 - 198
무코마치154 - 156
171・172
147 - 153
169・170
147 - 153
179 - 182
163 - 168
173 - 178
157 - 159



'''사로 481-52 - 103'''

사로 481형 제조 회사별 분류
제조
년도별 순서
신제
배치
도큐
차량
닛폰
차량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긴키
차량
1972아오모리52 - 5556・57・5964・72・7358 
무코마치 60 - 63
70・71
65・66 
1973아오모리10167・99100103102
센다이 84 - 86 
무코마치79 - 81
91・92
68・6974 - 78
97・98
87 - 90
93 - 96
82・83



'''사시 481-40 - 72'''

사시 481형 제조 회사별 분류
제조
년도별 순서
신제
배치
도큐
차량
닛폰
차량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긴키
차량
1972아오모리40・4142・4543・48
54・55
44 
무코마치 46・4749・53 
1973아오모리7050・68697271
센다이 60 
무코마치58・6451・52
63・67
56・57
65・66
61・6259


4. 3. 3. 후기형 (1974년 - 1976년)

1974년부터 제조된 그룹이다. 새로이 가나자와 운전소·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아키타 운전소에도 신제 배치되었으며, 아래의 설계 변경·개량이 실시되었다.

  • 쿠하 481형이 관통문을 폐지한 결과 새로운 300번대의 번대 구분을 실시했다.
  • 다른 형식 차량 번호는 중기형의 후속 순서이다.
  • 대차는 동력차가 DT32E형, 부수차는 TR69E형이다.
  • * 쿠하 481-311·313·315 - 354·사로 481-115 - 133·사하 481형 100번대는 제동 실린더가 다이어프램 실린더인 TR69H형으로 변경되었다.
  • 보통차 좌석을 기존의 T-17계 회전 크로스시트에서 R-51계 간이 리클라이닝 시트로 변경했다.
  • 일부 차량에서 순환식 오물처리 장치의 잠정 준비 공사[293]도 실시되었다.


이후에 등장한 각 번대는 기본적으로 이 그룹의 사양을 답습하고 있다.

; 쿠하 481-301 - 354

200번대 기준의 디자인이며 분할·병합 운용의 필요성이 떨어져 틈새 바람 등의 문제가 있었던 관통로의 폐지와 운전실의 거주성 개선 등 설계 변경에 따른 구분으로 1974년 이후에 제조되었다.

  • 차체 길이를 250 mm 연장한 0.100번대와 동일한 연결면으로 차체 길이가 21,250 mm이며, 동시에 운전실 바닥 위 공간이 남아 조수석 하부로 CP를 이전했다.
  • 200번대에서 폐지된 운전실 뒤의 후방 확인용 작은 창을 부활.
  • 열차명 표시기는 대형의 장방형으로 측면 행선막 연동이 전동식으로 변경.
  • 342·348·350의 3량이 후에 서술하는 3000번대 개조를 시공했다.


2014년 12월 현재 JR 동일본 소속 334.346의 2량이 남아있다.

쿠하 481형 300번대 제조회사별 분류
신제 년도별 순서신제 배치도큐 차량가와사키 중공업히타치 제작소
1974무코마치 301・302・304
가나자와303・305
306・308
 307・310
센다이 312・314 
1975아오모리332 - 337311・313・315342
가나자와 318 - 327343・344
센다이328 - 331316・317338 - 341
1976아오모리 345 - 352
센다이 353・354



; 모하 484-309 - 345

; 모하 484-603 - 614

아오모리·센다이에 신제 배치 후 분할 민영화까지 각지에 배치되었으며 603이 JR 동일본에, 604 이후는 JR 서일본에 승계[294]되었다.

모하 484형 제조 회사별 분류
신제
년도별 순서
신제
배치
도큐
차량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1974仙台 309・310603 - 607
무코마치 311 - 315
가나자와316 - 322 323 - 325
1975아오모리 610・611
센다이 608・609
가나자와 329 - 336343 - 345
미나미후쿠오카337 - 342326 - 328 
1976아오모리 612 - 614



; 모하 485-207 - 255


  • 229는 1990년 3월 18일 '니치린 47호'로 운행 중 건널목 사고로 차체 바닥의 큰 손상을 입어 복구중의 보류차였던 23에서 유용한 냉방 장치 AU12형 6기가 탑재된 생소한 차량이었다.


모하 485형 제조 회사별 분류
신제
년도별 순서
신제
배치
도큐
차량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1974센다이 207・208224 - 228
무코마치 209 - 213
가나자와214 - 220 221 - 223
1975아오모리 251・252
센다이 249・250
가나자와 232 - 239246 - 248
미나미후쿠오카240 - 245229 - 231 
1976아오모리 253 - 255



; 사하 481-15 - 19


  • 15가 센다이 운전소에 배치되었으나 16-19는 '라이쵸', '시라사기' 증결용으로 가나자와 운전소(현 가나자와 종합 차량소)에 배치되었다.
  • 1978년 도호쿠 지구 3MG화로 사하 481형 100번대를 마련할 필요성으로 15는 차량 교환, 16-19는 전출 차량 보전의 형태로 무코마치 운전소에 집중 배치하였으나 1984년 이후 선두차화 개조에 쓰이게 되었다.


; 사하 481-101 - 118

1976년에 제조된 부수차이다. 기본 번대에서 후방에 차내 판매 준비실·업무용실을 설치하면서 설계 변경에 따른 정원이 8명 줄어든 64명으로 번대 구분된다.

  • 신제시 무코마치와 미나미후쿠오카에 집중 배치되었으나 바닥에 MG·CP 설치 준비 공사가 시공된 것으로 1978년 10월 다이아 개정에 따라 도호쿠 특급 3MG화로 일부가 센다이 운전소로 옮겨졌다.
  • 110.111의 2량은 쿠하 182-1.2로 개조되었지만 1985년 3월 다이어 개정으로 16량 전 차량 다시 무코마치에 집중 배치되었다.


후에 대부분 쿠하 481형, 183계·189계의 선두차로 개조되었다. 108·109의 2량[295]이 1998년에 폐차되고 구분 소멸되었다.

사하 481형 제조 회사별 분류
신제
년도별 순서
신제
배치
도큐
차량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긴키 차량
1974센다이 15 
가나자와16・17 18 
1975 19 
1976무코마치 101 - 113
미나미후쿠오카 114 - 118 



; 사로 481-104 - 133


  • 1975년 '쓰바사'의 본 계열화 목적으로 제조된 115·116·122·123·127·128의 6량에는 차체 하부에 MG·CP를 탑재했으며, 전방에 차내 판매 준비실·차내 판매 코너 설치와 같이 당초부터 1000번대 개조를 전제로 한 사양 변경이 실시되었다.


사로 481형 제조 회사별 분류
신제
년도별 순서
신제
배치
도큐
차량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제작소
1974센다이 114
가나자와108 - 111 112・113
무코마치 104 - 107
1975아오모리 130
아키타122・123115・116127・128
센다이124・125 126・128
가나자와 117 - 121131・132
1976아오모리 133



; 사시 481-73 - 76

사시 481형 제조 회사별 분류
신제 년도별 순서신제 배치히타치 제작소도큐 차량
1974무코마치73・74 
가나자와7675



사하 481-109


후기형 MM' 유닛 신조 시 차량 번호 목록
모하 485모하 484
207309
223325
224603
228607
229326
248345
249608
255614


4. 3. 4. 1500번대

1974년에 제조된 홋카이도용 특별 내한·내설 구조의 번대 구분이다.

하코다테 본선 전철화 구간인 도오 지방 도시간 연락의 핵심이 되는 삿포로~아사히카와간에서 겨울철 안정된 성능을 자랑하는 711계 전동차로 운행하는 급행 '카무이' 및 논스톱 급행 '사치카제'가 양호한 실적을 올리고 있었다. 그래서 같은 계열을 기반으로 한 신형 교류 전용 특급 차량이 계획되었으나 PCB 기름의 독성으로 유종 변경에 대응하기 위해 계획은 일시 보류되었다. 하지만 연선과 홋카이도 총국의 기대가 강한 것과 무해한 실리콘 기름을 사용하는 TM20형 주변압기가 개발되면서 홋카이도용으로 300번대를 바탕으로 개량한 본 그룹을 잠정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아래의 설계 변경이 실시되었다.

  • 홋카이도 지역에서의 운용은 6량 단일 좌석등급 편성으로 했기 때문에 본 구분 번대에서는 모하 485·484형과 쿠하 481형만 제조되었다. 모하 484형은 여객 차장실·차판 준비실을 설치한 600번대의 구조를 답습했다.
  • 대차는 내한 내설 강화 유형의 미립식 액슬 박스 외에 동력차에서는 양압식 내설제동 및 주철 제륜자 탑재의 DT32G형을, 쿠하 481형이 차륜 답면 청소 장치 탑재 TR69G형을 장착했다[296].
  • 바닥 밑 하부 기기 박스에는 동결 방지용 히터를 추가하여 눈 침입 방지 라벨류를 신설했다.
  • 쿠하 481형은 300번대와 동일한 비관통형이지만, 강설시의 시인 및 피시인성 향상을 위해 운전대 위에 전조등 2개 증설해 모두 4기 설치하고 와이퍼도 블레이드를 4개로 증설하여 운전대 측면 유리도 열선으로 변경했다.


1973년도 제1차 채무로 가와사키 중공업(현 가와사키 중공업 차량 컴퍼니)과 히타치 제작소 가사토 사업소의 2개사에서 신조되어 22량 전 차량 삿포로 운전소에 배치되었다. 첫 해는 내한 내설 장비의 시용을 겸한 아오모리 운전소 임대 명목으로 오사카-아오모리 간의 '하쿠초'에 투입되었다[297]. 다음 해 1975년 1월부터 순차적으로 삿포로로 회송되어 같은 해 7월 18일[298]부터 신설 L특급 '이시카리'[299]로 운행이 개시되었다.

그리고 홋카이도에서의 운용 개시 이후 1976년 나에보 공장에서 아래의 개조를 실시했다.

  • 미등이 해당 차량에서 말아 올려 부착되어 눈으로 확인하지 못하는 것이 판명되었기 때문에 차체 안쪽에서 전구를 교체하는 표준형에서 바깥쪽으로 교체할 수 있는 나식으로 변경.
  • 전두 연결기를 밀착식 자동형으로 교체[300].
  • 난방 장치 및 동결 방지 히터의 강화.


하지만 본래는 혼슈 지역에서 사용이 전제된 차량이었기 때문에 겨울에는 아래의 트러블이 다발했다.

  • 무접점 제어 장치 탑재의 711계에 비해 본 계열에서는 주제어기 등의 전장 부품에 가동 부품과 접점이 유입된 가랑눈의 융해에 의한 절연 불량, 재결빙에 따른 동작 불량.
  • 운행 중에는 부압이 되는 실내에 홋카이도 특유의 눈이 출입문에서 대량으로 침입하여 얼어붙은 승객용 출입문 작동 불량[301]으로 지연·운행 중단 및 운휴가 잦았다.
  • * 이 때문에 편성을 MM' 1유닛 감소한 4량으로 단축되었다. 운행 시격이 1시간에서 2시간이 되는 운휴를 통해 예비차와 재정비 시간을 확보했다.


이러한 각종 문제의 근본적 해결은 되지 않았기에 1978년 홋카이도 전용 특급형 전동차가 된 781계 시작차를 개발했다. 양산차가 제조된 뒤 1980년 여름까지 1500번대는 전 차량 아오모리 운전소로 전출되었다. 분할 민영화때 전 차량이 JR동일본에 승계되었다.

;쿠하 481-1501-1508

:혼슈 전출 후에는 아오모리 잔류차와 가미누마타리 운전구·미나미아키타 운전소로 전출하는 차량으로 분할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전체 차량 모두 한번은 니가타에 배치되었다. JR화 이후에는 니가타 소속을 중심으로 업그레이드 개조가 시공되었다. 각 차의 이후 상황을 아래에 나타낸다.

:;1501

:1987년 쿠로 481-1020으로 개조. 1999년 쿠로하 481-3020으로 리뉴얼 개조되어 2006년 니가타 차량 센터로 전출되었다. R28편성.

:;1502·1503

:2006년 조이풀 트레인 "'''이로토리'''"의 쿠로 481-1502·1503으로 개조 개번되었다. 나가노 종합 차량 센터 N201편성.

:;1504·1505

:파동 수송 대응 때문에 정기 운용이 없는 가쓰다 차량 센터 K60편성의 양 끝에 조성되었다. 2013년 1월에 운용 이탈하여 폐차 회송되었디[302].

:;1506

:2000년에 쿠하 481-3506으로 리뉴얼 개조된 니가타 차량 센터 R24편성에 조성되었다. JR 우에쓰 본선 탈선 사고로 2007년 3월 31일 폐차되었다.

:;1507

:니가타 차량 센터 T21편성에 조성되었으나 2006년 6월 1일 폐차되었다.

:;1508

쿠하 481-1508
2008년 4월 이전의 가미누마타리 도색 시절


:1508은 JR화 이후에도 주로 아키타, 아오모리에 소속되었으나 2000년 니가타 차량 센터로 전출되었다. T18편성에 조성.

:* ATS-P형이 2번째 아오모리 소속 시절에 탑재되어 파동 수송 대응 편성이다.

:* 현존하는 1500번대에서 오리지널 4등 전조등을 유일하게 유지.

:* 1982년의 광역 전배로 가고시마 운전소 운용에 충당되면서 전철화 구간 최북단, 최남단 양측에서의 운용 실적이 있다.

:; 쿠하 481형 1500번대 이력

차량
번호
제조 회사
완성 날짜
신제 배치
전속개조현황
1501가와사키
1974.05.23
삿포로
아오모리
1980.09.10
 쿠로하 481-1020
1987.12.24
쿠로하 481-3020
니가타 R28편성
1502아오모리
1980.08.10
니가타
1986.09.19
나가노
2006.05.22
 쿠로 481-1502
2007.01.05
나가노 N201편성
1503니가타
1986.10.28
 쿠로 481-1503
2007.01.05
1504아오모리
1980.06.11
가쓰다
2002.12.06
 2013.01 폐차
1505히타치
1974.04.25
삿포로
니가타
1986.09.19
 
1506아오모리
1980.09.10
아키타
1992.07.01
니가타
1997.03.27
 쿠하 481-3506
2000.12.12
2007.03.31
사고 폐차
1507히타치
1974.06.01
삿포로
아오모리
1980.09.28
니가타
1986.10.15
 2006.06.01
폐차
1508아키타
1987.07.01
아오모리
1992.07.01
니가타
2000.07.02
 니가타 T18편성



;모하 485.484-1501 - 1507

:아오모리 전속 후에는 1985년 무코마치 운전소에 다시 전출되었다. 1986년 11월 1일에는 가미누마타리 운전구에 여러번 전출되었다. 차량 전체가 바닥 높이·측면 창 높이 확대·후면 테이블 탑재 프리스톱식 시트로의 교체와 시트 피치 확대 등의 지정석 차량 대응''''업그레이드 개조''''가 시행되었으나 2001년부터 2002년까지 노후화로 폐차되었다.

:; 모하 485+484형 1500번대 이력

차량 번호제조 회사완성 날짜신제 배치아오모리
전속
무코마치
전속
가미누마타리
전속
폐차 날짜
1501가와사키1974.05.23삿포로1980.09.101985.02.141986.11.012001.07.19
15021980.08.101985.02.052001.06.13
15031980.06.111985.02.142002.04.02
1504히타치1974.04.251980.08.102001.04.03
15051980.09.102002.04.02
15061974.06.011980.09.281985.03.142001.04.03
15071985.02.052001.11.21


4. 3. 5. 1000번대

본 계열은 원래 내한 내설 구조이긴 했지만, 겨울철 도호쿠 지방·호쿠리쿠 지방 특히 일본해 측에서는 종종 한랭이 원인인 고장을 일으켰다. 이에 대해 1500번대 및 183계 1000번대를 바탕으로 혼슈용 내한 내설 강화형으로 1976년부터 제조된 번대 구분이다. 당초는 '쓰바사'용으로 아키타 운전구에 신제 배치되었고 1978년부터는 아오모리 운전소에도 신제 배치되었다. 기본 번대 후기형에서는 아래의 설계 변경이 실시되었다.

  • 바닥 밑 하부 기기의 배치 조정과 밀폐화를 실시.
  • 쿠하481형 승무원실의 난방을 강화.
  • MG에 사고가 발생해도 서비스 전원을 확보할 목적으로 사로481형에 MG·CP을 탑재하는 3MG화를 실시.
  • * 트러블 발생시에는 운전석에서 MG의 급전 구분을 즉시 변경할 수 있도록 총괄 제어용으로 별도로 KE76형 점퍼 연결기 1기를 이용한 인통선이 증설되었다. 이 때문에 기존차와 혼결도 가능하지만 그 때는 MG의 급전 구분 변경 기능 등은 상실된다.
  • * 상기 대응을 위해 쿠하481형은 편도가 되어 방향 전환이 불가능[303]이 되었다.
  • 모하484형은 600번대의 구조를 채택한 여객 전무실이 있다[304].
  • 사로481형은 전방 차량 단부의 화장실·세면소를 차내 판매 준비실·차내 판매 코너 설치로 사양이 변경.
  • 대차는 DT32E형·TR69H형을 탑재.
  • 순환식 오물 처리 장치를 탑재하여 사용 개시.


1978년 제조의 쿠하481형-1013및 모하485형.모하484형-1025 이후의 차량은 다음의 설계 변경이 실시되었다.

  • 간이 리클라이닝 시트를 등받이가 내려간 상태에서 회전할 때 잠금이 가능한 R-51BN형으로 변경.
  • 모하484형의 지붕 랜 보드 구조를 변경.
  • 모하485형.모하484형의 차량 단부에 내장형 난간을 설치.


본 구분 번대에서는 식당차 사시481형은 제조되지 않고 '쓰바사' 전동차화 투입 그룹에서는 AU13E형 냉방 장치를 탑재한 기본 번대 대차에 인통선 증설 등의 대책을 시공하여 개번하지 않고 원번호로 충당되었다. 1978년 10월 다이어 개정용 증비 그룹에서는 기존과 같은 공사 시공차에 더해 AU13E형 냉방 장치를 탑재한 사시 489형에 같은 시공을 한 사시481형 80번대를 충당했다.

1979년 6월 19일에 가와사키 중공업이 제조한 모하485형·모하484형-1085 - 1088·쿠하481형-1040 - 1043의 완성을 마지막으로 본 계열 제조가 종료되었다.

2014년 12월 현재 모하485형.모하484형 MM'유닛이 1032·1041·1055·1057·1058·1064·1074·1077·1082·1088의 5조 10량, 쿠하481형이 1015-1017·1025의 4량 총 14량의 차적이 남아있다.

쿠하 481-1015 점퍼 연결기 세부
조수석 측
KE9형 고압 3상인 도리
운전석 측
KE70형 총괄 제어용(오른쪽)
KE76형 급전 구분 변경 제어용(왼쪽)


모하485형+모하484형
제조 년도별 순서배치히타치 제작소일본 차량 제조도큐 차량 제조긴키 차량가와사키 중공업
1976아키타1001 - 1008
1021 - 1024
1009 - 10121013 - 10161017 - 1020 
19781069 - 10801042 - 1049 1050 - 1053
아오모리 1038 - 10411025 - 10301057 - 1065 
1979 1031 - 10371066 - 10681054 - 1056
아키타 1081 - 1084 1085 - 1088
쿠하481형
제조 년도별 순서배치히타치 제작소일본 차량 제조도큐 차량 제조긴키 차량가와사키 중공업
1976아키타1001 - 1004
1011・1012
1005・10061007・10081009・1010 
19781032 - 10371021 - 1026 
아오모리 1019・10201013 -10161027 -1031 
1979 1017・1018 
아키타 1038・1039 1040 - 1043
사로481형
제조 년도별 순서배치히타치 제작소일본 차량 제조도큐 차량 제조긴키 차량 
1976아키타1001・1002
1006
100310041005 
1979 1007・1008 


4. 4. 489계

신에쓰 본선 요코가와-가루이자와간 우스이 고개는 최대 66.7‰의 급구배 구간이기에 통과 차량은 EF63형의 추진·견인에 의한 무동력 운전이 되어 프레임, 연결기 강화 등의 구조 강화 대책이 필요하여 전동차는 최대 8량 편성까지 제한되고 있었지만, 1967년 165계 전동차를 기반으로 개발된 169계 전동차에서는 EF63형과 협조 운전을 실시함으로써 12량 편성까지 증결되었다. 또한 1972년 3월 15일 다이어 개정으로 그동안 객차 급행으로 운전되고 있었다 '하쿠산'의 특급 격상[305]이 결정되고 열차용으로 485계에 협조 운전 장치를 탑재한 파생형이 489계이다. 따라서 485계는 기본 설계는 공통이면서 아래의 차이가 존재한다.

  • EF63형에 연결되는 쿠하 489형 500·600·700번대는 연결기 커버가 생략된 제동관(500번대만)과 협조 제어용 KE70형 점퍼 연결기가 탑재되었다. 이로써 쿠하 489형은 쿠하 481형과 다른 한쪽에서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지 않는 구조이기에 상행과 하행은 감시대 구분이 다르다.
  • * 본네트 타입의 쿠하 489형 500번대는 쿠하 180형처럼 전면 자동 연결기가 상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지만 커버의 장착은 가능하다[306].
  • 편성은 485계와 공통되는 총괄 제어 회선과 별도로 협조 제어 회선을 증설하는 방식[307]을 채용하여 부수차에 대해서도 총 489형의 별도 형식과는 물론이고, 협조 기능을 상실한 485계와의 혼결 운전도 가능하다.


1971년-1974년까지 Tc 14조 28량, Ts 28량, MM'유닛 42조 84량, Td및 T 14량 12량x14편성 합계 168량[308]이 완성되었다. 본래 목적인 신에쓰 특급 '하쿠산'·'아사마'·'소요카제' 외에 '라이쵸[309]'·'시라사기'에서도 운용되었다.

1978년-1979년 편성 조성 및 운용 변경에서 사로 489형 1000번대 10량이 추가 신조되었다. 분할 민영화 후의 1990년 JR동일본이 2량을 485계에서 개조 편입했으며 총 차량 수는 180량이지만 편성 조성과 용도 변경에 따라 다른 형식으로의 개조나 폐차가 있었기에 전 차량이 일제히 없는 것은 아닌 사시 489형은 1988년, 사하 489형[310]는 1991년에 폐차되었다.

1997년 호쿠리쿠 신칸센의 나가노 잠정 개통에 의해 신에쓰 본선 요코가와-가루이자와간 폐지로 존재 의의를 잃은[311] 것과 노후화로 인한 JR 동일본 소속차 중 나가노 종합 차량소 배치 차량은 2000년까지 폐차로 보류차가 되고 있던 니가타 차량 센터 배치의 사로 489형 2량도 2010년까지 폐차되었다. JR 서일본 소속차도 다른 계열로의 교체로 2012년까지 대부분 폐차되어 2014년 현재 가나자와 종합 차량소 배치의 쿠하 489-1만 차적이 남아있다.

EF63형과 489계 하쿠산


1969년 10월 개정에서, 가나자와 - 우에노 간을 신에츠 본선 경유로 묶는 키하82계 기동차 특급 "하쿠타카"가 전철화되었지만, 485계는 신에츠 본선 요코카와 - 카루이자와 간(요코게이)의 최대 66.7 ‰의 급경사 구간인 우스이 고개를 넘는 대책이 없어, 전철화에 즈음하여 죠에츠선 경유로 변경되었다. 한편, 1972년 3월 15일 국철 다이어 개정에서는 객차 급행 "하쿠산"이 전철 특급으로 격상됨에 따라, 485계 0번대를 기반으로, 요코게이 간에서 최대 12량 편성으로 EF63과 협조 운전 가능한 설비를 갖춘 차량을 증비하게 되었고, 신 계열의 489계가 1971년에 등장했다.

요코게이 간을 통과하는 전동차는 무동력 상태로 최대 8량 편성으로 제한되었지만, 1967년에 급행형의 165계를 바탕으로 개발된 169계에서는, EF63과의 협조 운전을 함으로써 최대 12량 편성이 입선이 가능하게 되었다. 489계는 485계에 요코게이용 협조 운전 기능을 부가한 계열로, 169계와 마찬가지로 형식 말미가 9가 되었다. 485계의 설계 변경 시기와 동시에 제조되었기 때문에, 각각에 대응하는 구분 번대가 존재한다.

전동차・부수차 모두 신 형식이 일어나, 1971년에는 쿠하489형・모하489형・모하488형・사로489형・사시489형의 5형식,1972년에는 사하489형도 등장했다. 각 차량 모두 대차・연결기의 강화 등의 통칭 "요코게이 대책"이 이루어졌고, 이 대책을 나타내는 "G마크"가 차량 번호 옆에 표기되었다. 덧붙여, EF63과의 협조 운전은 불가능하지만, 485계와 혼결하여 운전도 가능하다.

1971년 - 1974년에 걸쳐, 제어차 14개조 28량・그린차 28량・전동차 유닛 42개조 84량・식당차 및 부수차가 12량의 신제차 164량과, 181계・485계로부터의 개조차 4량, 12량×14개・168량이 낙성. 본래의 목적인 신에츠 특급 "하쿠산" "아사마" "소요카제" 외에도, "라이쵸" "시라사기" "호쿠에츠" "하쿠타카"에서도 운용되었다. 1978년 - 1979년에 편성 조성 및 운용 변경의 관점에서 사로489형 1000번대 10량을 추가 신조했다.

분할 민영화 시에는, JR 동일본으로 28량, JR 서일본으로 108량이 승계되었다. 신제차 174량 외에, 국철 시대에 사시181형으로부터의 개조차가 2량, 사하481형으로부터의 개조차가 2량, 분할 민영화 후인 1990년에 JR 동일본이 사로481형에서 2량을 개조 편입했기 때문에 총 차량 수는 180량이지만, 편성 조성이나 용도 변경에 의한 타 형식으로의 개조나 폐차가 있기 때문에, 전 차량이 일제히 갖춰진 적은 없고, 사시489형은 1988년에, 사하489형은 1991년에 폐형식이 되었다.

1997년에 호쿠리쿠 신칸센 나가노 임시 개업이 개업함에 따라 신에츠 본선 요코카와 - 카루이자와 간의 폐지로, 본 계열은 존재 의의를 잃었다. 또한, 노후화도 진행되었기 때문에, JR 동일본 소속 차량 중 나가노 종합 차량소 배치 차량은 2000년까지 폐차되었고, 보류차로 되어 있던 니이가타 차량 센터 배치의 사로489형 2량도 2010년까지 폐차. JR 서일본 소속 차량도 타 계열로의 대체로 2012년까지 대부분이 폐차되었고, 2014년 10월 시점에서는 가나자와 종합 차량소 배치의 쿠하489-1만이 차량적을 가지고 있었지만, 2015년 2월 13일자로 폐차됨으로써 본 형식은 폐계열이 되었다.

4. 4. 1. 전기형 (1971년 - 1972년)

타이 폰이 배장기에 있는 1971년 제조차]]

485계 0번대에 준하는 그룹이다. 다만 쿠하 489형은 쿠하 481형 100번대에 준해 있으며 하행 방향은 0번대, 상행 방향은 500번대로 구분되며, 1971년 제조차와 1972년 상반기 제조차에서는 아래의 차이가 존재한다.

'''1971년 제조차'''

  • 그 해 7월 여름 임시 열차로의 충당 목적[312]도 겸한 무코마치 운전소에 이곳의 485계와 공통의 11량 편성으로 완성·배치된 그룹이다.
  • 그 해 가을부터 EF63형과의 협조 운전 시험을 치러 연말에는 스키 임시 열차인 '아사마 은령'에서 실전 투입의 리허설이라고도 할 요코가와 운전구에서 영업 운행이 개시되었다.
  • 쿠하 489형(1·2·501·502)의 타이폰은 배장기부에 설치.
  • 대차는 DT32A·TR69A형을 탑재.


'''1972년 상반기 제조차'''

  • 당초부터 사하 489형 조성의 12량 편성으로 완성된 '하쿠산' 격상의 명칭으로 무코마치 운전소에 배치된 그룹이다.
  • 쿠하 489형(3-5·503[313]-505)의 타이 폰은 보닛부에 설치.
  • 대차는 이후 300.700번대 그룹까지 DT32E·TR69E형을 탑재.


덧붙여 1971년 제조 2편성 분의 사하 489형은 1972년에 1량이 신조되었다. '하쿠산' 운행 개시부터 8개월 후 그 해 11월에 사하 481형을 개조하여 충당되었으나 본 그룹에서는 나중에 CP탑재 추가 개조가 실시되었다. 또한 사시 489형은 편성 수에 대한 1량의 수량이 부족했으나 사시 181형 개조의 100번대를 충당하여 대응했다.

1971년 7월에 하계 임시 열차에 투입할 목적으로, 무코마치 운전소에 해당 운전소의 485계와 공통인 11량 편성으로 완성되어 배치되었다. 1971년 가을부터 EF63과의 협조 운전 테스트를 실시, 연말에는 스키 임시 열차인 "아사마 은령"에서 실전 투입의 리허설이라고 할 수 있는 요코카와 - 가루이자와 구간에서의 영업 운전이 이루어졌다. 1972년 3월 개정부터 신에츠 특급 "하쿠산"에서의 운용을 시작했다.

차체는 대략 485계 0번대에 준하지만, 쿠하 489형 짝수 방향 차량은 EF63과의 연결을 일상적으로 하기 때문에 자동 연장기의 덮개가 생략된 것 외에, 해방 지렛대가 설치되었다. 점퍼 연결기는 485계와 공통인 편성 총괄 제어용 KE70형과 별도로 협조 제어용 KE76형을 증설하는 방식을 채택했기 때문에, 부수차도 489형의 별도 형식이 되었다. 이 때문에 쿠하 489형은 쿠하 481형과 달리, 편측 통과로 방향 전환이 불가능한 구조가 되었기 때문에, 상행 방향과 하행 방향에서 번대 구분이 다르다.

"아사마", "소요카제"에서 운용되고 있던 181계에서는, 전기 기관차와 연결하는 쿠하는 별도 형식인 쿠하 180형으로 했지만, 489계에서는 동일 형식의 번대 구분으로 쿠하 489형의 홀수 방향이 0번대, 짝수 방향이 500번대로 되었다. 쿠하 489형은 쿠하 481형 100번대에 준하며, MH129-DM88형 MG(용량 210kVA)를 차체 하부에, 보닛 내부에 토출량 2950L/min의 MH92B-C3000A형 CP를 탑재했다. 짝수 방향 500번대는 쿠하 180형과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호스(BP관)를 장착하여, 보닛의 자동 연장기가 상시 노출된 상태가 되지만, 연결기 덮개의 장착은 가능하다.

EF63과 연결되는 상행 방향의 쿠하 489형은 직통 예비 브레이크를 설치하고, 억속 발전 브레이크가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 작동하는 억압 장치를 탑재하는 외에, 연결기 덮개가 생략되고 운전석 하단 측면에 EF63과의 협조 제어용 KE70형 점퍼 연결기를 장비한다. 요코카와 - 가루이자와 구간에서의 하행 열차에서의 전방 감시를 위해, 쿠하 489형 홀수 방향 차량의 운전대 측면에 차장 밸브를 설치했다.

주 제어기는 EF63과의 협조 운전 시에 캠축이 기관차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도중 정지 가능한 CS15G로 하고, 유도 분류기는 계자 분류율을 변경하여 EF63과의 노치 맞춤을 가능하게 한 IC58-MR130으로 변경했다. 대차는 초기 차량은 DT32A·TR69A형을 장착했지만, 요코카와 - 가루이자와 구간에서의 좌굴 방지를 위해 공기 용수철을 펑크시키는 장치가 설치되었다.

1972년 상반기에는, 당초부터 사하 489형 조립으로 완성된 12량 편성이 "하쿠산" 등급 상승 명의로 무코마치 운전소에 배치되었다. 타이폰 설치 위치는 쿠하 489-1·2·501·502가 스커트부였지만, 쿠하 489 - 3 - 5·503 - 505는 보닛부로 변경되었다. 대차는 300번대 그룹까지 DT32E·TR69E형을 장착했다.

또한, 1971년 제조 2편성분의 사하 489형은 1972년에 1량을 신제작. "하쿠산" 운전 개시로부터 8개월이 지난 11월에 사하 481형을 개조하여 충당되었지만, 본 그룹에서는 나중에 CP 탑재의 추가 개조를 시행. 또한, 사시 489형은 편성 수에 비해 1량 제조 수가 부족하지만, 사시 181형 개조의 100번대를 충당하여 대응했다.

또한, 사로 489형·사하 489형은 1986년까지 타 형식으로의 개조 종차로 되었다. 사시 489형은 3·4가 1985년 이후 보류 차량이 된 채 JR 서일본에 계승. 1988년 3월에 스시 24 1·2로 개조되어 폐형식이 되었다. 한편 쿠하 489형과 MM' 유닛은 전 차량 JR 서일본이 승계. 일부는 "노토"를 JR 동일본으로 이관하는 2010년까지 운용되었다.

489계 초기형 제조 회사별 분류
형식제조 연도예산도큐 차량긴키 차량
모하 489+모하 488197145년 제2차 채무1 - 34 - 6
197246년 본예산7 - 910 - 15
쿠하 489197145년 제2차 채무1·5012·502
197246년 본예산3·5034·5·504·505
사로 489197145년 제2차 채무1·23·4
197246년 본예산5·67 - 10
사하 489197246년 본예산1·23·4
사시 489197145년 제2차 채무12
197246년 본예산 3·4


4. 4. 2. 중기형 (1972년 - 1973년)

관통문 폐쇄 공사 시공 이후]]

485계 200번대와 마찬가지로 선두차 관통화나 냉방 장치 변경 등이 실시된 1972년 하반기 이후 제조된 그룹이다.

  • 모하 488형으로 격하된 쿠하는 200번대, 격상된 쿠하는 0.500번대와는 달리 +400의 600번대로 구분(다른 차량은 0번대의 지속)되었다.
  • 쿠하 489형의 CP 용량 기반이 된 쿠하 481형 200번대의 동일한 3,000l/min에서 2,000l/min로 감소했다. 하지만 요코가와 구간에서 펑크를 낸 공기 스프링 대차에 대한 압축 공기 공급 시간을 0.500번대와 동등하게 한 600번대는 2기 탑재로 했다.
  • 사하 489형은 기본 번대를 답습하지만 당초부터 CP를 탑재했다.


또한 본 구분에서는 1972년 하반기 제조차와 1973년 제조차에서는 아래의 차이가 존재한다.

;1972년 하반기 제조차

  • 무코마치 운전소에 '하쿠산' 2왕복화[314]와 이곳 485계와의 공통 예비 차 명의로 된 11량 x3편성에서 완성 배치된 그룹이다.
  • 사하 489형 1량은 사하 481형 개조차를 충당했다. 사시 489형 1량은 사시 181형 개조의 100번대를 충당했다.

;1973년 제조차

  • '하쿠산' 3왕복화와 도합 운용되는 '아사마' 1왕복 투입 목적로 제조된 12량 x2편성과 1972년 하반기 제조차 증결용 사하 489형 2량이다. 그 해 3월 15일부터 '하쿠산' 운용이 이관된 적도 있어, 본 그룹부터 신제 배치가 가나자와 운전소로 변경되었다.

:* 무코마치 소속차는 3월 15일부로 0.500번대 2편성과 200.600번대 1편성. 7월에 0.500번대 2편성과 200.600번대 1편성. 9월에 200.600번대 1편성이 가나자와 운전소로 전출되었다. 11량으로 알려진 0.500번대 1편성[315]만 무코마치에 잔존하는 공통 예비차로 드러났지만 다음 1974년 4월 순증차 준비가 된 485계(쿠하 481형 300번대 최초 완성차)가 배치되었기 때문에 가나자와 운전소로 전출되었다.

쿠하 489형 200번대는 2003년, 600번대는 2011년에 폐차 구분 번대가 됐다.

489계 제조사별 분류
형식제조년도예산도큐 차량긴키 차량히타치 제작소
모하 489197272년 제1차 민유16 - 1819 - 2122
197372 제1차 채무23 - 2526 - 30 
모하 488197272년 제1차 민유201 - 203204 - 206207
197372년 제1차 채무208 - 210211 - 215 
쿠하 489197272년 제1차 민유201・601202・602203・603
197372년 제1차 채무204・604205・605 
사로 489197272년 제1차 민유11・1213・14 
197372년 제1차 채무15・1617 - 20 
사하 489197372년 제1차 채무56 - 8 
사시 489197272년 제1차 채무56 
197372년 제1차 채무7 8


4. 4. 3. 후기형 (1974년 - 1979년)



1975년 3월 10일 다이어 개정으로 가나자와 운전소에서는 '라이쵸' 증편분 및 '시라사기'운용이 무코마치에서의 이관에 의한 담당이 되는 것이었다. 485계와의 공통 예비차 목적으로 1974년에 제조된 485계 300번대에 대응하는 그룹이다. 아래의 설계 변경이 실시되었다.

  • 보통차 좌석을 간이 리클라이닝 시트로 변경.
  • 쿠하 489형은 비관통형이 하행 방향은 300번대, 상행 방향은 +400의 700번대(다른 차량은 0.200번대의 후속 순서)로 구분.
  • * 이 때문에 조수석(1위 측) 하부의 CP용 기기 반입구가 없기에 외견상으로 쿠하 481형의 판별이 가능하다.


489계 300번대는 485계 300번대에 대응하는 그룹으로, 1974년부터 1979년에 걸쳐 제조되었다. 1975년 3월 10일 다이어 개정으로 "라이쵸" 증발분 및 "시라사기" 운용을 무코가와에서 가나자와 운전소로 이관하여 485계 전동차와의 공통 예비차로 하였다.

쿠하 489형은 비관통형이 되었고, 하행을 300번대, 상행을 700번대로 구분하였다. 공기 압축기는 바닥에 탑재했기 때문에, 보조석(1위 측) 하부의 기기실 커버가 없다. 일반차 좌석은 간이 리클라이닝 시트로 하였다. 중간차의 차량 번호는 중기형에서 연속 번호이므로, MM' 유닛은 모하 489형-31 + 모하 488형-216 - 모하 489형-42 + 모하 488형-227의 12개 편성 24량이다.

쿠하 489형은 전 차량 JR 서일본에 계승되었고, 300번대는 2004년 303 폐차로, 700번대는 2010년 9월 702 폐차로 폐구분 번대가 되었다. 모하 유닛은 JR 동일본에 모하 489형-31 + 모하 488형-216 - 모하 489형-33 + 모하 488형-218, 모하 489형-35 + 모하 488형-220 - 모하 489형-40 + 모하 488형-225, JR 서일본에 모하 489형-34 + 모하 488형-21, 모하 489형-41 + 모하 488형-226, 모하 489형-42 + 모하 488형-227이 계승되었다.

사하 489형은 1985년에 9, 11이 타 형식으로 개조되었고, 10, 12는 무코가와 운전소로 전출되어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지만 보류차 취급이 된 후 1991년 12월 1일자로 폐차되었다. 사로 489형은 21, 22, 24가 1986년에 사로 110형으로 개조되어 JR 동일본에 계승되었고, 23, 25 - 28은 가나자와 배치 그대로 JR 서일본에 계승되었다.

사시 489형은 9가 1986년에 잉여 폐차[32]. 10 - 12는 1978년에 사시 481형으로 개조되었지만, 12는 사시 489형-83으로 1982년에 본 형식으로 복원. 1985년 이후는 보류차로 되었지만, 1987년 3월에 기타나가노 운전소로 전출되어 JR 동일본에 계승. 1988년 2월에 스시 24형 506으로 개조되었다.

489계 후기형 제조 메이커별 분류
형식제조 연도예산도큐 차량긴키 차량히타치 제작소
모하 489형197448년 제3차 민유 35 - 3731 - 34
48년 제1차 채무38 - 40 
48년 제2차 채무 41・42
모하 488형48년 제3차 민유 220 - 222216 - 219
48년 제1차 채무223 - 225 
48년 제2차 채무 226・227
쿠하 489형48년 제3차 민유 303・703301・302・701・702
48년 제1차 채무304・704 
사로 489형48년 제3차 민유 23・2421・22
48년 제1차 채무25 - 27 
48년 제2차 채무 28
사하 489형48년 제3차 민유 109
48년 제1차 채무11・12 
사시 489형48년 제3차 민유 109
48년 제1차 채무11 
48년 제2차 채무 12



#REDIRECT

4. 4. 4. 사로 489형 1000번대



1978년 10월 다이아 개정에서는 공통 운용이 된 "하쿠산"과 하쿠타카는 3상 교류 회로 배전반을 탑재한 사시 489형과 CP를 탑재한 사하 489형이 편성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편성이 7월 이후 3MG・3CP화를 실시한 후 잠정 6M4T→8M4T가 되면서[221], 사로 481형 1000번대와 마찬가지로 210 kVA MG와 C2000형 CP를 탑재한 후 협조 운전 장치를 갖춘 그린차로서 1978년에 9량, 1979년에 1량 총 10량이 신규 제작된 것이 본 번대 구분이다. 본 그룹만 대차는 TR69H형을 장착한다.

차체는 사로 481형 1000번대에 준했지만, MG 설치 위치는 사로 181형 1100번대와 마찬가지로 차체 중앙부로 했다. 489계 재래차와 편성을 구성하므로, 485계 1000번대에 장비된 제어차로부터의 급전 구분 변경 제어 기구는 없으며, 어느 쪽의 쿠하 489형에서 MG 트러블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수동으로 급전 구분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1004가 1988년에 MG・CP를 철거하고 사로 489-101로 개조되었고, 그 외의 차량도 크로 481형·480형으로 개조되었기 때문에, 1991년까지 폐구분 번대가 되었다.

사로 489형 1000번대 이력
차량 번호제조 회사낙성일배치개조 후 차번시공 공장시공일
1001도큐1978.9.7가나자와크로481-2001스이타1989.2.15
1002닛샤1978.7.6크로480-10011988.2.8
1003크로481-20031989.4.6
1004사로489-101마쓰토1988.12.17
1005크로480-1002스이타1988.2.15
1006도큐1979.3.16크로481-20021989.3.7
1007닛샤1978.7.11크로481-20041991.6.24
1008크로480-10031988.2.5
1009크로481-20051991.2.9
1010크로480-10041988.2.5


5. 운용 실적

485계는 호쿠리쿠 특급 '라이쵸', '시라사기'용으로 등장하고 더 나아가 도호쿠 방향과 산요 방향으로 진출하여 '쓰바메', '하쓰카리', '쓰바사', '하쿠초' 등에 충당되었다. 이후에는 신칸센 개업에 의해 단거리 및 짧은 편성의 특급에 충당되고 민영화에 이른다.

485계 전동차는 1968년부터 2011년 3월 운행 종료까지 라이초 및 슈퍼 라이초 열차에도 사용되었다. 이 열차는 때때로 파노라마식 운전실 객차(번호 KuRo 481-2000)를 사용했는데, 이는 "그린샤"였다.

이나호 및 호쿠에츠 열차는 1969년부터 485계 및 485-3000계 열차를 사용해 왔다.

히타치 열차는 1969년부터 1998년까지 485계 전동차를 사용했으며, 이후 슈퍼 히타치 및 프레쉬 히타치 열차로 대체되었다.

쓰가루 열차는 2002년 운행 시작 이후 485-3000계 열차를 사용해 왔다.

닛코 열차는 2006년 3월부터 2011년 6월 4일까지 전용 6량 편성의 485계 열차를 사용했으며, 가끔 예비 189계 열차인 아야노가 대신 투입되기도 했다. 2011년 6월 4일부터는 2개의 6량 편성 253계 열차로 대체되었다.

노토 열차는 2010년 3월부터 이전 489계 열차를 대체하여 6량 편성의 485계 열차 1편성을 사용해 왔다.

현재 JR 동일본이 소유하고 있으며, 과거 JR 서일본 및 JR 규슈가 소유했던 이 열차는 JR 홋카이도 지역에서는 정기 하쿠초 열차로, JR 도카이 및 JR 시코쿠 지역에서는 임시 열차로 운행되었다. JR 동일본이 운행한 마지막 오리지널 JNR 스타일 열차(센다이 소속 A1+A2 편성)는 2016년 6월 18일과 19일에 특별 고별 운행 "히바리", "아이즈", "쓰바사"를 마치고 2016년 6월에 퇴역했다.[2]

2003년 8월 485-1000계


2018년 9월 래피드 운행 중인 니가타 소속 485-3000계 개조 열차


5. 1. 국철 시대

485계는 호쿠리쿠 특급 '라이쵸' '시라사기'용으로 등장하고 더 나아가 도호쿠 방향과 산요 방향으로 진출하여 '쓰바메' '하쓰카리' '쓰바사' '하쿠초' 등에 충당되었다. 이후에는 신칸센 개업에 의해 단거리 및 짧은 편성의 특급에 충당되고 민영화에 이른다.

485계 전동차는 1968년부터 2011년 3월 운행 종료까지 라이초 및 슈퍼 라이초 열차에도 사용되었다. 이 열차는 때때로 파노라마식 운전실 객차(번호 KuRo 481-2000)를 사용했는데, 이는 "그린샤"였다.

이나호 및 호쿠에츠 열차는 1969년부터 485계 및 485-3000계 열차를 사용해 왔다.

히타치 열차는 1969년부터 1998년까지 485계 전동차를 사용했으며, 이후 슈퍼 히타치 및 프레쉬 히타치 열차로 대체되었다.

쓰가루 열차는 2002년 운행 시작 이후 485-3000계 열차를 사용해 왔다.

닛코 열차는 2006년 3월부터 2011년 6월 4일까지 전용 6량 편성의 485계 열차를 사용했으며, 가끔 예비 189계 열차인 아야노가 대신 투입되기도 했다. 2011년 6월 4일부터는 2개의 6량 편성 253계 열차로 대체되었다.

노토 열차는 2010년 3월부터 이전 489계 열차를 대체하여 6량 편성의 485계 열차 1편성을 사용해 왔다.

현재 JR 동일본이 소유하고 있으며, 과거 JR 서일본 및 JR 규슈가 소유했던 이 열차는 JR 홋카이도 지역에서는 정기 하쿠초 열차로, JR 도카이 및 JR 시코쿠 지역에서는 임시 열차로 운행되었다. JR 동일본이 운행한 마지막 오리지널 JNR 스타일 열차(센다이 소속 A1+A2 편성)는 2016년 6월 18일과 19일에 특별 고별 운행 "히바리", "아이즈", "쓰바사"를 마치고 2016년 6월에 퇴역했다.[2]

5. 1. 1. 홋카이도 지구

1974년 4월부터 1980년 9월까지 삿포로 운전소에 배치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1500번대를 참조. 분할 민영화 때 JR 홋카이도에 승계된 차량이 있다.

1974년, 홋카이도 최초의 전철 특급용으로 등장한 485계 1500번대는 1974년 4월부터 22량이 삿포로 운전소에 배치되었지만, 당시에는 증기 기관차의 폐지에 따른 기관 조수의 감축에 대한 노사 간의 대립이 격렬하여, 전철 특급의 운전 개시는 1년 연기되어 1975년 여름으로 예상되었다. 본주의 아오모리 운전소에 임시 배치되어 특급 "하쿠초"에서 임시 사용된 후, 다음 해인 1975년 1월부터 3월에 걸쳐 순차적으로 삿포로로 회송하여 훈련 운전을 시작했다.

485계 1500번대는 1975년 7월 18일부터 신설된 특급 "이시카리"에서의 운용을 시작하여 7왕복에 충당되었다. 당초에는 7월 1일부터 운전을 시작할 예정이었지만[257], 노동 쟁의로 인한 파업을 실시했기 때문에 18일부터 운전을 시작했다. 당초에는 논스톱 급행 "사치카제"의 애칭을 계승할 예정이었지만[257], 증수 목적의 등급 상승이라는 소문을 피하기 위해 "이시카리"로 변경되었다. 운용은 2개 편성을 투입하여, 열차 시간표는 삿포로・아사히카와를 8 - 20시의 짝수 시 00분 발로 설정[257]。아사히카와 8시 발 상행 1호 (1002M)와 삿포로 18시 발 하행 6호 (1011M)는 "사치카제"의 시간표를 답습하여 중간 역에는 일절 정차하지 않는 '''완전 논스톱''' 운전이 실시되었다[257]

그러나 원래 본주 지역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한 차량이었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잦은 고장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편성을 MM'1 유닛 감축 4량으로 단축, 운행 간격을 2시간에서 4시간으로 하는 계획 운휴에 의한 간격 조절로 예비차와 왕복 정비 시간을 확보했다. 삿포로 - 아사히카와의 운전 시간은 중간역 정차편이 1시간 43분, 논스톱편이 1시간 37분으로 왕복 간격이 20분 정도로 설정되었다. 1979년부터 1980년에 걸친 겨울철에는 아사히카와역 구내 체류선 신설 및 781계 시제차에 의한 운용 투입으로 계획 운휴는 실시되지 않았다.

치토세선・무로란 본선이 전철화된 1980년 10월 개정으로 781계 양산차가 투입되어, 무로란 - 삿포로 - 아사히카와 간 특급 "라일락"의 운전이 시작되었다. 대체된 485계 1500번대는 1980년 9월까지 본주의 아오모리 운전소로 전출했다.

5. 1. 2. 동일본 지구

일본국유철도 485계 전동차는 도호쿠를 중심으로 한 동일본 지역에서 운용되었으며, 다음의 차량 기지에 배치되었다.

  • 센다이 운전소(→ 센다이 전차구 → 센다이 차량센터)
  • 아오모리 운전소(→ 아오모리 차량센터 → 모리오카 차량센터 아오모리 파견소)
  • 아키타 운전구(→ 미나미아키타 운전소 → 아키타 차량센터 → 아키타 종합 차량센터 미나미아키타 센터)
  • 가쓰타 전차구(→ 가쓰다 차량센터)
  • 가미누마 운전구(→ 니가타 차량센터)


센다이 운전소에는 1965년에 483계 44량이 배치되어, 1965년 10월 1일 도호쿠 본선 센다이-모리오카 간 전철화에 따른 시간표 개정으로 우에노-모리오카 간 '야마비코' 1왕복, 우에노-센다이 간 '히바리' 2왕복 운행을 시작했다. 1968년 10월 1일 개정부터는 '야마바토', '아이즈', 1972년부터는 '히타치'에도 투입되었다. 1973년 10월 1일 개정으로 '야마비코'를 아오모리 운전소로 이관했지만, 이후 증편된 '히바리', '히타치', '야마바토'에 대응했다. 1978년에는 12량 편성 15개, 9량 편성 6개, 예비차 6량 등 총 240량이 배치되어 최전성기를 맞았다.

1965년 센다이 운전소에 배치된 차량은 다음과 같은 편성으로 운용되었다.

←우에노센다이·모리오카→
12345678910
쿠하
481
모하
482
모하
483
사로
481
사시
481
모하
482
모하
483
모하
482
모하
483
쿠하
481


  • 운행 개시 초기에는 일부 차량의 준공 대기로 1966년 3월까지 '히바리' 1왕복은 모리오카 방면 MM' 유닛 1개가 감소한 8량으로 운행되었다.
  • 성수기에는 증결 4호차로 사로 481형 1량을 추가하여 운행하기도 했다.


1968년 10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오우 본선 요네자와-야마가타 간이 교류 20,000V·50Hz로 전철화되면서 우에노-야마가타 간 특급 '야마바토'가 전동차화되었다. 이에 맞춰 교류 50Hz·60Hz 양용의 485계가 처음 투입되어 센다이 운전소에 45량이 배치되었다. 또한 '히바리'도 2왕복에서 6왕복으로, '야마비코' 1왕복이 증편되어 본 계열로 운행되었다. 이 외에 '야마바토'에 연결했던 아이즈와카마쓰 발착 편성은 '아이즈'로 독립시켜, 개정에 앞서 9월 17일부터 본 계열로 운행을 시작했다.[85]

1978년 10월 2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도호쿠 특급 증편으로 '하쓰카리' 1왕복, '히바리' 2왕복, '히타치' 3왕복, '야마바토' 1왕복 구간 연장 및 '쓰바사' 증편을 실시했지만, 도호쿠 본선·다카사키선에서 규격 다이어가 도입되어 특급 열차 소요 시간이 증가했다.[81] 또한, 이 개정에서는 485계 1000번대 167량을 아오모리 운전소와 아키타 운전구에 집중 배치하고, 우에노 방면 특급 그린차 연결 위치를 6호차로 통일했다. 센다이의 9량 편성은 사시481형에서 사하481형으로 교체되고 식당차 영업이 정지된 열차도 설정되었다.

1973년 1월 31일부터는 '히바리'에 그린차 2량을 연결한 13량 편성 운행이 개시되었다. 센다이 운전소와 아오모리 운전소의 편성은 다음과 같았다.

←우에노·아오모리센다이·모리오카→
센다이 운전소 편성
9량
(6M3T)
크로
481
모하
484
모하
485
모하
484
모하
485
사시
481
모하
484
모하
485
쿠하
481
 
12량
(8M4T)
크로
481
모하
484
모하
485
모하
484
모하
485
사시
481
모하
484
모하
485
사하
481
모하
484
모하
485
쿠하
481
 
13량
(8M5T)
크로
481
사로
481
모하
484
모하
485
모하
484
모하
485
사시
481
모하
484
모하
485
사하
481
모하
484
모하
485
쿠하
481
아오모리 운전소 편성
12량
(8M4T)
쿠하
481
사로
481
모하
484
모하
485
모하
484
모하
485
사시
481
모하
484
모하
485
모하
484
모하
485
쿠하
481
 
13량
(8M5T)
쿠하
481
사로
481
사로
481
모하
484
모하
485
모하
484
모하
485
사시
481
모하
484
모하
485
모하
484
모하
485
쿠하
481


  • 센다이 운전소 MM'유닛은 모하 483·모하 482 포함
  • 센다이 운전소 13량 편성은 '히바리' 전용
  • 아오모리 운전소 13량 편성은 '하쿠초' 전용


당시 아오모리 운전소의 운용은 장거리였으며, 센다이·모리오카·아키타 등에서 숙박이 이어져 1주일 가까이 귀환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1982년 11월 15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도호쿠 신칸센 증편과 조에쓰 신칸센 오미야 잠정 개업으로 우에노 발착 재래선 특급이 대폭 감소했다. 오우 본선·반에쓰사이선 직통 특급 일부와 '히타치'를 제외하고는 모두 폐지·감편되었으며, 주력은 식당차를 제외한 편성으로 재편성되어 대부분 신칸센 연락 열차가 되었다.[82]

1985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으로 도호쿠·조에쓰 신칸센 우에노 개업으로 도호쿠 특급은 신칸센 연락 성격이 강화되어 단편성화가 실시되었다.[83] 도호쿠·조에쓰 신칸센 우에노 개업 후에도 잔존한 '쓰바사' 1왕복·'아이즈'·조반 특급 '히타치'·신에쓰 특급 '아사마', '하쿠산'·근거리 운행의 '신특급'을 제외하고는 우에노 발착이 중단되었지만, 남은 차량으로 타 지역 증편이 이루어졌다.

1986년 11월 1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가미누마 운전구에 72량이 배치되어 '하쿠초'를 담당했다. 이 체제에서 국철 분할 민영화를 맞이하였다.

아오모리 운전소에서는 도호쿠 특급용으로 583계가 배치되어 있었지만, 1972년 6월 도호쿠 특급 '히바리', '야마비코' 증편, 1972년 10월 우에쓰 본선, 오우 본선 전철화에 따른 일본해 종관선 특급 '하쿠초', '이나호' 전철화용으로 485계가 배치되었다. 1972년 8월 5일에 우에쓰 본선 니쓰-아키타 간 및 오우 본선 아키타-아오모리 간이 교류 전철화되었고, 1972년 10월 2일 다이어그램 개정에서는 기동차 특급 '하쿠초', 및 우에노-아키타-아오모리 간 특급 '이나호'(우에쓰 본선 경유)가 485계로 전철화되었다.

1975년 11월에는 오우 본선 우젠치토세-아키타 구간 전철화로 우에노-아키타 간 특급 '쓰바사' 2왕복이 전동차화되면서 485계가 아키타 운전구에 처음 배치되었다.

가쓰타 전차구에서는 국철 말기인 1985년에 센다이 운전소에서 '히타치' 운용이 이관되어 11량 편성 15개, 총 165량이 배치되었다.

5. 1. 3. 서일본 지구

서일본 지구에서의 역사는 1964년 무코마치 운전소(현 교토 종합 운전소)에 신규 배치된 481계 41량이 라이초와 시라사기에 투입된 것으로 시작되었다.[196] 도카이도 신칸센 개업에 따른 신오사카-하카타 간 운행 구간을 변경한 츠바메와 하토는 차량 확보 문제와 교류 구간의 주행 거리가 짧았다는 점에서 직류 전용 151계로 운행[319]되었지만, 1965년 10월에는 큐슈 특급용 증비차가 완성되었다. 츠바메는 나고야와 구마모토로 운행 구간이 연장된 도카이도·산요 방면으로 운용을 개시했다.[84]

본 계열 증가에 따라 151계는 181계로 개조되었으나, 간토 지구에서의 증편을 위해 181계는 전출을 거듭했으며 1973년 무코마치의 181계 배치는 사라졌다. 반면 산요 본선에는 1968년 10월 다이어 개정 이후 583계가 우선적으로 투입되어 산요-큐슈 간의 운용은 오사카-오이타 간 미도리뿐이 되었지만, 1969년에는 우에노-가나자와 간 운행의 하쿠타카도 라이초와 공통 운용을 통해 무코마치에서 담당하게 되었으며, 동쪽은 우에노, 서쪽은 오이타까지의 광역 운용을 담당했다.

하쿠타카의 교류 구간은 60 Hz였기에 가나자와에서 라이초를 통해 무코마치의 481·485계와 공통 운용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겨울은 폭설 지대인 조에쓰선을 경유하기 때문에 하행 하쿠타카는 지연이 잦았고, 그 경우 라이초에서 상행 하쿠타카로 들어갈 예정 편성을 라이초에서 오사카로 되돌리고 지연된 하행 하쿠타카를 상행 하쿠타카로 우에노로 되돌리는 운용이 실시되었다. 그러나 하쿠타카의 지연이 만성화되고 되돌림 운용이 계속되면 해당 편성이 무코마치로 귀환하지 못해 정비 문제나 가나자와 운전소의 489계에 의한 대리운행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1972년 3월 15일 산요 신칸센 오카야마 잠정 개통에 의한 연락 특급이 오카야마 발착이 되었던 시오지는 오사카 발착으로 잔존했다. 이후 본 계열은 산요-큐슈 운용에 본격적으로 투입되고, 4월 27일에는 미도리의 릴레이 운용으로 닛포 본선 하카타-오이타 간 니치린에도 투입되어 큐슈 내 운용도 실시되었다.[204] 1973년 10월에는 나하로의 투입에 이어 1974년 4월 25일에는 미나미미야자키 전철화로 운용 구간이 연장되어 무코마치 소속은 니가타·우에노·미야자키·니시가고시마로 더 광역 운용을 하게 되었다.[206] 그러나 1975년 3월 10일 산요 신칸센 하카타 개업에 따라 산요 본선 주행 특급은 폐지되었다.[96] 무코마치 소속은 호쿠리쿠 운용 차량을 제외하고 미나미후쿠오카와 가고시마로 전출되었다.

한편 호쿠리쿠 지구의 차량 배치는 1972년 하쿠산 운행 개시, 다음 해인 1973년에 489계를 무코마치에서 가나자와 운전소로 전출시킨 기원에서 하쿠산뿐만 아니라 라이초·시라사기·호쿠에츠에도 투입했다. 1975년에 라이초가 마이바라 경유에서 고세이 선을 경유하게 변경된 가에쓰 운행 개시에 따라 485계도 가나자와에 배치되었다. 그 후 489계는 하쿠산 사이의 운용에서 아사마로 투입되었으며, 1978년에는 3MG화와 식당차가 폐지된 하쿠산과 조에쓰선을 경유한 하쿠타카는 공통 운용화되었다. 조에쓰 신칸센 개업으로 하쿠타카 폐지, 식당차의 부활과 폐지 등이 있었지만 분할 민영화 전에 아사마용 189계 보완을 위해 27량이 나가노 운전소에 전속하고 있다.

또한 1985년 3월의 다이아 개정에서는 기세이 본선의 쿠로시오를 4왕복 증편하면서 다른 지역에서 잉여가 된 485계 44량을 히네노 전차구에 배치해 충당했지만, 다음 1986년 11월 1일의 다이아 개정으로 후쿠치야마 운전구와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로 전 차량 전출되었다.

5. 1. 4. 큐슈 지구

1965년에 큐슈 지구에서 운용이 시작되었지만, 무코마치 운전소 소속으로 혼슈에서의 직통 운용이 중심이었다. 1975년 산요 신칸센 하카타 개업으로 혼슈에서의 주간 특급이 폐지되면서 남은 차량이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와 가고시마 운전소로 전입했다. 이후 아오모리 운전소나 센다이 운전소에서도 차량이 전입했지만, 일부는 혼슈로 다시 전출되었다. 큐슈 지구에 새로 배치된 차량은 나가사키 본선·사세보선 전철화 명목의 MM'유닛 9조 18량[320]과 사하 481형 100번대 5량뿐이다.

1976년에는 나가사키 본선·사세보 선 전 구간 전철화로 '아리아케', '니치린' 외에 '카모메'·'미도리'에도 충당되었다. 초기에는 대부분의 열차가 히젠야마구치에서 병결·해방을 실시했지만, 1986년 11월 개정에서는 모두 분리 운행되었다.

  • 이 체제는 민영화 이후 783계 운용을 개시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1980년대 들어 초기차의 교체도 시작되어 가고시마 소속 481계 MM'유닛 및 사시 481형의 AU12형 분산식 냉방 장치 탑재차[321]는 1985년까지 퇴역했다. 이때부터 모하 484형 제2 팬터그래프의 철거도 시작되었다.

1984년 2월 개정에서는 큐슈내 583계 운용이 종료되었다.[240] 1985년 3월 및 1986년 11월 개정에서는 충당 열차는 변하지 않았던 급행 열차의 격상이나 증편에 의한 운용 수가 대폭 증가했다. 증편에 의한 단편성화도 추진되어 선두차화 개조나 반실 그린차화가 추진된 '아리아케'에서는 3량 편성까지 조성되었다.

DE10 1755+스하후 12 전원차로 비전철화 구간에 입선한 '아리아케'
(사진은 JR화 이후)


1987년 3월에는 당시 비전철화였던 호히 본선 구마모토 - 스이젠지간 '아리아케'를 DE10형 디젤 기관차의 견인·추진을 통해 당초 스하후 12형, 그 후에는 전원차로 개조한 요 8000형 28000번대를 연결하여 매일 운행의 임시 보통 열차로 입선했다.

  • 이 연계는 후에 783계 투입 후에도 계속 1994년 7월까지 계속되었다.


분할 민영화 때에는 JR 큐슈에 324량이 승계되었다.

규슈 지역에서의 운용은 1965년 10월 1일 다이어 개정으로 혼슈에서 운행되던 「츠바메」, 「하토」가 기원이나[84], 무코마치 운전소 소속 차량에 의한 혼슈 직통 운행만 있었고, 섬 내에서만 운행되는 열차에 투입된 것은 1972년 4월 27일부터 「미도리」의 여유 운용으로 하카타 - 오이타 간의 「니치린」 증편 1왕복 투입부터이다[204]

1975년 3월 10일 산요 신칸센 하카타 개업에 따른 다이어 개정으로 혼슈에서 운행되던 낮 시간대 특급은 전면 폐지[204]되었다. 남은 차량이 무코마치 운전소에서 미나미후쿠오카 전철구와 가고시마 운전소로 전입되었다. 미나미후쿠오카 전철구에서는 「니치린」 하카타・고쿠라 - 미야자키 간 3왕복, 가고시마 운전소에서는 「아리아케」 고쿠라・하카타 - 니시가고시마 간 7왕복 및 「니치린」 하카타・고쿠라 - 오이타・미야자키 간 4왕복을 담당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 규슈 내에서의 사시 481형 식당차 영업이 1980년 9월 30일에 종료되었다. 초기 차량의 교체가 시작되었고, 가고시마 소속의 481계 전동차 MM' 유닛 및 사시 481형 AU12형 분산식 냉방 장치 탑재 차량은 1985년까지 도태되었다. 또한 모하 484형 제2 팬터그래프의 철거도 시작되었다[239]

1984년 2월 다이어 개정에서는 규슈 내의 583계 운용이 종료[240]되었다. 485형에 의해 증편을 실시했을 때, 단편성으로 인한 선두차 부족으로, 도호쿠・조에쓰 신칸센 개업에 따른 181계 보류차를 쿠하 481형으로 개조하고, 485계 중간차의 선두차화 개조로 쿠모하 485형・크로 480형을 등장시키는 등으로 대응했다. 쿠모하 485형으로의 개조는 정원수의 문제로 모하 484형 200번대의 유닛이 투입되었기 때문에 가고시마 운전소의 초기 차량은 미나미후쿠오카 차량과 교환이 이루어졌으며, 아오모리 운전소에서 MM' 유닛 9개 편성이 전입되었다. 또한, 도호쿠 지역에 보닛형 쿠하를 대량 제공한 대신 비보닛 쿠하 16량이 미나미후쿠오카 전철구로 전입되었다.

1985년 3월[83] 및 1986년 11월 개정[145]에서는 급행 등급 상향 및 증편으로 운용 수가 대폭 증가했다. 또한, 증편에 따른 단편성에 따라, 선두차화 개조 및 반실 그린차의 크로하 481형으로의 개조 등으로 단편성은 더욱 추진되어 「아리아케」에서는 3량 편성도 조성되었다.

분할 민영화 시에는 JR 큐슈에 324량이 승계되었다.

1989년 - 1992년에는 「아리아케」가 키하 183계 1000번대 「오란다무라 특급」과 세계 최초의 기동차와의 동력 협조 운전을 실시했다. 또한, 개수 공사도 시작되었고, 시모노세키 발착의 「니치린」 폐지 후에는 대부분의 차량이 전원 절환 회로의 사용 정지로 인해 교류 구간 전용 차량이 되었지만, 783계 전동차 이후의 신형 차량 완공에 따라 투입 열차도 점차 감소했다. 1992년 「츠바메」에 787계 전동차 투입으로 가고시마 본선 구마모토 이남, 1994년에는 「아리아케」의 783계 전동차 통일로 동선 도스 이남의 운용을 종료했다. 1995년부터는 개수 차량의 폐차도 시작되어, 1999년까지 사로 481형 및 선두차는 전면 폐지되었다.

한편 1992년에 등장한 「하우스텐보스」, 1995년에 「니치린」을 계통 분할한 「키리시마」, 1997년에는 하카타 - 오이타 간의 「니치린」에서 개칭된 「소닉」에 오이타 지구로의 입출고를 겸한 1왕복에 투입되었다. 하카타 - 히젠야마구치 간에서는 「카모메」 5량・「미도리」 4량・「하우스텐보스」 4량의 3개 열차를 병결하여, 여객 열차로서는 규슈 최장의 13량 편성으로 운전되었다[241]

산요 신칸센 하카타 개업인 1975년 3월 10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산요 본선과 규슈를 잇는 재래선 주간 특급이 전폐되어, 무코마치 운전소에서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로 106량의 485계가 전입했다. 동시에 배치된 가고시마 운전소와 함께 규슈 섬 내의 특급 열차를 담당했다.

나가사키 본선사세보선은 신칸센 하카타 개업과 동시에 전철화 완성 예정이었지만, 공사의 지연으로 1976년 7월로 연기되었다.

미나미후쿠오카 잔류차에서는 무코마치 시대와 같은 11량 편성 6본이 "니치린" 3왕복에 사용되었다. 1975년 8월 이후에는 식당차 사시481형이 제거되어 10량 편성이 되었고, 식당차를 "쓰바사" 전철화용으로 융통했다. 같은 해 10월부터는 센다이에서 전입한 "가모메"용 사하481형을 증결하여 다시 11량 편성이 되었다.

1976년에는 1000번대 완성으로 아키타 전출차의 재전입과 함께 아오모리 운전소나 센다이 운전소에서도 차량이 전입하지만, 후에 일부는 혼슈로 재전출했다.

나가사키 본선・사세보선 전선 전철화에 따른 1976년 7월 1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급행 "데지마"・"유미하리"의 특급 격상에 의한 고쿠라・하카타 - 나가사키 간 "가모메" 7왕복, 고쿠라・하카타 - 사세보 간 "미도리" 6왕복이 운행 개시되어, 고쿠라・하카타 - 히젠야마구치 간에서는 485계열로 첫 병결 운전을 했다[243]."가모메"는 8량 편성, "미도리"는 4량 편성으로, 양 열차의 병결로 최대 12량 편성을 짰지만, 병결 시 마주보는 쿠하481형 200번대의 관통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미나미후쿠오카에는 사로481-98이 아오모리에서, 더욱이 쿠하481형에서는 도호쿠 지구에 300번대 투입에 의한 융통으로 아오모리에서 209・211・213・214・249・250이, 센다이에서 243・244가 전입했다. 나가사키 본선・사세보선 전철화용 명의의 신제차 중 규슈 지구에 직접 신제 배치된 것은 MM' 유닛 9조 18량[245]과 사하481-114 - 118의 5량뿐이다.

1978년에는 "니치린" 편성의 MG・CP 부착 사로481형 6량을 사로481형 1050번대로 개조하여, 도호쿠 특급 "쓰바사"의 증발과 3MG화에 전용했다. 사로의 부족은 가고시마에서의 전입으로 보충하고, 사하는 연결 위치를 6호차로 변경했다.

1986년 11월 개정으로 "가모메" "미도리"는 모두 분리 운전이 되었다. "미도리"의 선두차에는 기세이 본선 "구로시오"에서 단기간 사용되었던 쿠하480형이 전용되었다.

JR화 직전인 1987년 3월 21일부터, 구마토 발착 "아리아케" 중 2왕복을 매일 운전의 임시 보통 열차로서, 당시 비전철화였던 호히 본선스이젠지까지 구마모토 기관구 소속의 DE10[246]로 하행은 견인, 상행은 추진에 의해 연장 운전을 시작했다[247] .

  • 서비스 전원은 병결 개조를 시공한 스하후12형[248]를, 1987년 7월 이후는 삼상 교류 440V로 출력 용량 275kVA의 디젤 발전기와 자동 공기 브레이크 및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의 상호 읽어내기 장치 등을 탑재하는 개조를 시공한 요28001・28002를 연결하여 대응했다.
  • JR화 직후인 1987년 5월 6일 이후는 스이젠지 연장 운전을 5왕복으로 증발.


1988년 3월 13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신형식의 783계가 가고시마 본선에 투입되었다."아리아케" 스이젠지 발착도 783계로 변경・정기 열차화하여, 계속 1994년 7월까지 행해졌다.

1990년 3월 18일에는 "니치린47호" 운용 중의 모하485-229가 건널목 사고로 바닥을 크게 손상했다. 복구에 즈음하여 보류차로 되어 있던 모하485-23에서 차체를 유용했기 때문에, 냉방 장치가 AU12형 6기의 이단차가 되었다.

2000년 3월에는 885계에 의한 "하얀 가모메" 취역과 "미도리" "하우스텐보스"가 783계로 통일되면서 나가사키 본선・사세보선의 정기 전동차 운용을 종료. 본 개정에서는 이러한 잉여차를 "니치린"에서 계통 분할한 "휴가"에 전용[250] . 다음 해 2001년 3월 3일의 다이어 개정에서는 885계 "하얀 소닉"의 투입과 하카타 발착 "니치린"으로의 783계 충당・"니치린 시가이아" "드림 니치린" 집약으로 하카타 발착이 종료. 이 때문에 미나미후쿠오카의 정기 운용이 소멸했다. 그 후는 잔존 차량이 파동 수송에 충당되었지만, 2004년 2월까지 오이타나 가고시마로의 전출이나 폐차로 배치 차량이 소멸했다. 이 운용의 대폭적인 축소로 인해 2002년부터 106량이 일시에 폐차되어 소멸한 형식・구분 번대도 발생했다.

1975년 3월 10일의 다이어 개정을 통해 가고시마 운전소에도 무코마치 운전소에서 전출된 차량 중 154량의 485계가 배치되었다.

당초에는 미나미후쿠오카와 같은 11량 편성으로 "아리아케" "니치린"에 사용되었지만, 1978년에는 사로481형 각 1량이 감차되어 10량 편성이 되었다. 여유 차량 중 8량은 미나미후쿠오카로 전속되었고, 3량은 181계의 사로181형으로 개조되어 니가타 운전소 조에쓰 지소로 전속되었다.

1982년 11월 개정에서는 센다이 운전소에서 485계 전동차 유닛 10개와 사로481형 2량의 22량이 전입했다. 노후화된 모하481·480형 유닛의 폐차가 진행되어, 다음 해 말에는 3유닛 6량만 잔존, 1985년에 전폐되었다.

2010년 4월 시점에서는 39량 배치. DK8 편성 - 10 편성[251](3량)・DK11 편성 - 16 편성[252](5량 편성)이 배치되었지만, 2006년 12월에 구 국철색으로 도색 변경한 DK9 편성와 오이타 소속의 Do1 편성을 교환하는 형태로 전배를 실시. 2011년 3월 12일로 다음 운용을 종료. 그 후에는 순차적으로 폐차 회송이 이루어져, 2012년도까지 전폐되었다.

  • 2012년 3월 12일에 고쿠라 종합 차량 센터로 폐차 회송된 DK11 편성[253]은, 2012년 4월 28일에 마쿠하리 멧세에서 열린 니코니코 동화의 대규모 이벤트 "니코니코 초회의"의 기획 "485계 공개 해체 구입 쇼"의 제공 차량으로 해체되었다[254]

가고시마 철도 사업부 가고시마 차량 센터 소속 차량 편성표(2011년 운용 종료 시점)
  
편성 번호쿠모하485모하484쿠하481 차체 색
DK1101304246 K & H
DK8108342238 
DK107209213 RE
편성 번호쿠모하485모하484모하485모하484크로하481차체 색
DK113204180282203RE
DK1262081642684
DK139215169271205
DK1412011762785
DK15112201772796
DK1682131522547



오이타 차량 센터 시대였던 1994년 3월 1일자로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에서 전입되어 처음으로 본 계열이 배치되었다. 그 후 1995년 4월 20일까지 가고시마 운전소 등과의 전출입이 실시되어, 4월 20일 현재 43량 (4량 편성 10개 · 3량 편성 1개)이 배치되어 "니치린"으로 운용되었다.

이후 운용 재검토 및 883계·885계 투입에 의해 폐차 · 미나미후쿠오카구로의 전출이 이루어져, 2000년 3월 11일 다이어그램 개정으로 일단 정기 운용을 종료. 임시 열차 등의 파동 운용 대응용으로 7량의 Do21편성 및 5량의 Do31편성의 총 12량이 잔존하게 되었다.

2006년 3월 18일 다이어그램 개정에서는 가고시마소로부터의 운용 이관에 의해 정기 운용이 부활. 차량 면에서는 3량의 Do1 - 7편성과 증결용 MM' 유닛 2조 4량의 총 25량이 전입, 종래부터 소속 차량은 5량의 Do31편성이 계속 파동 수송용으로 잔존했지만 Do21편성은 조성을 해체하고 3량이 가고시마소로 전출했기 때문에 배치 총수는 34량이 되었다. 2011년 3월 12일까지 다음 열차로 운용되었다.


  • "니치린", "휴가", "키리시마" (미야자키 발착 열차만)
  • "미도리" (아리타 도자기 시장 임시만으로 현재는 설정 없음)
  • 미야자키 - 도노시 "사와야카 라이너/홈 라이너"
  • 미야자키 · 미나미미야자키 - 미야자키 공항 보통 열차


정기 운용 종료 후에는 RED EXPRESS색 · K&H색의 편성이 2012년도까지 전차량 폐차되었지만, 2014년 4월 시점에서는 구 국철색으로 파동 수송 대응용으로 3량의 Do2편성과 5량의 Do32편성 총 8량이 배치되었다.

  • Do2편성: 가고시마 소속 당시의 2000년 10월 6일자로 밀레니엄 기념으로 415계·475계·58계·66계 등과 함께 구 국철색으로 변경되었다. 2011년 6월 26일에 운행된 단체 열차 "고마워 485계~갈매기 · 미도리~"를 마지막으로 운용을 이탈. 이후는 보류차로 되었지만, 2014년 11월 6일에 고쿠라 종합 차량 센터로 회송[255]
  • Do32편성: RED EXPRESS 보류차를 리뉴얼한 구 DK9편성이 베이스로 2010년 8월에 KIRISHIMA EXPRESS색에서 구 국철색으로 변경. 2010년 12월에 가고시마에서 전입하여 증결용 MM' 유닛의 모하485-196+모하484-298을 조합한 편성. 전입 후에는 '485계 작별 기획'의 일환으로 "니치린", "기리시마"로 운용되었다[256]。 2015년 3월 이후에는 MM' 유닛 2량을 제외한 3량 편성으로 운용되었지만, 2015년 10월 18일에 고쿠라 종합 차량 센터에서 실시된 공장 축제에 맞춰 배급 회송을 겸한 "안녕 Do32 큐슈 국철색 485계 폐차 회송 라스트 런!"으로 운행되어[67], 2016년 1월에 쿠하481-256을 제외한 4량이 폐차. 차적(車籍)이 남아 있던 쿠하481-256도 같은 해 10월 2일자로 폐차되었다.

오이타 차량 센터 소속차 편성표 (2014년 10월 시점)
  
편성 번호쿠모하485모하484모하485모하484쿠하481폐차차체색
Do2102328 2302014년도국철
Do3252061962982562016년


5. 1. 5. 광역 전배

481모하
484모하
485사로
481사로
481사시
481모하
484모하
485모하
484모하
485쿠하
481 쓰바사 편성(8M4T)쿠하
481모하
484모하
485모하
484모하
485사로
481사시
481모하
484모하
485모하
484모하
485쿠하
481카모메, 미도리 편성(6M6T)쿠하
481모하
484모하
485사로
481사하
481모하
484모하
485쿠하
481쿠하
481모하
484모하
485쿠로
481카모메미도리



'''비고'''


센다이 전출차와 이곳의 쿠로 481형·사하 481형이 교환되면서 미나미후쿠오카에 전입
쿠로 481형은 방향 전환도 하기 때문에 고리야마 공장에서 사전에 양통로 구조로 개조를 시공[322]
별도 제작된 MM'유닛의 조성과 향후의 증편에 따른 예비차 확보
MM'유닛 4조 8량
MM' 유닛 15조 30량 사로 481형 13량
MM'유닛 10조 20량 사로 481형 2량
사시 481형 11량(단 1량은 사시 489형으로 개조해 전속)
사시 481형 3량
MM'유닛 2조 4량 쿠하 481형 4개 사로 481형 4량
쿠하 481형 12량 쿠로 481형 4량
MM'유닛 7조 14량
큐슈 지구에서 가쓰다구에 전입하여
'히타치'에서 운용되는 쿠하 481형 빨간 배장기차

가고시마 소속
* 1·2·3·4·5·6·7·8·9·10·11·12·13·15·16·18·20·34·36·38·40
미나미후쿠오카 소속
* 14·17·19·22·24·31·32
모하 484형은 차장실 탑재 600번대.
무코마치 운전소·가나자와 운전소 소속의 사하 481·489형을 선두차화 개조한 투입

5. 2. 국철 분할 민영화 이후

485계 전동차는 호쿠리쿠 특급 "라이초"와 "시라사기"용으로 등장했으며, 이후에는 도호쿠・산요 방면을 비롯해 시코쿠를 제외한 전국 전철 특급에 투입되었다. 그 후 신칸센 개통에 따라 단거리·단편성 특급 열차에 투입되어 민영화에 이르렀다.[2]

1987년 4월의 분할 민영화로 483계 8량, 485계 1083량, 489계 136량이 JR 4사에 승계되었다.

분할 민영화 시(1987년 4월 1일) 기지별 차량 배치
회사차량
기지
McMM'Tc
(T'c)
Tsc
(T'sc)
ThscTsTTd비고
JR 홋카이도삿포로 운전소 6 17전 차량 보류차
JR 동일본아오모리 운전소9314022 9 22115T는 증결차
Td는 보류차
아키타 운전구 282824 4 84전 차량 1000번대
가쓰타 전차구 50
4
50
4
36 18 154
8
이 서체는 483계
기타나가노 운전소 996 3 128전 차량 489계
Td는 보류차
조에쓰신덴 운전구 242416 8 72 
JR 서일본가나자와 운전소 25
33
25
33
26
20
 7
16
 283
104
이 서체는 489계
Td는 보류차
무코마치 운전소 606038
2
 302
2
 190
4
이 서체는 489계
T는 보류차
후쿠치야마 운전소 18189 9 54 
JR 큐슈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23487121
(8)
10
(15)
81010 224( )는 480형
가고시마 운전소 292928 14 100 



JR 홋카이도에는 1500번대의 본주(本州) 전출 후, 분할 민영화 직전에 사시481-50, 사로481-37·41·47·60·63·94가 삿포로 운전소로 전입되었지만, 영업 운전에는 투입되지 않고 다른 계열로의 개조 종차 혹은 폐차되었다. 사시481-50은 1989년에 스시24 508로 개조되어 2008년까지 운용되었고, 사로481형 5량은 1990년에 전차 폐차되었다.[2]

세이칸 터널 개업 시에는 도호쿠 신칸센 연락 특급 일부를 하코다테까지 연장 운전하게 되어, 1988년부터 2002년까지는 "하쓰카리"로, 그 이후에는 "하쿠초"로 JR 동일본 아오모리 차량센터 소속의 쓰가루 해협선 주행 대응차가 진입했다. 2016년 홋카이도 신칸센 개업에 따른 시간표 개정으로 "하쿠초"가 전폐되면서 본 계열의 운용은 종료되었다.[2]


하코다테에 진입한 JR 동일본 소속 3000번대


JR 동일본에는 가장 많은 461량이 계승되었다. 주로 도호쿠 신칸센·조에쓰 신칸센과의 연락 특급 열차나 쾌속 열차 등의 피더 수송에 충당되었지만, 일부는 조이풀 트레인으로 개조되었다. 신칸센 개업과 후계 차량의 도입으로 수를 줄여 니가타역 - 이토이가와역 간의 쾌속 열차를 마지막으로 2017년에 정기 운용을 종료했다.[2]

2022년 4월 시점에서 차량 등록을 유지하고 있던 12량은 모두 조이풀 트레인이며, 다카사키 차량센터 소속의 「리조트 야마도리」, 「하나」였다. 이 12량도 같은 해에 운행을 종료, 2022년 12월 28일까지 폐차되어 485계는 전량 폐차되었다. 이로써 58년간 이어진 485계 전동차(전신인 481계 전동차·483계 전동차 포함)의 역사는 막을 내렸다.[2] 전반 검사는 아키타·니가타·나가노 배치 차량을 제외하고 고리야마 종합 차량 센터가 담당했다.[2]

JR 서일본에는435량이 계승되었으며, 108량이 183계 전동차로 개조되었다.[78] 1990년대 후반부터는 681계·683계의 등장으로 급속히 수를 줄여, 2011년 3월의 다이어 개정에 의한 호쿠리쿠 특급 "선더버드"의 폐지에 의해 동사 소속차의 정기 운용이 소멸. 그 후는 순차적으로 폐차가 진행되어 2014년 10월 현재는 보류차로서 쿠하489-1만 재적하고 있었지만, 2015년 2월 13일자로 폐차되었다. 이로 인해 동사 재적의 본 계열은 183계로의 개조차를 포함하여 전폐되었다.[2]

타사 소속의 본 계열은 JR 동일본 니가타 차량센터 소속차가 "호쿠에츠"에서 2015년 3월 13일까지 운행했다. 타사로서는 JR 동일본 관내로 특급 "하쿠산", 급행 "노토" 등으로 우에노까지, 특급 "선더버드" 등으로 니가타까지, 특급 "하쿠초"로 아오모리까지 운행했었다. JR 도카이 관내로는 나고야까지 "시라사기"와 여유 운행의 "홈라이너 오가키·세키가하라"로 2003년까지 운행했었다. 2001년에는, 485계 보닛차 편성이 다카마쓰역 재개발 사업으로 완성된 시설 "선포트 다카마쓰"의 명칭을 그대로 열차명으로 사용한 오사카 - 다카마쓰의 임시 급행으로 첫 진입하여, 시코쿠 최초의 485계 진입이 되었다.[2]

|thumb|200px|선포트 다카마쓰호]]

{{Vertical_images_list

|幅=200px

|1=JRW 485 series konko extra train kurashiki.jpg

|2=금광림 운용
교토종합운전소 소속차

}}

종교 단체를 위한 임시 열차에서는, 창가학회가 관계가 있었던 니치렌정종의 총본산인 다이세키사에 참예하기 위해 니치렌정종 법화강 연합회용 단체 임시 열차인 '''창가림''' 혹은 '''창림'''[79], 금광교 제전 시에 산요 본선 고메까지 운행되는 '''금광림'''에 가나자와·교토 소속의 본 계열이 충당되는 경우가 많았다.[2]

JR 큐슈(JR九州)에는 485계 324량이 계승되었으며, 미나미후쿠오카·가고시마에 이어 오이타 철도 사업부 오이타 차량센터에도 배치되었다. JR 큐슈에서는 내외장의 리뉴얼이 적극적으로 실시되어, 코퍼레이트 컬러인 빨간색을 베이스로 한 도색의 시리즈가 등장했다.[2]

783계나 787계·883계·885계 등 신형 특급형 전동차의 증비에 따라, 말년의 485계는 닛포 본선 로컬 특급용 69량이 오이타 차량센터와 가고시마 종합 차량소에 남게 되었다. 그 후 "니치린", "키리시마", "휴가" 등에서 운용되었지만, 2011년 3월 12일 규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전선 개업에 따른 다이어 개정으로 잉여가 된 783계·787계 등으로 대체되어 정기 운용이 종료되었고[80], 파동 수송 대응이 되는 일부 차량을 제외하고 폐차되었다. 2016년 10월 2일자로 쿠하 481-256이 폐차되어 JR 큐슈에서는 전폐되었다.[2]

JR 큐슈에서는 1990년대 이후, 편성 번호를 부여할 때 계열 고유 알파벳과 차량 기지 고유 소문자 알파벳에 일련의 숫자를 조합하여 표시하고 있으며, 본 계열을 나타내는 D와 소속 기지에서 다음 3종류가 존재했다.[2]

분할 민영화 시(1987년 4월 1일)→2023년 4월 1일 차량 수 추이
 483계485계489계회사별 잔존율
JR 홋카이도 7→0 0 %
JR 동일본8→0425→028→00 %
JR 서일본 327→0108→00 %
JR 큐슈324→0 0 %
계열별 총계8→01,083→0136→0 
계열별 잔존율0 %0 %0 %



분할 민영화 후 회사별 차량 수 추이
서기JR 홋카이도JR 동일본JR 서일본JR 큐슈총계
485계483계485계489계485계489계485계
1987년78425283271083241,227
1988년78423273311023241,222
1989년78425273331003241,224
1990년6239927334993021,169
1991년0038229309983021,120
1992년  38029300952881,092
1993년37029299952631,056
1994년36829291952561,039
1995년36129291952311,007
1996년3612925094216950
1997년3612924494203931
1998년342424192182861
1999년326423886180834
2000년296423486110730
2001년28322348676636
2002년26022066176605
2003년25221935576578
2004년24421204373482
2005년2382934073446
2006년2382853973437
2007년2282853973427
2008년2262853973425
2009년2242853973423
2010년2242583273389
2011년224027969329
2012년201 0933243
2013년191 18200
2014년17318182
2015년13505140
2016년93 194
2017년75075
2018년54 54
2019년2626
2020년1616
2021년1616
2022년1212
2023년00


6. 개조



리조트 익스프레스 유(Resort Express Yū), 2006년 5월


==== 국철 시대의 개조 ====

1968년 10월 1일 시각표 개정(욘사토)에 따라, 오우 본선 특급 '야마바토'가 전철화되면서 6M3T의 9량 편성으로 통일되었다. 이에 따라 센다이 운전소 소속의 사로481-19 ~ 25의 7량을 1968년 6월부터 9월에 걸쳐 고리야마 공장에서 선두차로 개조하여 크로481-51 ~ 57이 되었다. 485계열에서 최초의 개조 번대이며, 483계로 신제된 사로481형 7량 전 차량이 개조되었다.

개조 시 사로481형의 후위 측에 운전대를 설치했지만, 기존 대차를 활용하여 보닛형 운전대를 조립하는 공법이 채용되었다. 보닛형 선두차 개조는 151계 크로150형에 이어 두 번째 사례이다. 신제차 크로481형 0번대와 마찬가지로 전장은 20,100mm, 정원은 36명이며, 보닛 내에 전동 발전기와 공기 압축기가 설치되었지만, 외관상 냉방기・환기 장치의 위치가 다소 다르다.

도호쿠 특급에서는 짝수 방향으로 사용되었다. 1975년에 방향 전환 개조를 시행한 후 7량 모두 큐슈 특급 '카모메' '미도리'용으로 전출되었지만, 1981년에 53이 사고로 폐차, 1982년 12월에 52가, 1983년 12월에 54가 폐차되었다.

분할 민영화 때 4량이 JR 큐슈에 승계되었다. 이 중 크로481-56은 1991년에 '아리아케' 스이젠지 진입 대응 편성 예비차로 전면 스커트부에 점퍼 연결기를 추가 장착하는 개조가 시행되었다. 1995년까지 폐차되어 소멸되었다.

1971년에 등장한 489계는 호쿠리쿠 특급, 산요·큐슈 특급에서 11량 편성으로 잠정 운용되었지만, 산요 신칸센 오카야마 개업의 1972년 3월 개정으로 전철 특급이 된 하쿠산에서 요코가와·가루이자와 구간에 12량 편성으로 본격 투입하게 되었다. 이때 부수차가 부족하여, 사하 481형을 종차로 하여 요코가와·가루이자와 협조용 설비를 추가 개조한 사하 489형 50번대가 1972년 11월에 2량 등장했다.

종차는 1970년 제조된 사하 481-1·2로, 사하 489형 0번대 전기차와 마찬가지로 냉방 장치는 버섯형 덮개의 AU12형을 6기 탑재했다.

이듬해 1973년에는 공기 압축기(CP)를 탑재한 사하 489형 250번대로 개조되었기 때문에, 사하 489형 50번대는 소멸했다.

1972년 3월 개정으로 "하쿠산" 전철 특급화를 위해, 부수차와 함께 부족한 식당차를 보충하기 위해 직류 특급형 181계 사시 181형 100번대 중 사시 181-102, 103의 2량을 489계에 편입하여 사시 489형 100번대로 개조했다. 1972년 2월부터 3월에 걸쳐 나가노 공장(현재: 나가노 종합 차량 센터)에서 실시되었다.

181계는 차체 높이가 낮기 때문에 침목을 개조하여 대차 상면 높이를 485계열과 맞췄지만, 차체 단면이 약간 다르다. 대차는 종차와 같은 벨로우즈식 공기 스프링 TR69C형이다. 조리실 측 妻面(차체 측면)에 회송 운전대를 증설하고, 입환 운전용 손잡이도 설치했다. 내장 관련 개조는 미시공으로, 베네치안 블라인드와 "아즈사" 투입 기념으로 벽면에 장식된 주오 동선 연선 명봉 릴리프 (사시 181-102는 야리가타케, 103은 하쿠바 산)도 남겨졌다.

1985년 호쿠리쿠 특급에 식당차 연결 종료에 따라 1986년에 폐차되었다.

요코구시 구간에서는 대차의 공기 용수철을 펑크내어 운전했으며, 양쪽 끝 선두차의 공기 압축기만으로는 공기 용수철에 공기를 재공급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이 때문에, 사하 489형에 공기 압축기(MH113B-C2000M)를 증설하는 개조가 실시되어, 사하 489형 0번대 4량을 개조한 사하 489형 200번대가 등장했다. 1973년 3월부터 5월에 걸쳐 스이타 공장에서 개조되었다. 이 개조는 189계의 사로 189형에도 피드백되었다.

사하 489형 50번대 2량도 같은 이유로 공기 압축기가 탑재되어, 사하 489형 250번대가 되었다. 1973년 3월・4월에 스이타 공장에서 개조되었다.

200번대는 1985년에 2량이 쿠하 480형 0번대로, 나머지 2량이 1986년에 쿠하 481형 750번대로 개조되어 소멸했다. 250번대는 1984년에 251이 사하 481-201로, 252도 같은 1984년에 쿠하 480형 쿠하 480-11로 개조되어 소멸했다.

1978년 10월 개정으로 오우 본선 특급 쓰바사 증편에 따라 부족한 사로481형과 사시481형은 기존 차량을 전용하여 보충하게 되었다. 이 중 사로481형은 1975년에 "쓰바사" 전철화용으로 차내 판매 준비실 설치 및 MG・CP를 탑재한 사로481-115·116·122·123·127·128을 종차로, 토사키 공장에서 1000번대에 대응하는 인통선을 개조한 후 사로481-1051 - 1056으로 만들었다. 종차 6량은 1976년에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로 전출되었지만, 이 개조로 다시 아키타 운전구로 전입되었다.

사로481-1051


분할 민영화에 즈음하여 전 차량이 JR 동일본에 계승되었다. 1989년에 1051이 등급 강등으로 사하481형 300번대로, 다음 해인 1990년에 1052·1053이 사로489형 1050번대로 개조되었으며, 나머지 3량은 1994년에 폐차되었다.

1978년부터 신에츠 특급 "하쿠산"의 489계 12량 편성을 6M6T에서 8M4T로 변경하면서 식당차 연결이 폐지되어 사시489형의 잉여 차량이 발생했다. 한편, 1978년 10월 개정에서는 오우 본선 특급 "쓰바사"가 증편되면서, "하쿠산"의 식당차 폐지로 잉여가 된 사하489형 0번대 3량을 485계에 편입하여, 요코가와-가루이자와 협조 운전 장치의 철거와 485계 1000번대 상당의 인통선 추가 등의 개조를 거친 사시481형 80번대가 등장했다.

1982년 11월 개정으로 "쓰바사"에 식당차 연결이 폐지되면서, 1량이 다시 489계로 개조되었다. 남은 2량은 호쿠리쿠 특급 "선더버드" 증편용으로 전용되었지만, 1985년에 일본풍 그린차 "단란"의 사로481형 500번대로 개조되어 소멸했다.

1982년 11월 개정에서 오우 본선 특급 "쓰바사"의 식당차 연결이 폐지되었지만, 신에쓰 특급 "하쿠산"에서는 식당차의 연결이 부활하여 부족한 식당차를 보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원래 "쓰바사"용 식당차로 사시489형에서 사시481형으로 개조된 3량 중 1량인 사시481-83이 489계로 재편입되었으나, 신조 당시의 사시489-12가 되지 않고, 사시481형 시대와 동일한 번호인 사시489-83이 되었다.

1985년 호쿠리쿠 특급에 대한 식당차 연결 폐지로 운용에서 이탈했지만, JR 동일본에 계승되어 동사 유일의 사시489형이 되었으며, 1988년에 객차 침대 특급 "호쿠토세이"용 식당차 스시24형 (스시24 506)으로 개조되어 소멸했다. 스시24 506은 2015년 "호쿠토세이" 운용 종료 후에도 보류차로, 2020년 현재에도 차량 등록이 유지되고 있다.

1982년 11월 개정으로 조에츠 신칸센 개통에 따라 재래선 특급 "도키"의 181계가 운용을 종료하면서, 1982년 - 1983년에 걸쳐 사로181형 1100번대 6량을 485계의 사로481형으로 편입하는 개조가 모리오카·코리야마·츠치자키의 3개 공장에서 실시되었다. 사로181형 1100번대는 1978년 10월 개정으로 "도키"의 3MG화에 따라 등장한 것으로, 장래의 485계 편입을 전제로 신조되었기 때문에 181계 편성에서는 굴곡이 두드러졌다.

사로181-1101 - 1106이 사로481-1501 - 1506으로 개조되었고, 점퍼 연결기의 변경 및 덮개의 485계 사양으로의 교체가 이루어졌다. 행선 표시기도 사용되었지만, 181계 시대에 설치된 사보 받이는 그대로 남겨졌다. 1500번대 신제 차량과의 관련은 전혀 없다.

개조 완료 후에는 아오모리 운전소에 배치되었지만, 1985년 "히타치" 증발 시에 카츠타 전차구로 전출되었고, JR 동일본으로 계승되었다. 1990년 - 1991년에 1506을 제외한 5량이 "히타치"의 모노클래스 7량 편성으로의 변경에 따라 쿠하481형 1100번대로 재개조되었다. 남은 1506은 조이풀 트레인 "뉴 나노하나"의 크로484-5로 개조되어 본 구분은 소멸되었다.

1984년 2월 개정으로 큐슈 특급에서 583계가 철수함에 따라, 주간 특급의 단편성 및 편성 수 증가로 인한 그린차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1982년 11월 개정으로 잉여가 된 사로 489형 초기차 2량이 사로 481형으로 편입되었다. 1983년에 사로 489-6·8의 2량이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에서 요코구 협조 장치를 제거하는 개조를 실시하여, 기본 대 번대 신제차의 속번인 사로 481-134·135가 되었다. 사로 481형 0번대 초기차와 차체가 같기 때문에, 냉방 장치는 AU12형을 탑재한다.

2량 모두 JR 큐슈에 승계되었지만, 1990년에 폐차되어 소멸되었다.

1983년 3월, 큐슈 특급 "카모메"의 증결 예비차 확보를 위해, 고쿠라 공장에서 사하489-251로부터 요코카와 - 가루이자와 협조 장치와 CP를 제거하고 사하481형으로 복원했다.

차량 번호는 원래 번호가 아닌 새로운 201이 부여되었다. JR 큐슈에 승계되었지만, 1990년에 폐차되었다.

1983년 도호쿠 신칸센 개통으로 유휴 차량이 된 크로481-3 ~ 5에 대해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에서 시행된 일반차 개조. 국철 시대에 시행된 본 계열 유일의 등급 강등 개조이다.
3량 모두 JR 큐슈로 승계되어 1980년대는 1년마다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와 가고시마를 번갈아 전속되었지만, 601은 1995년에 폐차. 602는 1988년에 크로481-4로 복원 후 1993년에 폐차. 603은 폐차 후, 규슈 철도 기념관에서 정태 보존되고 있다.

1984년 2월 시각표 개정으로 큐슈 지역 특급 열차 증발에 따른 선두차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조에츠 신칸센 개업으로 보류차로 남았던 쿠하 181-109, 쿠하 180-5를 대상으로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에서 실시한 본 계열화 개조.

낙성 후, 1980년대는 1년마다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와 가고시마를 번갈아 전속하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501은 1993년에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에서, 502는 1991년에 가고시마에서 폐차되었다.

1985년 3월 개정에서 호쿠리쿠 본선 특급의 식당차 연결이 폐지되었지만, 식당차 폐지로 인해 남은 사시481형을 종차로 하여 9량이 사로481형 500번대로 개조되어, 와식 그린차 "단란"이 되어 "선더버드"에 투입되었다. 차내는 뷔페와 다다미 방으로 개조되었고, 도색은 국철 특급색 창문 아래에 금색 띠가 들어갔다.

505·507이 다카토리 공장에서, 다른 차량은 스이타 공장에서 개조를 실시했다. 1985년 3월 다이어 개정에서, "선더버드" 4호차의 사로481형 0번대에 이은 5호차로 연결되었지만, 1989년에 일부 열차의 "슈퍼 선더버드"화에 따라 운용에서 이탈했다. 502 - 505·508·509의 6량은 "슈퍼 선더버드"용 라운지 부착 그린차 사로481형 2000번대로 재개조되었지만, 나머지 3량은 운용 이탈 후, 무코마치 운전소에서 유치된 후, 1993년에 폐차되었다.

사로481-507


1985년 3월 개정으로 가고시마 본선 특급 "아리아케"가 기본 5량 편성으로 단축되면서, 쿠모하485형 0번대와 크로480형 0번대가 선두차 개조를 통해 등장했다. 이 중 쿠모하485형 0번대는 모하485형 15량에 선두차 개조와 MG・CP 설치 개조를 실시한 것으로, 개조는 1984년 - 1985년에 걸쳐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고쿠라 공장・하타부 공장에서 시행되었다.

선두차 개조에서는 모하485형의 화장실・세면소・데크 부분을 대차 틀째 철거하고 485계 1000번대 타입의 운전대 블록을 접합하는 공법이 채용되었으며, 485계에서는 최초의 제어 전동차(쿠모하)가 되었다. 운전대 바로 뒤에 기기실을 설치했기 때문에 정원은 56명으로 감소했다. 객실 출입문과 데크는 기기실과 객실 사이에 설치되었다. 타이폰 커버는 슬릿 타입이다.

단축 편성 후에는 통상 5량, 다객기 7량이 되기 때문에, 편성의 반대쪽 선두차인 크로480형의 MG・CP만으로는 용량 부족의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개조 시에는 바닥하부 물탱크 자리에 용량 110 kVA의 MG가, 운전대 조수석 아래에 CP가 설치되었으며, 기기실에는 MG 기동 장치나 AVR(자동 전압 조정기), 바닥하부에서 이전한 공기 탱크 등이 설치되어 있다.

분할 민영화 시에는 전 차량 JR 큐슈에 승계되었고, 말기에는 특급 "니치린"으로 2011년까지 정기 운용되었다. 그 후에는 보류차나 파동용이 되었지만, 마지막까지 잔존한 쿠모하485-5가 2016년 1월 18일에 폐차되어, 구분이 소멸되었다.

1984년부터 1985년에 걸쳐 "아리아케", "니치린"의 단편성 운행에 따라,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 및 고쿠라 공장에서 사로481형을 대상으로 가고시마 방향에 연결되는 제어차로 개조를 실시한 구분. 크로481형 50번대와는 달리, 쿠하481형 300번대 차량에 준하는 운전대를 대차 틀째로 접합했기 때문에 외관 및 정원 등이 크게 다르고, MG는 바닥에 용량 210kVA 타입을, 운전대 아래에 C2000형 CP를 탑재한다. 또한, 대차는 종차에서 유용되었으며, 1 - 14는 TR69E, 15만 TR69H를 장착한다.
개조 후에는 15량 전 차량이 가고시마 운전소에 배치. 1986년에 운용 이관에 의해,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로 재전출. 1987년의 분할 민영화에 의해 JR 큐슈에 승계되었지만, 1987년 중에 11・12는 반실 보통차화 재개조에 의해, 크로하480-51・52로 개번. 1988년 3월 13일 다이어 개정으로 다시 가고시마 운전소로 전출했지만, 1991년 5월 - 1992년 3월에 RED EXPRSS화 및 좌석 배치의 2+1열로의 변경을 실시. 또한 1992년 7월에는 크로하480-52를 1992년에 크로480-12로 복원하여, 2・4・6・8・10・12 - 15가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 배치되었다. 그 후 1993년 2월에 2・4와 5・7을 차량 교환. 이후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 배치 차량은 "아리아케", "카모메", 가고시마 배치 차량은 "니치린"에서 운용되었지만, 잉여 노후화로 인해 2000년까지 폐차되었다.

크로480형 0번대
AU13E형 냉방 장치 탑재 차량


1985년의 "

6. 1. 국철 시대의 개조

특기할 경우를 제외하고 시공 공장 등은 당시 명칭으로 표기한다.

1968년 10월 1일 시간표 개정(욘사토)에 따라, 오우 본선 특급 '야마바토'가 전철화되면서 6M3T의 9량 편성으로 통일되었다. 이에 따라 센다이 운전소 소속의 사로481-19 ~ 25의 7량을 1968년 6월부터 9월에 걸쳐 코리야마 공장에서 선두차로 개조하여 크로481-51 ~ 57이 되었다. 485계열에서 최초의 개조 번대이며, 483계로 신제된 사로481형 7량 전 차량이 개조되었다.

개조 시 사로481형의 후위 측에 운전대를 설치했지만, 기존 대차를 활용하여 보닛형 운전대를 조립하는 공법이 채용되었다. 보닛형 선두차 개조는 151계 크로150형에 이어 두 번째 사례이다. 신제차 크로481형 0번대와 마찬가지로 전장은 20,100mm, 정원은 36명이며, 보닛 내에 전동 발전기와 공기 압축기가 설치되었지만, 외관상 냉방기・환기 장치의 위치가 다소 다르다.

도호쿠 특급에서는 짝수 방향으로 사용되었다. 1975년에 방향 전환 개조를 시행한 후 7량 모두 큐슈 특급 '카모메' '미도리'용으로 전출되었지만, 1981년에 53이 사고로 폐차, 1982년 12월에 52가, 1983년 12월에 54가 폐차되었다.

분할 민영화 때 4량이 JR 큐슈에 승계되었다. 이 중 크로481-56은 1991년에 '아리아케' 스이젠지 진입 대응 편성 예비차로 전면 스커트부에 점퍼 연결기를 추가 장착하는 개조가 시행되었다. 1995년까지 폐차되어 소멸되었다.

1971년에 등장한 489계는 호쿠리쿠 특급, 산요·규슈 특급에서 11량 편성으로 잠정 운용되었지만, 산요 신칸센 오카야마 개업의 1972년 3월 개정으로 전철 특급이 된 하쿠산에서 요코가와·가루이자와 구간에 12량 편성으로 본격 투입하게 되었다. 이때 부수차가 부족하여, 사하 481형을 종차로 하여 요코가와·가루이자와 협조용 설비를 추가 개조한 사하 489형 50번대가 1972년 11월에 2량 등장했다.

종차는 1970년 제조된 사하 481-1·2로, 사하 489형 0번대 전기차와 마찬가지로 냉방 장치는 버섯형 덮개의 AU12형을 6기 탑재했다.

이듬해 1973년에는 공기 압축기를 탑재한 사하 489형 250번대로 개조되었기 때문에, 사하 489형 50번대는 소멸했다.

1972년 3월 개정으로 "하쿠산" 전철 특급화를 위해, 부수차와 함께 부족한 식당차를 보충하기 위해 직류 특급형 181계 사시 181형 100번대 중 사시 181-102, 103의 2량을 489계에 편입하여 사시 489형 100번대로 개조했다. 1972년 2월부터 3월에 걸쳐 나가노 공장(현재: 나가노 종합 차량 센터)에서 실시되었다.

181계는 차체 높이가 낮기 때문에 침목을 개조하여 대차 상면 높이를 485계열과 맞췄지만, 차체 단면이 약간 다르다. 대차는 종차와 같은 벨로우즈식 공기 스프링 TR69C형이다. 조리실 측 妻面(차체 측면)에 회송 운전대를 증설하고, 입환 운전용 손잡이도 설치했다. 내장 관련 개조는 미시공으로, 베네치안 블라인드와 "아즈사" 투입 기념으로 벽면에 장식된 주오 동선 연선 명봉 릴리프 (사시 181-102는 야리가타케, 103은 하쿠바 산)도 남겨졌다.

1985년 호쿠리쿠 특급에 식당차 연결 종료에 따라 1986년에 폐차되었다.

요코구시 구간에서는 대차의 공기 용수철을 펑크내어 운전했으며, 양쪽 끝 선두차의 공기 압축기만으로는 공기 용수철에 공기를 재공급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이 때문에, 사하 489형에 공기 압축기(MH113B-C2000M)를 증설하는 개조가 실시되어, 사하 489형 0번대 4량을 개조한 사하 489형 200번대가 등장했다. 1973년 3월부터 5월에 걸쳐 스이타 공장에서 개조되었다. 이 개조는 189계의 사로 189형에도 피드백되었다.

사하 489형 50번대 2량도 같은 이유로 공기 압축기가 탑재되어, 사하 489형 250번대가 되었다. 1973년 3월・4월에 스이타 공장에서 개조되었다.

200번대는 1985년에 2량이 쿠하 480형 0번대로, 나머지 2량이 1986년에 쿠하 481형 750번대로 개조되어 소멸했다. 250번대는 1984년에 251이 사하 481-201로, 252도 같은 1984년에 쿠하 480형 쿠하 480-11로 개조되어 소멸했다.

1978년 10월 개정으로 오우 본선 특급 쓰바사 증편에 따라 부족한 사로481형과 사시481형은 기존 차량을 전용하여 보충하게 되었다. 이 중 사로481형은 1975년에 "쓰바사" 전철화용으로 차내 판매 준비실 설치 및 MG·CP를 탑재한 사로481-115·116·122·123·127·128을 종차로, 토사키 공장에서 1000번대에 대응하는 인통선을 개조한 후 사로481-1051 - 1056으로 만들었다. 종차 6량은 1976년에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로 전출되었지만, 이 개조로 다시 아키타 운전구로 전입되었다.

분할 민영화에 즈음하여 전 차량이 JR 동일본에 계승되었다. 1989년에 1051이 등급 강등으로 사하481형 300번대로, 다음 해인 1990년에 1052·1053이 사로489형 1050번대로 개조되었으며, 나머지 3량은 1994년에 폐차되었다.

1978년부터 신에츠 특급 "하쿠산"의 489계 12량 편성을 6M6T에서 8M4T로 변경하면서 식당차 연결이 폐지되어 사시489형의 잉여 차량이 발생했다. 한편, 1978년 10월 개정에서는 오우 본선 특급 "츠바사"가 증편되면서, "하쿠산"의 식당차 폐지로 잉여가 된 사하489형 0번대 3량을 485계에 편입하여, 요코가와-가루이자와 협조 운전 장치의 철거와 485계 1000번대 상당의 인통선 추가 등의 개조를 거친 사시481형 80번대가 등장했다.

1982년 11월 개정으로 "츠바사"에 식당차 연결이 폐지되면서, 1량이 다시 489계로 개조되었다. 남은 2량은 호쿠리쿠 특급 "선더버드" 증편용으로 전용되었지만, 1985년에 일본풍 그린차 "단란"의 사로481형 500번대로 개조되어 소멸했다.

1982년 11월 개정에서 오우 특급 "쓰바사"의 식당차 연결이 폐지되었지만, 신에쓰 특급 "하쿠산"에서는 식당차의 연결이 부활하여 부족한 식당차를 보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원래 "쓰바사"용 식당차로 사시489형에서 사시481형으로 개조된 3량 중 1량인 사시481-83이 489계로 재편입되었으나, 신조 당시의 사시489-12가 되지 않고, 사시481형 시대와 동일한 번호인 사시489-83이 되었다.

1985년 호쿠리쿠 특급에 대한 식당차 연결 폐지로 운용에서 이탈했지만, JR 동일본에 계승되어 동사 유일의 사시489형이 되었으며, 1988년에 객차 침대 특급 "호쿠토세이"용 식당차 스시24형 (스시24 506)으로 개조되어 소멸했다. 스시24 506은 2015년 "호쿠토세이" 운용 종료 후에도 보류차로, 2020년 현재에도 차량 등록이 유지되고 있다.

1982년 11월 개정으로 조에츠 신칸센 개통에 따라 재래선 특급 "도키"의 181계가 운용을 종료하면서, 1982년 - 1983년에 걸쳐 사로181형 1100번대 6량을 485계의 사로481형으로 편입하는 개조가 모리오카·코리야마·츠치자키의 3개 공장에서 실시되었다. 사로181형 1100번대는 1978년 10월 개정으로 "도키"의 3MG화에 따라 등장한 것으로, 장래의 485계 편입을 전제로 신조되었기 때문에 181계 편성에서는 굴곡이 두드러졌다.

사로181-1101 - 1106이 사로481-1501 - 1506으로 개조되었고, 점퍼 연결기의 변경 및 덮개의 485계 사양으로의 교체가 이루어졌다. 행선 표시기도 사용되었지만, 181계 시대에 설치된 사보 받이는 그대로 남겨졌다. 1500번대 신제 차량과의 관련은 전혀 없다.

개조 완료 후에는 아오모리 운전소에 배치되었지만, 1985년 "히타치" 증발 시에 카츠타 전차구로 전출되었고, JR 동일본으로 계승되었다. 1990년 - 1991년에 1506을 제외한 5량이 "히타치"의 모노클래스 7량 편성으로의 변경에 따라 쿠하481형 1100번대로 재개조되었다. 남은 1506은 조이풀 트레인 "뉴 나노하나"의 크로484-5로 개조되어 본 구분은 소멸되었다.

1984년 2월 개정으로 큐슈 특급에서 583계가 철수함에 따라, 주간 특급의 단편성 및 편성 수 증가로 인한 그린차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1982년 11월 개정으로 잉여가 된 사로 489형 초기차 2량이 사로 481형으로 편입되었다. 1983년에 사로 489-6·8의 2량이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에서 요코구 협조 장치를 제거하는 개조를 실시하여, 기본 대 번대 신제차의 속번인 사로 481-134·135가 되었다. 사로 481형 0번대 초기차와 차체가 같기 때문에, 냉방 장치는 AU12형을 탑재한다.

2량 모두 JR 큐슈에 승계되었지만, 1990년에 폐차되어 소멸되었다.

1983년 3월, 규슈 특급 "카모메"의 증결 예비차 확보를 위해, 고쿠라 공장에서 사하489-251로부터 요코카와 - 가루이자와 협조 장치와 CP를 제거하고 사하481형으로 복원했다.

차량 번호는 원래 번호가 아닌 새로운 201이 부여되었다. JR 큐슈에 승계되었지만, 1990년에 폐차되었다.

1983년 도호쿠 신칸센 개통으로 유휴 차량이 된 크로481-3 ~ 5에 대해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에서 시행된 일반차 개조. 국철 시대에 시행된 본 계열 유일의 등급 강등 개조이다.
3량 모두 JR 규슈로 승계되어 1980년대는 1년마다 미나미후쿠오카와 가고시마를 번갈아 전속되었지만, 601은 1995년에 폐차. 602는 1988년에 크로481-4로 복원 후 1993년에 폐차. 603은 폐차 후, 규슈 철도 기념관에서 정태 보존되고 있다.

1984년 2월 시간표 개정으로 규슈 지역 특급 열차 증발에 따른 선두차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조에츠 신칸센 개업으로 보류차로 남았던 쿠하 181-109, 쿠하 180-5를 대상으로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에서 실시한 본 계열화 개조.

낙성 후, 1980년대는 1년마다 미나미후쿠오카와 가고시마를 번갈아 전속하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501은 1993년에 미나미후쿠오카에서, 502는 1991년에 가고시마에서 폐차되었다.

1985년 3월 개정에서 호쿠리쿠 본선 특급의 식당차 연결이 폐지되었지만, 식당차 폐지로 인해 남은 사시481형을 종차로 하여 9량이 사로481형 500번대로 개조되어, 와식 그린차 "단란"이 되어 "선더버드"에 투입되었다. 차내는 뷔페와 다다미 방으로 개조되었고, 도색은 국철 특급색 창문 아래에 금색 띠가 들어갔다.

505·507이 다카토리 공장에서, 다른 차량은 스이다 공장에서 개조를 실시했다. 1985년 3월 다이어 개정에서, "선더버드" 4호차의 사로481형 0번대에 이은 5호차로 연결되었지만, 1989년에 일부 열차의 "슈퍼 선더버드"화에 따라 운용에서 이탈했다. 502 - 505·508·509의 6량은 "슈퍼 선더버드"용 라운지 부착 그린차 사로481형 2000번대로 재개조되었지만, 나머지 3량은 운용 이탈 후, 무코마치 운전소에서 유치된 후, 1993년에 폐차되었다.

1985년 3월 개정으로 가고시마 본선 특급 "아리아케"가 기본 5량 편성으로 단축되면서, 쿠모하485형 0번대와 크로480형 0번대가 선두차 개조를 통해 등장했다. 이 중 쿠모하485형 0번대는 모하485형 15량에 선두차 개조와 MG・CP 설치 개조를 실시한 것으로, 개조는 1984년 - 1985년에 걸쳐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고쿠라 공장・하타부 공장에서 시행되었다.

선두차 개조에서는 모하485형의 화장실・세면소・데크 부분을 대차 틀째 철거하고 485계 1000번대 타입의 운전대 블록을 접합하는 공법이 채용되었으며, 485계에서는 최초의 제어 전동차(쿠모하)가 되었다. 운전대 바로 뒤에 기기실을 설치했기 때문에 정원은 56명으로 감소했다. 객실 출입문과 데크는 기기실과 객실 사이에 설치되었다. 타이폰 커버는 슬릿 타입이다.

단축 편성 후에는 통상 5량, 다객기 7량이 되기 때문에, 편성의 반대쪽 선두차인 크로480형의 MG・CP만으로는 용량 부족의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개조 시에는 바닥하부 물탱크 자리에 용량 110 kVA의 MG가, 운전대 조수석 아래에 CP가 설치되었으며, 기기실에는 MG 기동 장치나 AVR(자동 전압 조정기), 바닥하부에서 이전한 공기 탱크 등이 설치되어 있다.

분할 민영화 시에는 전 차량 JR 큐슈에 승계되었고, 말기에는 특급 "니치린"으로 2011년까지 정기 운용되었다. 그 후에는 보류차나 파동용이 되었지만, 마지막까지 잔존한 쿠모하485-5가 2016년 1월 18일에 폐차되어, 구분이 소멸되었다.

1984년부터 1985년에 걸쳐 "아리아케", "니치린"의 단편성 운행에 따라,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 및 고쿠라 공장에서 사로481형을 대상으로 가고시마 방향에 연결되는 제어차로 개조를 실시한 구분. 크로481형 50번대와는 달리, 쿠하481형 300번대 차량에 준하는 운전대를 대차 틀째로 접합했기 때문에 외관 및 정원 등이 크게 다르고, MG는 바닥에 용량 210kVA 타입을, 운전대 아래에 C2000형 CP를 탑재한다. 또한, 대차는 종차에서 유용되었으며, 1 - 14는 TR69E, 15만 TR69H를 장착한다.
개조 후에는 15량 전 차량이 가고시마 운전소에 배치. 1986년에 운용 이관에 의해,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로 재전출. 1987년의 분할 민영화에 의해 JR큐슈에 승계되었지만, 1987년 중에 11・12는 반실 보통차화 재개조에 의해, 크로하480-51・52로 개번. 1988년 3월 13일 다이어 개정으로 다시 가고시마 운전소로 전출했지만, 1991년 5월 - 1992년 3월에 RED EXPRSS화 및 좌석 배치의 2+1열로의 변경을 실시. 또한 1992년 7월에는 크로하480-52를 1992년에 크로480-12로 복원하여, 2・4・6・8・10・12 - 15가 미나미후쿠오카 배치되었다. 그 후 1993년 2월에 2・4와 5・7을 차량 교환. 이후 미나미후쿠오카 배치 차량은 "아리아케", "카모메", 가고시마 배치 차량은 "니치린"에서 운용되었지만, 잉여 노후화로 인해 2000년까지 폐차되었다.

1985년의 "구로시오" 증편에는, 경비 절감을 위해 신칸센 개업 등으로 여유가 생긴 본 계열의 전용이 결정되었지만, 4량이라는 짧은 편성으로 인해 제어차 부족이 문제가 되었다. 이에 사하481·489형을 종차로, MG·CP는 미탑재로 한 제어차화 개조로 대응하게 되었으며, 1984년 - 1985년에 걸쳐 나가노·히로시마·하타세의 각 공장과 니이츠 차량 관리소(→니이츠 차량 제작소→현재: 종합 차량 제작소니이츠 사업소)에서의 시공으로 완성된 형식이다.
:*관통 호로가 있는 쿠하481형 200번대와의 정면 병결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관통 호로 설치 시의 미관을 고려하지 않은 구조이다.

:*완성 당시, 관통문 특급 마크는 표준적인 입체형을 일부 차량에 장착했지만, 관통로 구성 시 통행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단기간에 평면형으로 교체되었다.

냉방 장치는 종차에 따라 다르며, 쿠하480-1 - 3과 9 - 11은 AU12형 5기, 4 - 8은 AU13E형 5기이다. 쿠하480-9 - 11은 사하489형 200·250번대의 개조차로, 종차의 MG·CP는 짧은 편성에서는 불필요하므로 철거되었다.

1986년에 "구로시오"가 381계로 다시 통일되면서, 총 11량 중 1 - 4·7·9 - 11이 "미도리", "니치린"용으로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로, 5·6·8이 "기타킨키"용으로 후쿠치야마 운전소(현재: 후쿠치야마 전차구)로 전출되었다. 후쿠치야마로 전출된 3량은 1986년에 8·6이 쿠하481-801·802로, 1987년에 5가 쿠하481-851로 개조. 801·851은 1990년에 쿠하183형으로 재개조되었다. 미나미후쿠오카로 전출된 8량은, 관통문 매립 시 입체형 특급 마크로 변경되었지만, 2000년까지 전 차량 폐차되었다.

1985년 3월 개정으로 호쿠리쿠 특급 "시라사기", "가에쓰", "호쿠에쓰"의 7량 편성 통일로 부족한 선두차를 보충하기 위해, 사하489-11을 종차로 선두차화 개조를 실시하여 쿠하481-701이 등장했다. 개조 시공은 마쓰토 공장이다.

선두차화 개조에 있어서는, 후위의 객실을 절단하여 485계 1000번대 타입의 운전대 유닛이 접합되었고, 공기 압축기는 바닥에서 운전대 조수석 아래로 이설되었으며, 바닥에는 210 kVA의 MG가 신설되었다. 냉방 장치는 AU13E형이지만, 운전대 바로 뒤의 1기가 약간 뒤

6. 1. 1. 번호 변경을 수반하는 개조



1968년 10월 1일 시간표 개정(욘사토)에 따라, 오우 본선 특급 '야마바토'가 전철화되면서 6M3T의 9량 편성으로 통일되었다. 이에 따라 센다이 운전소 소속의 사로481-19 ~ 25의 7량을 1968년 6월부터 9월에 걸쳐 코리야마 공장에서 선두차로 개조하여 크로481-51 ~ 57이 되었다. 485계열에서 최초의 개조 번대이며, 483계로 신제된 사로481형 7량 전 차량이 개조되었다.

개조 시 사로481형의 후위 측에 운전대를 설치했지만, 기존 대차를 활용하여 보닛형 운전대를 조립하는 공법이 채용되었다. 보닛형 선두차 개조는 151계 크로150형에 이어 두 번째 사례이다. 신제차 크로481형 0번대와 마찬가지로 전장은 20,100mm, 정원은 36명이며, 보닛 내에 전동 발전기와 공기 압축기가 설치되었지만, 외관상 냉방기・환기 장치의 위치가 다소 다르다.

도호쿠 특급에서는 짝수 방향으로 사용되었다. 1975년에 방향 전환 개조를 시행한 후 7량 모두 큐슈 특급 '카모메' '미도리'용으로 전출되었지만, 1981년에 53이 사고로 폐차, 1982년 12월에 52가, 1983년 12월에 54가 폐차되었다.

분할 민영화 때 4량이 JR 큐슈에 승계되었다. 이 중 크로481-56은 1991년에 '아리아케' 스이젠지 진입 대응 편성 예비차로 전면 스커트부에 점퍼 연결기를 추가 장착하는 개조가 시행되었다. 1995년까지 폐차되어 소멸되었다.

1971년에 등장한 489계는 호쿠리쿠 특급, 산요·규슈 특급에서 11량 편성으로 잠정 운용되었지만, 산요 신칸센 오카야마 개업의 1972년 3월 개정으로 전철 특급이 된 하쿠산에서 요코가와·가루이자와 구간에 12량 편성으로 본격 투입하게 되었다. 이때 부수차가 부족하여, 사하 481형을 종차로 하여 요코가와·가루이자와 협조용 설비를 추가 개조한 사하 489형 50번대가 1972년 11월에 2량 등장했다.

종차는 1970년 제조된 사하 481-1·2로, 사하 489형 0번대 전기차와 마찬가지로 냉방 장치는 버섯형 덮개의 AU12형을 6기 탑재했다.

이듬해 1973년에는 공기 압축기를 탑재한 사하 489형 250번대로 개조되었기 때문에, 사하 489형 50번대는 소멸했다.

1972년 3월 개정으로 "하쿠산" 전철 특급화를 위해, 부수차와 함께 부족한 식당차를 보충하기 위해 직류 특급형 181계 사시 181형 100번대 중 사시 181-102, 103의 2량을 489계에 편입하여 사시 489형 100번대로 개조했다. 1972년 2월부터 3월에 걸쳐 나가노 공장(현재: 나가노 종합 차량 센터)에서 실시되었다.

181계는 차체 높이가 낮기 때문에 침목을 개조하여 대차 상면 높이를 485계열과 맞췄지만, 차체 단면이 약간 다르다. 대차는 종차와 같은 벨로우즈식 공기 스프링 TR69C형이다. 조리실 측 妻面(차체 측면)에 회송 운전대를 증설하고, 입환 운전용 손잡이도 설치했다. 내장 관련 개조는 미시공으로, 베네치안 블라인드와 "아즈사" 투입 기념으로 벽면에 장식된 주오 동선 연선 명봉 릴리프 (사시 181-102는 야리가타케, 103은 하쿠바 산)도 남겨졌다.

1985년 호쿠리쿠 특급에 식당차 연결 종료에 따라 1986년에 폐차되었다.

요코구시 구간에서는 대차의 공기 용수철을 펑크내어 운전했으며, 양쪽 끝 선두차의 공기 압축기만으로는 공기 용수철에 공기를 재공급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이 때문에, 사하 489형에 공기 압축기(MH113B-C2000M)를 증설하는 개조가 실시되어, 사하 489형 0번대 4량을 개조한 사하 489형 200번대가 등장했다. 1973년 3월부터 5월에 걸쳐 스이타 공장에서 개조되었다. 이 개조는 189계의 사로 189형에도 피드백되었다.

사하 489형 50번대 2량도 같은 이유로 공기 압축기가 탑재되어, 사하 489형 250번대가 되었다. 1973년 3월・4월에 스이타 공장에서 개조되었다.

200번대는 1985년에 2량이 쿠하 480형 0번대로, 나머지 2량이 1986년에 쿠하 481형 750번대로 개조되어 소멸했다. 250번대는 1984년에 251이 사하 481-201로, 252도 같은 1984년에 쿠하 480형 쿠하 480-11로 개조되어 소멸했다.

1978년 10월 개정으로 오우 본선 특급 쓰바사 증편에 따라 부족한 사로481형과 사시481형은 기존 차량을 전용하여 보충하게 되었다. 이 중 사로481형은 1975년에 "쓰바사" 전철화용으로 차내 판매 준비실 설치 및 MG·CP를 탑재한 사로481-115·116·122·123·127·128을 종차로, 토사키 공장에서 1000번대에 대응하는 인통선을 개조한 후 사로481-1051 - 1056으로 만들었다. 종차 6량은 1976년에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로 전출되었지만, 이 개조로 다시 아키타 운전구로 전입되었다.

분할 민영화에 즈음하여 전 차량이 JR 동일본에 계승되었다. 1989년에 1051이 등급 강등으로 사하481형 300번대로, 다음 해인 1990년에 1052·1053이 사로489형 1050번대로 개조되었으며, 나머지 3량은 1994년에 폐차되었다.

1978년부터 신에츠 특급 "하쿠산"의 489계 12량 편성을 6M6T에서 8M4T로 변경하면서 식당차 연결이 폐지되어 사시489형의 잉여 차량이 발생했다. 한편, 1978년 10월 개정에서는 오우 본선 특급 "츠바사"가 증편되면서, "하쿠산"의 식당차 폐지로 잉여가 된 사하489형 0번대 3량을 485계에 편입하여, 요코가와-가루이자와 협조 운전 장치의 철거와 485계 1000번대 상당의 인통선 추가 등의 개조를 거친 사시481형 80번대가 등장했다.

1982년 11월 개정으로 "츠바사"에 식당차 연결이 폐지되면서, 1량이 다시 489계로 개조되었다. 남은 2량은 호쿠리쿠 특급 "선더버드" 증편용으로 전용되었지만, 1985년에 일본풍 그린차 "단란"의 사로481형 500번대로 개조되어 소멸했다.

1982년 11월 개정에서 오우 특급 "쓰바사"의 식당차 연결이 폐지되었지만, 신에쓰 특급 "하쿠산"에서는 식당차의 연결이 부활하여 부족한 식당차를 보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원래 "쓰바사"용 식당차로 사시489형에서 사시481형으로 개조된 3량 중 1량인 사시481-83이 489계로 재편입되었으나, 신조 당시의 사시489-12가 되지 않고, 사시481형 시대와 동일한 번호인 사시489-83이 되었다.

1985년 호쿠리쿠 특급에 대한 식당차 연결 폐지로 운용에서 이탈했지만, JR 동일본에 계승되어 동사 유일의 사시489형이 되었으며, 1988년에 객차 침대 특급 "호쿠토세이"용 식당차 스시24형 (스시24 506)으로 개조되어 소멸했다. 스시24 506은 2015년 "호쿠토세이" 운용 종료 후에도 보류차로, 2020년 현재에도 차량 등록이 유지되고 있다.

1982년 11월 개정으로 조에츠 신칸센 개통에 따라 재래선 특급 "도키"의 181계가 운용을 종료하면서, 1982년 - 1983년에 걸쳐 사로181형 1100번대 6량을 485계의 사로481형으로 편입하는 개조가 모리오카·코리야마·츠치자키의 3개 공장에서 실시되었다. 사로181형 1100번대는 1978년 10월 개정으로 "도키"의 3MG화에 따라 등장한 것으로, 장래의 485계 편입을 전제로 신조되었기 때문에 181계 편성에서는 굴곡이 두드러졌다.

사로181-1101 - 1106이 사로481-1501 - 1506으로 개조되었고, 점퍼 연결기의 변경 및 덮개의 485계 사양으로의 교체가 이루어졌다. 행선 표시기도 사용되었지만, 181계 시대에 설치된 사보 받이는 그대로 남겨졌다. 1500번대 신제 차량과의 관련은 전혀 없다.

개조 완료 후에는 아오모리 운전소에 배치되었지만, 1985년 "히타치" 증발 시에 카츠타 전차구로 전출되었고, JR 동일본으로 계승되었다. 1990년 - 1991년에 1506을 제외한 5량이 "히타치"의 모노클래스 7량 편성으로의 변경에 따라 쿠하481형 1100번대로 재개조되었다. 남은 1506은 조이풀 트레인 "뉴 나노하나"의 크로484-5로 개조되어 본 구분은 소멸되었다.

1984년 2월 개정으로 큐슈 특급에서 583계가 철수함에 따라, 주간 특급의 단편성 및 편성 수 증가로 인한 그린차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1982년 11월 개정으로 잉여가 된 사로 489형 초기차 2량이 사로 481형으로 편입되었다. 1983년에 사로 489-6·8의 2량이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에서 요코구 협조 장치를 제거하는 개조를 실시하여, 기본 대 번대 신제차의 속번인 사로 481-134·135가 되었다. 사로 481형 0번대 초기차와 차체가 같기 때문에, 냉방 장치는 AU12형을 탑재한다.

2량 모두 JR 큐슈에 승계되었지만, 1990년에 폐차되어 소멸되었다.

1983년 3월, 규슈 특급 "카모메"의 증결 예비차 확보를 위해, 고쿠라 공장에서 사하489-251로부터 요코카와 - 가루이자와 협조 장치와 CP를 제거하고 사하481형으로 복원했다.

차량 번호는 원래 번호가 아닌 새로운 201이 부여되었다. JR 큐슈에 승계되었지만, 1990년에 폐차되었다.

1983년 도호쿠 신칸센 개통으로 유휴 차량이 된 크로481-3 ~ 5에 대해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에서 시행된 일반차 개조. 국철 시대에 시행된 본 계열 유일의 등급 강등 개조이다.
3량 모두 JR 규슈로 승계되어 1980년대는 1년마다 미나미후쿠오카와 가고시마를 번갈아 전속되었지만, 601은 1995년에 폐차. 602는 1988년에 크로481-4로 복원 후 1993년에 폐차. 603은 폐차 후, 규슈 철도 기념관에서 정태 보존되고 있다.

1984년 2월 시간표 개정으로 규슈 지역 특급 열차 증발에 따른 선두차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조에츠 신칸센 개업으로 보류차로 남았던 쿠하 181-109, 쿠하 180-5를 대상으로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에서 실시한 본 계열화 개조.

낙성 후, 1980년대는 1년마다 미나미후쿠오카와 가고시마를 번갈아 전속하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501은 1993년에 미나미후쿠오카에서, 502는 1991년에 가고시마에서 폐차되었다.

1985년 3월 개정에서 호쿠리쿠 본선 특급의 식당차 연결이 폐지되었지만, 식당차 폐지로 인해 남은 사시481형을 종차로 하여 9량이 사로481형 500번대로 개조되어, 와식 그린차 "단란"이 되어 "선더버드"에 투입되었다. 차내는 뷔페와 다다미 방으로 개조되었고, 도색은 국철 특급색 창문 아래에 금색 띠가 들어갔다.

505·507이 다카토리 공장에서, 다른 차량은 스이다 공장에서 개조를 실시했다. 1985년 3월 다이어 개정에서, "선더버드" 4호차의 사로481형 0번대에 이은 5호차로 연결되었지만, 1989년에 일부 열차의 "슈퍼 선더버드"화에 따라 운용에서 이탈했다. 502 - 505·508·509의 6량은 "슈퍼 선더버드"용 라운지 부착 그린차 사로481형 2000번대로 재개조되었지만, 나머지 3량은 운용 이탈 후, 무코마치 운전소에서 유치된 후, 1993년에 폐차되었다.

1985년 3월 개정으로 가고시마 본선 특급 "아리아케"가 기본 5량 편성으로 단축되면서, 쿠모하485형 0번대와 크로480형 0번대가 선두차 개조를 통해 등장했다. 이 중 쿠모하485형 0번대는 모하485형 15량에 선두차 개조와 MG・CP 설치 개조를 실시한 것으로, 개조는 1984년 - 1985년에 걸쳐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고쿠라 공장・하타부 공장에서 시행되었다.

선두차 개조에서는 모하485형의 화장실・세면소・데크 부분을 대차 틀째 철거하고 485계 1000번대 타입의 운전대 블록을 접합하는 공법이 채용되었으며, 485계에서는 최초의 제어 전동차(쿠모하)가 되었다. 운전대 바로 뒤에 기기실을 설치했기 때문에 정원은 56명으로 감소했다. 객실 출입문과 데크는 기기실과 객실 사이에 설치되었다. 타이폰 커버는 슬릿 타입이다.

단축 편성 후에는 통상 5량, 다객기 7량이 되기 때문에, 편성의 반대쪽 선두차인 크로480형의 MG・CP만으로는 용량 부족의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개조 시에는 바닥하부 물탱크 자리에 용량 110 kVA의 MG가, 운전대 조수석 아래에 CP가 설치되었으며, 기기실에는 MG 기동 장치나 AVR(자동 전압 조정기), 바닥하부에서 이전한 공기 탱크 등이 설치되어 있다.

분할 민영화 시에는 전 차량 JR 큐슈에 승계되었고, 말기에는 특급 "니치린"으로 2011년까지 정기 운용되었다. 그 후에는 보류차나 파동용이 되었지만, 마지막까지 잔존한 쿠모하485-5가 2016년 1월 18일에 폐차되어, 구분이 소멸되었다.

1984년부터 1985년에 걸쳐 "아리아케", "니치린"의 단편성 운행에 따라,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 및 고쿠라 공장에서 사로481형을 대상으로 가고시마 방향에 연결되는 제어차로 개조를 실시한 구분. 크로481형 50번대와는 달리, 쿠하481형 300번대 차량에 준하는 운전대를 대차 틀째로 접합했기 때문에 외관 및 정원 등이 크게 다르고, MG는 바닥에 용량 210kVA 타입을, 운전대 아래에 C2000형 CP를 탑재한다. 또한, 대차는 종차에서 유용되었으며, 1 - 14는 TR69E, 15만 TR69H를 장착한다.
개조 후에는 15량 전 차량이 가고시마 운전소에 배치. 1986년에 운용 이관에 의해,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로 재전출. 1987년의 분할 민영화에 의해 JR큐슈에 승계되었지만, 1987년 중에 11・12는 반실 보통차화 재개조에 의해, 크로하480-51・52로 개번. 1988년 3월 13일 다이어 개정으로 다시 가고시마 운전소로 전출했지만, 1991년 5월 - 1992년 3월에 RED EXPRSS화 및 좌석 배치의 2+1열로의 변경을 실시. 또한 1992년 7월에는 크로하480-52를 1992년에 크로480-12로 복원하여, 2・4・6・8・10・12 - 15가 미나미후쿠오카 배치되었다. 그 후 1993년 2월에 2・4와 5・7을 차량 교환. 이후 미나미후쿠오카 배치 차량은 "아리아케", "카모메", 가고시마 배치 차량은 "니치린"에서 운용되었지만, 잉여 노후화로 인해 2000년까지 폐차되었다.

1985년의 "구로시오" 증편에는, 경비 절감을 위해 신칸센 개업 등으로 여유가 생긴 본 계열의 전용이 결정되었지만, 4량이라는 짧은 편성으로 인해 제어차 부족이 문제가 되었다. 이에 사하481·489형을 종차로, MG·CP는 미탑재로 한 제어차화 개조로 대응하게 되었으며, 1984년 - 1985년에 걸쳐 나가노·히로시마·하타세의 각 공장과 니이츠 차량 관리소(→니이츠 차량 제작소→현재: 종합 차량 제작소니이츠 사업소)에서의 시공으로 완성된 형식이다.
:*관통 호로가 있는 쿠하481형 200번대와의 정면 병결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관통 호로 설치 시의 미관을 고려하지 않은 구조이다.

:*완성 당시, 관통문 특급 마크는 표준적인 입체형을 일부 차량에 장착했지만, 관통로 구성 시 통행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단기간에 평면형으로 교체되었다.

냉방 장치는 종차에 따라 다르며, 쿠하480-1 - 3과 9 - 11은 AU12형 5기, 4 - 8은 AU13E형 5기이다. 쿠하480-9 - 11은 사하489형 200·250번대의 개조차로, 종차의 MG·CP는 짧은 편성에서는 불필요하므로 철거되었다.

1986년에 "구로시오"가 381계로 다시 통일되면서, 총 11량 중 1 - 4·7·9 - 11이 "미도리", "니치린"용으로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로, 5·6·8이 "기타킨키"용으로 후쿠치야마 운전소(현재: 후쿠치야마 전차구)로 전출되었다. 후쿠치야마로 전출된 3량은 1986년에 8·6이 쿠하481-801·802로, 1987년에 5가 쿠하481-851로 개조. 801·851은 1990년에 쿠하183형으로 재개조되었다. 미나미후쿠오카로 전출된 8량은, 관통문 매립 시 입체형 특급 마크로 변경되었지만, 2000년까지 전 차량 폐차되었다.

1985년 3월 개정으로 호쿠리쿠 특급 "시라사기", "가에쓰", "호쿠에쓰"의 7량 편성 통일로 부족한 선두차를 보충하기 위해, 사하489-11을 종차로 선두차화 개조를 실시하여 쿠하481-701이 등장했다. 개조 시공은 마쓰토 공장이다.

선두차화 개조에 있어서는, 후위의 객실을 절단하여 485계 1000번대 타입의 운전대 유닛이 접합되었고, 공기 압축기는 바닥에서 운전대 조수석 아래로 이설되었으며, 바닥에는 210 kVA의 MG가 신설되었다. 냉방 장치는 AU13E형이지만, 운전대 바로 뒤의 1기가 약간 뒤로 치우쳐 있다.

분할 민영화 시에는 JR 서일본에 승계되었다. 2001년에 가나자와에서 교토 종합 운전소로 전출되어, "라이초"용 A편성에 조성. 2010년 "라이초"

6. 1. 2. 번호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 개조



국철 시대에 간이 리클라이닝 시트로 교체되었다.

국철 시대에 고리야마 공장에서 하부 전조등을 실드 빔화하였다.

우에쓰 본선오우 본선 아키타 - 아오모리 간의 동해에 인접한 전철화 구간에서는 겨울철 강한 북서풍에 의한 염해로 옥상 특고압 기기에 염분이 부착되면 절연 성능 저하로 인한 단락이 우려되었다. 이에 따라 해당 구간에서 운용되는 아오모리・아키타・니가타 배치 차량에는 애자에 녹색 실리콘 수지 도료를 부착하여 대응했다.[39]

도호쿠 본선구로이소역1959년의 전철화 개업 당시 지상 절체 방식의 교직류 접속 설비를 갖추고 있었으며, 1965년의 483계 운전 개시 당시에는 해당 역에 반드시 정차하여 팬터그래프를 내리고, 지상 측에서 전원 절체 후에 팬터그래프를 다시 올려 출발하는 형태를 채택했다. 그러나 1968년 10월 1일 시간표 개정에서는 일부 특급 열차가 통과하게 됨에 따라, 하행 1번선과 상행 5번선에 기존의 지상 절체 설비를 존치한 채, 새롭게 차상 절체가 가능한 데드 섹션을 추가 설치했다. 이 설비는 동시에 신호 동작도 수행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통과 운용에 투입되는 아오모리·아키타·센다이 배치의 쿠하 481형·크로 481형에는 열차 선별 장치를 탑재하는 공사가 시행되었다. 또한, 호쿠리쿠·산요·규슈선용 선두 차량에 대해서도, 1968년도 이후의 제조 차량은 장래의 동일본 지역으로의 전속을 고려하여 준비 공사를 실시했다.

해당 개정 이후의 전철 특급은, 해당 역 통과·정차 여부에 관계없이 차상 절체를 수행함으로써 정차 열차에서도 지상 절체에 비해 정차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1993년까지 이 장치를 사용하여 운전되었다.

1970년대 초, 헤드마크 도난 방지 및 교체 작업의 간소화를 위해 스이타 공장에서 무코마치 운전소 소속의 481계 쿠하481-2 - 7・9 - 11・15 - 18・37・38에 시행된 개조로, 헤드마크 내측의 조명 부분에 전기 지령식 방향막 시스템을 탑재했다.[40]

롤 마크로 확인된 열차명은 다음과 같다.

크로481-101(우)
타이폰 이전 공사 시공차
타이폰 상부에 손잡이 잔존


센다이 운전소에 배치된 쿠하481-19~30, 101 및 크로481-1~5, 51~57, 101의 타이폰은 원래 스커트부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다음 3가지 유형이 있었다.

그러나 도호쿠 지역에서는 겨울철 적설 및 결빙으로 인한 동작 불량 방지 및 타이폰 보호 관점에서 1970년대 전반에 보닛부로의 이전이 시공되었다.

100번대에서는 쿠하481・크로481-101이 유일하게 스커트부에 타이폰을 설치하고 완성되었지만, 1973년에 다른 차량과 같은 위치로 개조되었다. 이 때문에 흔적으로 타이폰 상부에 손잡이가 잔존한다.

1000번대에서는 3MG화가 이루어졌고, 트러블 발생 시 운전석에서 급전 구분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계 변경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편성을 구성하는 사시481형에서는 재래차에 인출선 증설 등으로 대응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전 차량 1000번대로 구성된 아키타 운전구에 전입했을 때, 쓰치자키 공장에서 시행된 개조이다. 사시489형에서의 개조차를 제외하고 차량 번호 변경은 미실시. 사시481형에서 개조된 그룹에서는, 1976년에 57 - 59・61 - 63의 6량, 1978년 - 1979년에 65 - 67・75・76으로 시행되었다.

57 - 59・61 - 63은, "쓰바사" 전철화 시에 잠정 투입된 나가사키・사세보선용 200번대 차량 편성의 조립 차량에서 개조되었다. 1978년 10월 2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쓰바사"가 증편된 것에 따라, 그 해에 65 - 67의 3량이 개조 시행되었다. 또한 1979년 7월 1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그 해에 가나자와 운전소 예비차 1량(75)과 편성 변경으로 잉여가 된 센다이 운전소 소속차 1량(76)으로 추가 개조를 시행했다. 이 외에, 사시489형의 편입차 3량(81 - 83)도 준비되었다.

1982년에 "쓰바사"의 식당차가 폐지된 한편, "라이초" 증편에 의해 무코마치로 57 - 59가, "하쿠산"에 식당차가 부활한 가나자와로 61 - 63・65 - 67・75・76이 전출했지만, 어느 것도 1985년 3월 14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식당차가 떼어내졌고, 전 차량 1986년 2월 - 3월에 폐차되었다. 1986년 3월 31일부로 폐차된 차량 중, 67・75・76은 분할 민영화 직전인 1987년 2월부터 3월에 걸쳐 차적 부활 및 "호쿠토세이"용 24계 식당차 스시24 501 - 503으로 개조되어, JR 홋카이도가 승계했다.

사시481형 1000번대 대응 인출선 개조차
차량 번호신제 배치아키타 전속무코마치/가나자와 전속폐차일스시24 개조
사시481-57무코마치1975.9.161982.11.14 무코마치1986.3.31rowspan="6" style="background-color:#ddd;"|
사시481-581986.2.27
사시481-59
사시481-611982.7.4 가나자와1986.3.31
사시481-62
사시481-631982.8.27 가나자와
사시481-65무코마치1978.8.61982.8.30 가나자와1986.3.31rowspan="2" style="background-color:#ddd;"|
사시481-661982.8.27 가나자와
사시481-671982.8.30 가나자와스시24 501
1987.2.2 마쓰토 공장
사시481-75가나자와1979.5.151982.9.8 가나자와스시24 502
1987.3.23 스이다 공장
사시481-76센다이스시24 503
1987.3.20 니쓰 차량소



「비디오 특급」 표시


1980년부터 규슈 관내의 일부 특급 열차에서 서비스 향상의 일환으로 비디오 상영이 실시되면서, 가고시마 차량 관리소에 배치된 쿠하481-33·35·37·39에 비디오 장치 설치 개조가 실시되었다. 차내는 바닥을 단식으로 개조하고, 운전대 칸막이에 50인치 스크린을 설치했으며, 차외의 객실 출입문 주변에 「비디오 특급」 스티커를 부착했다. 스크린 설치에 따라 스크린 쪽 좌석을 8석 철거하여, 정원은 48명이 되었다.

주로 「아리아케」에서 운용되었지만, 1985년에 상영이 중단되었고, 비디오 장치도 나중에 철거되었다. 단식 바닥 구조는 그대로였다.

6. 2. 타 계열로의 개조 (국철)

단편성화를 통한 부수차의 제어차 개조, 잉여 그린차의 전용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24계 객차화에서는 부족했던 식당차의 전용이 주를 이룬다.

== 181계로의 개조 ==

1978년 10월 개정으로 조에쓰 특급 "도키"용 181계의 3MG화에 따른 편성 변경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MG·CP 부착 그린차는 485계 타입의 차체로 사로 181형 1000번대가 신제작되었지만, MP·CP가 없는 그린차는 신제작 대수를 억제하기 위해 기존 차량의 개조가 이루어져, 사로 481형 초기 차량 3량이 사로 181형 1050번대로 개조되었다。 점퍼 연결기나 덮개 틀, 건널판도 181계 사양으로 변경되었다。

편성 구성은 183계와 공통화되었다. 1982년 조에쓰 신칸센 개업에 따라 181계로서의 운용은 종료되었지만, 이 중 2량이 113계 그린차로 재개조되었다。

== 183계, 189계로의 개조 (국철) ==

1978년 10월 개정에서는 183계에 의한 "도키"가 증편되었지만, 신제 차량 수를 억제하기 위해 사로481형에 인출선 설치 등의 개조를 실시하여 4량이 사로183형 1050번대에 개조되었다.또한, 신에츠 특급 "아사마" 계통의 증편에 대응하기 위해 사로481형 3량이 사로189형 50번대에 개조되었다.

1982년 11월 개정에서의 "아사마" 증편에서는, 도호쿠 특급에서 잉여가 된 485계가 전용되게 되어, 모하485・484형의 유닛이 모하189・188형에 편입되었다. 차체는 189계와 동 타입의 것이 신제되었으며、주 제어기 등도 189계와 동 타입이 되었다.

1985년 3월 개정 이후에는, 183계・189계의 특급 열차의 단편성 고빈도 운전화가 계획되게 되어, 필요하게 된 선두차가 사하481・489형의 선두차화 개조로 보충되었다. 마쿠하리 전차구의 183계에 의한 주오선 특급 "아즈사"는 1985년 3월 개정으로 나가노 운전소로 이관되게 되어, 사하489형 2량을 쿠하183형 100번대에, 사하481형 2량을 쿠하182형에 개조했다. 쿠하183형 1000번대 타입의 운전대를 접합하여, 운전대 직후에도 데크와 객실 출입문이 증설되었다. 선두차화 개조차는, 모두 기존의 객실 출입문의 스텝은 존치되었다.

1986년 11월 개정에서는 "아즈사"의 단편성화를 실시, 사하481형의 선두차화 개조차로서 쿠하183・182형 100번대, 사하489형에서 쿠하183형 150번대로의 개조차가 등장했다. 이 중, 쿠하183형 150번대는 183계 1000번대 타입이 아니라 485계 1000번대 타입의 운전대가 접합되었기 때문에, 전장이 250 mm 길어졌다.

같은 1986년 11월 개정에서 "아사마"가 단편성되었을 때, 사하481형 4량이 쿠하188형 100・600번대 각 2량으로 개조되었다.

국철 분할 민영화에서는 JR 동일본에 승계되었다. 사로183-1052・1053는 1988년에 그레이드업 개조와 동시에 사로481-98・112로 복원 시공되었다. 사로183-1051・1054는 1989년에 사하481-305・304로 개조, 사로189-51 - 53은 1989년에 사하481-306 - 308로 개조되었다.

== 113계 그린차로의 개조 ==

근교형 전동차 113계의 사로110형 0번대·1000번대 및 사로111형의 노후화 교체를 위해, 잉여가 된 사로481·489형을 근교형 사로110형으로 편입한 그룹이 1983년부터 1985년에 걸쳐 등장했다。분할 민영화 후에는 각 번대 모두 JR 동일본이 계승했다.

도카이도 본선 도쿄 지구에서는 1983년에 사로489형을 113계에 편입한 사로110형 350번대가 등장하여, 객실 출입문의 증설이나 스텝의 매립 등의 개조가 이루어졌다。그 외, 사로481형에서 개조된 사로181형 1050번대에서도 2량이 사로110형 300번대로 편입되었다.

1985년에는 요코스카·소부 쾌속선의 사로110형 1000번대 교체를 위해 사로489형·사로481형을 113계 1000번대에 편입한 사로110형 1350번대가 등장했다。

== 스시 24형 500번대로의 개조 (국철) ==

1988년 3월 쓰가루 해협선 개통으로, 우에노 - 삿포로 간 침대 특급 호쿠토세이의 운행이 시작되기 전에, 국철 시대인 1987년에 사시 481형 3량이 24계 객차의 스시 24형으로 개조되어 스시 24 501 - 503이 되었다. 밀착 자동 연결기로의 교환, 브레이크 장치의 CL화, 인입 회로, 차체 색상의 변경이 시행되었지만, 차체의 기본 구조나 대차, 옥상 설비 등은 485계의 상태를 유지했다.

스시 24 501 - 503은 1985년에 폐차된 후에도 유치되어 있던 사시 481-67・75・76의 3량을 차적 부활한 후에 개조했다. 도색은 청색 20호로 변경되었고, 내한 내설 구조 강화, 세이칸 터널 통과에 따른 화재 대책, 회송 운전대 철거가 이루어졌다. 당초에는 홋카이도 내의 단체 열차에 사용되었으며, 국철 분할 민영화로 JR 홋카이도에 승계되었다.

1988년의 "호쿠토세이" 운행 개시 시에는 다이닝 내장의 그레이드 업과 식당 좌석 정원을 40명에서 28명으로 변경하는 등의 개조가 시행되었다. "호쿠토세이"용으로는 1989년까지 JR 동일본에서 504 - 507이, JR 홋카이도에서 508이 증비되었다.

2008년의 "호쿠토세이" 감편으로 JR 홋카이도 차량에 의한 운용이 폐지되었고, 508을 포함한 JR 홋카이도 차량은 전 차량 폐차되었다. 이 4량은 미얀마 국철에 양도되었다.

== 오하 24형 300번대로의 개조 (JR 큐슈) ==

JR 큐슈에서는 1990년 3월 개정부터 신오사카 - 니시가고시마 간 침대 특급 "나하"에 야행 고속 버스와의 경쟁을 위해 내장을 고급화한 좌석차 "레가토 시트" 차량을 투입하기로 결정하여, 사로481형 3량이 오하24형 300번대로 개조되었다. 차내는 3열 독립 리클라이닝 시트로 구성되었으며, 시트 피치는 1,160mm이다. 같은 개정에서는 교토 - 나가사키 간 침대 특급 "아카츠키"에도 14계 0번대를 개조한 오하14형 300번대의 "레가토 시트" 차량이 연결되었다.

"나하"는 2004년 규슈 신칸센 신야시로 - 가고시마중앙 간 개업에 따라 구마모토 종착이 되었으며, 오하24형 300번대는 2005년 10월의 "나하" "아카츠키" 병결 운전 개시와 함께 편성에서 제외되어, 2005년도 중에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 오하24 301은 태국 국철에 양도되어 A.P.V301이 되었다.

6. 2. 1. 181계로의 개조

1978년 10월 개정으로 조에쓰 특급 "도키"용 181계의 3MG화에 따른 편성 변경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MG·CP 부착 그린차는 485계 타입의 차체로 사로 181형 1000번대가 신제작되었지만, MP·CP가 없는 그린차는 신제작 대수를 억제하기 위해 기존 차량의 개조가 이루어져, 사로 481형 초기 차량 3량이 사로 181형 1050번대로 개조되었다。 점퍼 연결기나 덮개 틀, 건널판도 181계 사양으로 변경되었다。

편성 구성은 183계와 공통화되었다. 1982년 조에쓰 신칸센 개업에 따라 181계로서의 운용은 종료되었지만, 이 중 2량이 113계 그린차로 재개조되었다。

6. 2. 2. 183계, 189계로의 개조 (국철)

1978년 10월 개정에서는 183계에 의한 "도키"가 증편되었지만, 신제 차량 수를 억제하기 위해 사로481형에 인출선 설치 등의 개조를 실시하여 4량이 사로183형 1050번대에 개조되었다.또한, 신에츠 특급 "아사마" 계통의 증편에 대응하기 위해 사로481형 3량이 사로189형 50번대에 개조되었다.

1982년 11월 개정에서의 "아사마" 증편에서는, 도호쿠 특급에서 잉여가 된 485계가 전용되게 되어, 모하485・484형의 유닛이 모하189・188형에 편입되었다. 차체는 189계와 동 타입의 것이 신제되었으며、주 제어기 등도 189계와 동 타입이 되었다.

1985년 3월 개정 이후에는, 183계・189계의 특급 열차의 단편성 고빈도 운전화가 계획되게 되어, 필요하게 된 선두차가 사하481・489형의 선두차화 개조로 보충되었다. 마쿠하리 전차구의 183계에 의한 주오선 특급 "아즈사"는 1985년 3월 개정으로 나가노 운전소로 이관되게 되어, 사하489형 2량을 쿠하183형 100번대에, 사하481형 2량을 쿠하182형에 개조했다. 쿠하183형 1000번대 타입의 운전대를 접합하여, 운전대 직후에도 데크와 객실 출입문이 증설되었다. 선두차화 개조차는, 모두 기존의 객실 출입문의 스텝은 존치되었다.

1986년 11월 개정에서는 "아즈사"의 단편성화를 실시, 사하481형의 선두차화 개조차로서 쿠하183・182형 100번대, 사하489형에서 쿠하183형 150번대로의 개조차가 등장했다. 이 중, 쿠하183형 150번대는 183계 1000번대 타입이 아니라 485계 1000번대 타입의 운전대가 접합되었기 때문에, 전장이 250 mm 길어졌다.

같은 1986년 11월 개정에서 "아사마"가 단편성되었을 때, 사하481형 4량이 쿠하188형 100・600번대 각 2량으로 개조되었다.

국철 분할 민영화에서는 JR 동일본에 승계되었다. 사로183-1052・1053는 1988년에 그레이드업 개조와 동시에 사로481-98・112로 복원 시공되었다. 사로183-1051・1054는 1989년에 사하481-305・304로 개조, 사로189-51 - 53은 1989년에 사하481-306 - 308로 개조되었다.

6. 2. 3. 113계 그린차로의 개조



근교형 전동차 113계의 사로110형 0번대·1000번대 및 사로111형의 노후화 교체를 위해, 잉여가 된 사로481·489형을 근교형 사로110형으로 편입한 그룹이 1983년부터 1985년에 걸쳐 등장했다。분할 민영화 후에는 각 번대 모두 JR 동일본이 계승했다.

도카이도 본선 도쿄 지구에서는 1983년에 사로489형을 113계에 편입한 사로110형 350번대가 등장하여, 객실 출입문의 증설이나 스텝의 매립 등의 개조가 이루어졌다。그 외, 사로481형에서 개조된 사로181형 1050번대에서도 2량이 사로110형 300번대로 편입되었다.

1985년에는 요코스카·소부 쾌속선의 사로110형 1000번대 교체를 위해 사로489형·사로481형을 113계 1000번대에 편입한 사로110형 1350번대가 등장했다。

6. 2. 4. 스시 24형 500번대로의 개조 (국철)

1988년 3월 쓰가루 해협선 개통으로, 우에노 - 삿포로 간 침대 특급 호쿠토세이의 운행이 시작되기 전에, 국철 시대인 1987년에 사시 481형 3량이 24계 객차의 스시 24형으로 개조되어 스시 24 501 - 503이 되었다. 밀착 자동 연결기로의 교환, 브레이크 장치의 CL화, 인입 회로, 차체 색상의 변경이 시행되었지만, 차체의 기본 구조나 대차, 옥상 설비 등은 485계의 상태를 유지했다.

스시 24 501 - 503은 1985년에 폐차된 후에도 유치되어 있던 사시 481-67・75・76의 3량을 차적 부활한 후에 개조했다. 도색은 청색 20호로 변경되었고, 내한 내설 구조 강화, 세이칸 터널 통과에 따른 화재 대책, 회송 운전대 철거가 이루어졌다. 당초에는 홋카이도 내의 단체 열차에 사용되었으며, 국철 분할 민영화로 JR 홋카이도에 승계되었다.

1988년의 "호쿠토세이" 운행 개시 시에는 다이닝 내장의 그레이드 업과 식당 좌석 정원을 40명에서 28명으로 변경하는 등의 개조가 시행되었다. "호쿠토세이"용으로는 1989년까지 JR 동일본에서 504 - 507이, JR 홋카이도에서 508이 증비되었다.

2008년의 "호쿠토세이" 감편으로 JR 홋카이도 차량에 의한 운용이 폐지되었고, 508을 포함한 JR 홋카이도 차량은 전 차량 폐차되었다. 이 4량은 미얀마 국철에 양도되었다.

6. 2. 5. 오하 24형 300번대로의 개조 (JR 큐슈)



JR 큐슈에서는 1990년 3월 개정부터 신오사카 - 니시가고시마 간 침대 특급 "나하"에 야행 고속 버스와의 경쟁을 위해 내장을 고급화한 좌석차 "레가토 시트" 차량을 투입하기로 결정하여, 사로481형 3량이 오하24형 300번대로 개조되었다. 차내는 3열 독립 리클라이닝 시트로 구성되었으며, 시트 피치는 1,160mm이다. 같은 개정에서는 교토 - 나가사키 간 침대 특급 "아카츠키"에도 14계 0번대를 개조한 오하14형 300번대의 "레가토 시트" 차량이 연결되었다.

"나하"는 2004년 규슈 신칸센 신야시로 - 가고시마중앙 간 개업에 따라 구마모토 종착이 되었으며, 오하24형 300번대는 2005년 10월의 "나하" "아카츠키" 병결 운전 개시와 함께 편성에서 제외되어, 2005년도 중에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 오하24 301은 태국 국철에 양도되어 A.P.V301이 되었다.

6. 3. JR 각 사의 개조차



JR 동일본에서는 485계를 기반으로 다양한 조이풀 트레인을 개조하여 운행하였다. 이들 차량은 차체, 하부 장치 등을 개조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차체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조되었다.

2022년 12월 11일, 모든 조이풀 트레인 편성의 운행이 종료되었다.

JR 동일본은 신칸센 개업과 후계 차량 도입으로 485계의 수를 줄여왔다. 2017년에는 니가타역 - 이토이가와역 간의 쾌속 열차를 마지막으로 정기 운용을 종료했다.

2022년 4월 시점에서 차량 등록을 유지하고 있던 12량은 모두 조이풀 트레인이었으며, 다카사키 차량센터 소속의 "리조트 야마도리"와 "하나"였다. 이들 차량도 2022년에 운행을 종료하고 폐차되어, 485계는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는 481계, 483계를 포함하여 58년간 이어진 485계 전동차 역사의 종말을 의미한다.

6. 3. 1. JR 홋카이도의 개조차

1500번대의 본주(本州) 전출 후, 분할 민영화 직전에 다음 차량이 삿포로 운전소로 전입되어 JR 홋카이도에 승계되었지만, 영업 운전에는 투입되지 않고 다른 계열로의 개조 종차 혹은 폐차되었다.
\*\* 1987년 3월 27일에 아오모리 운전소에서 전입. 당초에는 차적 말소 후 레스토랑으로 전용한다는 계획도 있었지만, "호쿠토세이"(北斗星) 1왕복(3호, 4호)을 계절 열차에서 정기 열차로 격상할 때 식당차 조성이 필요하게 되어, 1989년에 묏포 공장에서 스시24 508로 개조되었다. 2008년 3월의 시간표 개정까지 운용되었고, 같은 해 4월 30일자로 폐차되었다.
\*\* 센다이에서 전입한 94를 제외한 5량은, 1986년 3월 31일에 일단 폐차 처리되었고, 국철 분할 민영화 직전인 1987년 3월 6일에 차적이 부활한 전 무코마치 운전소 소속 차량. 진위 여부는 불분명하지만 조이풀 트레인의 종차로 사용될 계획도 있었지만, 1990년에 전차 폐차되었다.

한편 영업 운전에서는, 세이칸 터널 개업 시에는 그때까지 아오모리 발착으로 되어 있던 도호쿠 신칸센 연락 특급의 일부를 하코다테까지 연장 운전하게 되어, 1987년 12월 6일부터 아오모리 - 하코다테 간에 1일 1왕복의 시운전을 시작했다. 터널이 개업한 1988년 3월 13일부터 2002년 11월 30일까지는 "하쓰카리"(はつかり)로, 그 이후에는 "하쿠초"(白鳥)로 JR 동일본 아오모리 차량 센터 소속의 쓰가루 해협선 주행 대응차가 진입했지만, 2016년 3월 26일의 홋카이도 신칸센 신하코다테호쿠토 개업에 따른 시간표 개정으로 "하쿠초"가 전폐되면서 본 계열의 운용은 종료되었다.

6. 3. 2. JR 동일본의 개조차



기준으로, 485-3000계 개조 차량은 2개 편성만 니가타 차량센터에 배치되어 니혼카이히스이선의 와 간의 쾌속 열차에 사용되었다.[3] 이 차량들은 2017년에 퇴역했으며, 2017년부터 2022년까지는 조이풀 트레인(Joyful Train) 편성만 운행되었다. 6량 편성의 편성은 다음과 같으며, 1호차가 이토이가와 방면에 위치한다.[3] 마지막 485-3000계 열차는 운행이 중단되었다.

차량 번호123456
형식Thsc'M'MM'MTc
차량 번호KuRoHa 481-30xxMoHa 484-30xxMoHa 485-30xxMoHa 484-30xxMoHa 485-30xxKuHa 481-30xx



JR 동일본에서는 485계를 기반으로 다양한 조이풀 트레인을 개조하여 운행하였다. 이들 차량은 차체, 하부 장치 등을 개조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차체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조되었다.

2022년 12월 11일, 모든 조이풀 트레인 편성의 운행이 종료되었다.

JR 동일본은 신칸센 개업과 후계 차량 도입으로 485계의 수를 줄여왔다. 2017년에는 니가타역 - 이토이가와역 간의 쾌속 열차를 마지막으로 정기 운용을 종료했다.

2022년 4월 시점에서 차량 등록을 유지하고 있던 12량은 모두 조이풀 트레인이었으며, 다카사키 차량센터 소속의 "리조트 야마도리"와 "하나"였다. 이들 차량도 2022년에 운행을 종료하고 폐차되어, 485계는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는 481계, 483계를 포함하여 58년간 이어진 485계 전동차 역사의 종말을 의미한다.

6. 3. 3. JR 서일본의 개조차

1988년 3월 개정으로 호쿠리쿠 특급 '호쿠에츠'를 기존 7량 편성에서 6량 편성(가나자와 운전소 O편성)으로 단축하게 되어, 1988년에 사로489형 5량을 스이타 공장에서 선두차 개조하여 크로480형 1000번대로 구분되었다. 종차가 사로489형 1000번대이기 때문에 210kVA의 MG 및 CP를 탑재하는 외에, 대차는 TR69H를 장착한다. 0번대와 마찬가지로 전위 측 화장실・세면소 구획을 대차 프레임째로 잘라내고 새로 별도 제조된 운전대를 접합한 외에, 후위 측에 차장실・차판 준비실 외에 전화실을 설치한다.

크로480-1002는 1991년에 '카가야키', '키라메키'용 그린차로 크로480-2301로 개조되었다. 남은 차량은 2004년 '카에츠', '시라사기' 통합 및 683계화로 잉여가 되어 폐차되었다.
사로489-101


「슈퍼 라이초」용 파노라마 그린차 크로481-2101로의 개조가 예정되어 있던 사하481-118에 MG를, 사로481-2006에 CP를 공급하기 위해, 1988년에 사로489-1004에 마쓰토 공장에서 철거 공사를 시행했다. 사로489형 1000번대는 본 차량을 제외하고 모두 제어차 개조가 시행되었기 때문에 신제작 당시의 차체를 유지하는 유일한 차량이다.

개조 후에도 계속 신제작 배치인 가나자와 운전소에서 「시라사기」, 「카에츠」, 「호쿠에츠」 등에 투입되었지만, 681계 전동차・683계 전동차로의 대체로 운용에서 이탈하여 2003년에 폐차.

JR 서일본에서는 1988년 3월 13일 다이어 개정으로 운전을 시작한 호쿠리쿠 본선 특급 「かがやき(카가야키)」「きらめき(키라메키)」용으로 485계의 그레이드 업 개조차가 투입되었다。 가나자와 운전소 S편성에 시공한 전용 도색화 및 내장을 디럭스화하는 개조 공사이다.

개조 내용은 상술한 카미누마타이 운전구 시공차와 거의 동일하지만, 「かがやき(카가야키)」「きらめき(키라메키)」투입차는 당초 보통차만으로 전차량 지정석이었던 점. 또한 병행하는 호쿠리쿠 자동차도고속버스에 대항하는 관점에서 시트 피치를 1,010mm로 확대했지만, 창틀 간격은 종래대로이므로 좌석 배치와 창틀 간격이 일치하지 않는 구획이 존재하는 외에, 객실 창의 상방 확대는 미시공으로 디지털 시계 내장 안내 표시기가 칸막이 문 상부에는 벽면에 설치되었다는 차이점이 있다.

「かがやき(카가야키)」「きらめき(키라메키)」용 S편성도 1990년 이후에 크로480-2301・크로481-2201・2300번대 등의 개조 그린차를 조합했지만[55], 이쪽은 좌석 바닥면의 높이 올리기는 미시공 및 오디오 패널은 미장비이며, 크로480-2301을 제외하고 시트 피치는 1,180mm이다[56]

S편성 투입차는 1997년에 일부가 「하쿠타카」용 V편성이 됨과 동시에 「카에츠」용 K편성으로 전용되었지만, 모두 2003년까지 가나자와에서의 운용을 종료. 일부는 교토 종합 운전소로 전출되어 「라이초」등으로 운용되어, 2011년 8월까지 폐차되었다.

|thumb|급행 "노토"의 미니 라운지 (2004년)]]

1989년에 가나자와 운전소 소속으로 "하쿠산"용 H편성 6호차에 조성된 모하489-18 - 21에 차량 번호는 변경하지 않고 마쓰토 공장에서 다음과 같은 개조를 실시했다.
편의점 영업은 "하쿠산"에서만 이루어졌으며, 다른 열차에서는 전적으로 차내 판매의 기지로 사용되었다.

1997년에 H편성 1편성이 줄어 18이 파동 수송 대응용 Z01편성으로 전용되었지만 1998년에 폐차되었다. 나머지 3량은 1997년의 "하쿠산" 폐지 후에도 계속 H편성에 조성되어 "노토"에서 운용되었지만, 편의점 영업이 종료되었기 때문에 냉장 케이스와 상품 진열 선반을 철거하고 청량 음료 자동 판매기를 설치했다. 2010년 운용 종료 후 2012년까지 폐차되었다.

|thumb|200px|right|쿠하481-122
키하65형 연결 개조차]]

1986년 12월부터 오사카 - 와쿠라온천간에 키하65형 개조차인 키로65형에 의한 임시 특급 "유우토피아 와쿠라"가 운행을 시작했는데, 가나자와 이서 구간은 "라이초"에 무동력으로 견인되는 방식이 채택되었다. 키로65형은 밀착 연결기로 교체되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무코마치 운전소 소속의 쿠하481형 200번대 · 300번대 차량으로 한정 운용되었지만, 보닛 차량의 배치가 많았기 때문에 1989년 3월 이후 운용상의 제약을 피하기 위해 동 소속의 쿠하481-101 · 103 · 105 · 106 · 111 · 112 · 118 - 123에 전차의 연결기 교환 및 제어 회로용 KE70형 점퍼 연결기 장비 등을 시공한 개조이다[57]

덧붙여, 본 개조는 JR동일본 가쓰타 전차구 0번대 차량 2개 편성 연결 운전 대응 개조와의 차이점으로서, 방향 전환을 고려하여 양쪽 渡り(와타리, 건넘) 구조를 채용했지만, 본 계열만으로 분할 병합 운용에 대응시킬 목적은 없기 때문에, 고압 삼상 인사용 KE9형 점퍼 연결기는 장비하지 않는다.

호쿠리쿠 특급에서는 1989년 3월 11일 다이어 개정으로 「슈퍼 라이초」의 운행이 시작되면서 설비를 일신한 전용 편성이 485계의 개조로 투입되었다。파노라마 그린차와 라운지 딸린 그린차 연결, 일반차 지정석의 높이 올림과 시트 간격 확대 등 등급 향상, 호코 선에서의 최고 속도 130km/h 운전으로 소요 시간 단축이 도모되었다。도장은 오이스터 화이트(백색)를 베이스로 JR 서일본의 코퍼레이트 컬러인 청색 띠 위에 핑크색 가는 띠를 두른 전용색으로 변경되었다。편성은 가나자와 운전소의 R 편성이 되었다.

파노라마 그린차의 크로481형 2000·2100번대는 중간차의 선두차화 개조로 운전대가 접합되었고, 좌석은 2 + 1열의 3열 배치로 되어 좌석부 바닥면 높이 올림과 객실 창 상부 확대를 시공했다。라운지 딸린 그린차의 사로481형 2000번대는 「라이초」의 일본풍 그린차 「단란」으로부터의 개조차로, 반실을 파노라마 그린차와 같은 타입의 그린석, 나머지 반실을 라운지로 했다。일반차 지정석도 「카가야키」 「키라메키」와 같이 시트 간격 확대를 비롯한 등급 향상이 이루어졌으며, 자유석차도 리클라이닝 시트화되었다。또한, 각 차 모두 팔걸이에 오디오 패널을 장비했다。

운용 개시 당초에는 7량 편성으로 시작했지만, 이용이 좋아 9량 편성으로 증차되어 1991년 2월까지 9량 편성 5본이 등장했다。같은 해 9월의 나나오 선 전철화까지는 쿠하481형 200번대를 연결하는 기본 7량 편성 6본, 선두차화 개조된 쿠모하485형 200번대를 연결하는 부속 3량 편성 7본이 준비되었다。기본 7량 편성이 나나오 선 와쿠라온천행의 경우, 부속 3량 편성은 가나자와역에서 분할 병합하여 도야마 방면행이 되었고, 도야마 지방철도로의 직통 운전도 이루어졌다。

1995년 4월에는 681계 「선더버드」와 편성을 맞추기 위해 오사카 방면이 파노라마 그린차가 되도록 방향 전환되었고, 같은 해 10월의 「시라사기」 분할 병합 운행 개시로 「슈퍼 라이초」 중 3편성이 10량 고정 편성이 되었다。이에 따라 10량 고정 편성에는 사로481형을 「슈퍼 라이초」 일반차 지정석 사양으로 개조한 사하481형 500번대가 묶여 있다。

2001년 3월 3일 다이어 개정에서의 683계 투입으로 「슈퍼 라이초」는 「선더버드」에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라운지 딸린 그린차는 폐차되었고, 파노라마 그린차 외 일부가 「시라사기」용으로 리뉴얼되어 전용되었다.

1989년 호쿠리쿠 특급 "슈퍼 라이초" 운행 개시에 따라, 해당 열차에 투입되는 가나자와 운전소 R 편성의 도야마 방면 선두차에 전면 전망을 즐길 수 있는 파노라마 그린차를 연결하게 되었다.서일본 여객철도 스이타 공장에서 사로489형 1000번대 · 사하481형 100번대에 실시한 선두차화 및 그레이드 업 리뉴얼 개조이다.

전면은 낮은 운전실의 유선형으로 하였고, 대형 곡면 유리를 통해 전면 전망을 가능하게 했다. 전등 · 미등은 전면 유리 하부에 나란히 모아 케이스 내에 설치했으며, 전면 유리 내부 상단에도 전등을 2기 탑재했다. 차내의 그린석은 전망을 고려하여 시트의 헤드레스트 부분이 소형화되었으며, 이후 JR 서일본의 파노라마형 전망차의 기초가 되었다.

시트는 승객용 출입구에서 운전석을 향해 통로를 사이에 두고 왼쪽이 2석, 오른쪽이 1석의 2+1 배치로 하였으며, 시트 피치는 1,160mm로 12열 배치했다. 바닥면을 150mm 높이고, 창문을 위로 76mm 확대했다. 또한, 차장실을 객실화하고, 차내 판매 준비실을 양식 화장실 · 세면소로 개조했다. 도색은 측면의 청색 띠와 적색 띠가 정면까지 감싸는 사양이었지만, 단기간 내에 승무원 출입구 부근과 라이트 케이스 주변에서 띠를 분단하는 사양으로 변경했다. 2000번대에서는 종차의 MG는 계승했지만, CP는 인접한 라운지 부착 그린차인 사로481형 2000번대로 이설되었다.

2101은 종차가 사하481형-118이 되기 위한 구분으로 창문 배치 · 차체 길이 · 탑재 기기 배치 · 대차 형식이 다르다. 차내 판매 준비실을 객실화하고, 화장실은 양식으로 하는 등 리뉴얼되었다. 개조 종차는 MG · CP를 철거했지만, 이 개조 시에 사로489형-1004에서 떼어낸 출력 210kVA의 MG가 바닥에 재설치되었다. 그 외의 점은 양 번대에서 공통된다.

2001년 "슈퍼 라이초" 폐지 후에는 도색 변경과 내장 리뉴얼을 실시하여 2001년 7월 12일부터 "시라사기"에 전용되었다. "시라사기" 전용 시에 사로481형 2000번대가 폐차되었기 때문에 이후에는 차후에 CP 탑재 개조를 시공한 모하485형 500번대 + 모하484형 유닛을 연결하는 것이 한정되었다.

2003년 7월 19일에 "시라사기"도 683계로 대체되었기 때문에 교토 종합 운전소로 전출. 구 국철색으로 도색 변경하여 "라이초"용 A01 - A06 편성에 조성되어 2001년 9월 20일부터 2011년 3월 11일까지 운용된 후, 전 차량 폐차되었다.
|thumb|200px|right|사로481-2005]]

JR 서일본에서는 1989년과 1991년에 스이타 공장에서 화식 그린차 "단란"의 사로481형 500번대 중 6량이 "슈퍼 라이초"용 라운지룸이 있는 그린차로 재개조되어 사로481형 2000번대가 되었다。 개조에서는 종차의 반실을 그린석, 다른 반실을 편의점 라운지로 하고, 그린석 측을 동시 개조의 파노라마 그린차 크로481형과 연결했다。

그린석은 "단란" 시대의 화실을 철거하고 시트 피치 1,180mm의 2 + 1 배치 리클라이닝 시트를 6열 배치하고, 바닥면을 150mm 높여 창문을 위쪽으로 확대했다。 식당차 시대부터의 외매달이식 업무용 문은 계속 존속시켰지만, 승객용 문 및 화장실・세면소는 장비하지 않았다.

"단란" 시대의 뷔페를 편의점 라운지로 변경하고, 라운지에는 프리 공간과 뷔페 코너를 설치했다。 라운지부는 1위측・3위측은 대형 소파를 コの자 모양으로 배치, 2위측・4위측은 사시481형 시대의 통로 창으로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등받이가 없는 마루 벤치 모양의 소파를 세로로 3석 배치하고 창 아래에 긴 테이블을 설치했다. 낙성 직후의 색조는 버블기를 반영하여 벽면은 흰색, 좌석은 옅은 보라색을 기조로 했지만, 후년에 갈색을 기조로 한 차분하고 안정된 일본풍 분위기로 변경되었다.

뷔페 카운터부를 매점으로 하고, 상품 진열대・주스 쿨러・냉장 쇼케이스 등을 설치, 냉장고 및 전자레인지도 장비했다. 또한, 바닥면은 로운텍스를 시공한 후 타일 카펫을 깔았다. 객실에 이어지는 측창 1구획은 매립하고 칸막이벽・비디오 데크 & 모니터 텔레비전 기기실・카드식 공중 전화실을 설치했다.

업무용실은 측창 매립이 이루어졌지만, 사시481형 시대에 설치되어 있던 처면의 회송 운전대용 창은 존속했다. 또한, 크로481형에는 측면 방향막을 탑재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 방향막을 신설했다. 또한, 1989년 개조의 2001-2004에서는 차량 단부의 손잡이 철거와 움푹 들어간 곳의 메움도 이루어졌지만, 1991년에 추가 개조된 2005・2006은 손잡이를 잔존시켰다.

그린차 측의 반실을 파노라마 그린차와 연결하기 위해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바닥 밑의 70 kVA의 MG를 철거하고 CP가 이전되었다。 CP는 대부분 파노라마 그린차의 종차에서, 사로481-2006에서는 사로489-1004에서 이전되었다。

2001년의 "슈퍼 라이초" 폐지 후에는 "시라사기"로의 전용 대상에서 제외되어 폐차되었다。 CP는 모하485형 500번대로 재이전, 대차는 새로 개조되는 사하481형 600번대・700번대로 전용되었다.
|200px|thumb|right|크로481-2201]]

|200px|thumb|right|크로481-2303]]

1990년부터 "카가야키"와 운용이 분리되었던 "키라메키"도 1992년 3월 14일의 시간표 개정으로 단일 클래스 4량 → 6량 그린차 조립 편성으로 공통 운용화되면서, 쿠하481형 200·300번대에 대한 그린차 개조가 마쓰토 공장·스이타 공장에서 실시되었다. 쿠하481형 200번대에서 개조된 차량이 2200번대, 쿠하481형 300번대에서 개조된 차량이 2300번대로 구분되었다.

개조 내용은 양쪽 번대 공통으로, 바닥면을 50mm 높이고, 좌석은 2+1 배치 12열로 변경되어 정원은 36명이다. 화장실과 세면실이 리뉴얼되었으며, 측면 방향막은 객실 창문 위로 이전되었다.

1997년 "카가야키"·"키라메키" 폐지와 호쿠에쓰 급행호쿠호쿠선 개업으로 인해, 2302·2303은 "하쿠타카"용 V편성으로, 2201·2301은 국철 특급색으로 변경되어 "카에츠"·"호쿠에츠"로 전용되었다. 2002년 "하쿠타카" 681계화 이후 2302·2303의 2량도 "카에츠"용 K편성으로 전용되었다.

2003년 "카에츠"의 "시라사기" 통합과 683계화로 인해 2201은 폐차되었고, 2300번대는 3량 모두 교토 종합 운전소의 "라이초"용 A편성의 비 파노라마 그린차 편성에 편입되었다. 2009년에 3량 모두 산인 특급용 183계로 개조되어 소멸되었다.
2301은 1991년에 "카가야키"용 S편성에 그린차를 조립하기 위해 구리타 공장에서 개조되어 쿠로480-1002를 쿠로480형 2300번대로 전용했다. 쿠로481형 2300번대와 마찬가지로 좌석 배치를 2+1로 변경하고 바닥을 50mm 높였으며, 화장실 및 세면실을 리뉴얼하여 해당 부분의 작은 창문을 막고, 차장실 및 차내 판매 준비실을 철거한 후 방향막을 객실화된 부분의 객창 상단으로 이전하는 등 등급을 향상시켰다.

"카가야키", "키라메키" 폐지 후 "카에츠"로 전용되었고, "카에츠" 폐지 후 교토 종합 운전소로 이적하여 "선더버드"용 A10편성에 편성되었지만, 2010년 4월 30일자로 폐차되어 폐지되었다.
|thumb|200px|right|쿠모하485형 200번대]]

1991년 나나오선 전철화에 따라 "슈퍼 라이초"는 기본 7량, 부속 3량의 10량 편성으로 구성되면서, 3량 편성의 부속 편성용 선두차로 모하485형을 선두차로 개조한 쿠모하485형 200번대가 등장했다。 스이타・마쓰토 양 공장에서 개조를 실시했다.

개조에서는 전방의 화장실과 세면실을 철거하고, 절단면이 평평하고 관통문이 1개인 낮은 운전대가 설치되었다. 지정석 사양으로 좌석 바닥면을 70mm 높이고, R55계 프리 스톱 리클라이닝 시트를 1,010mm 간격으로 배치하여 정원은 60명이다。 후방 차단에는 전화실과 차내 판매 준비실이 설치되었다。

쿠하의 MG가 고장나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비상용 소형 SIV인 SC16이 설치되었다。 전방 측 대차는 종차의 DT32E형에 수동 브레이크 장치와 스노우 플로 등을 부착한 WDT32형으로 변경되었다.

1995년 부속 편성 방향 전환 시 205가 운용에서 제외되어 휴차되었다. 1997년에는 201・203・204는 "시라사기" 증결차로 전용되어 전기 연결기를 장착했다. 2001년 편성 변경 시에는 유닛을 구성하는 모하484형이 재편성되었으며, 2003년까지 운용되었다. "슈퍼 라이초"용으로 남은 202・206・207은 2001년 운용 종료 후 휴차되었다.

2003년에 205는 폐차되었고, 보류차를 포함한 잔존 차량 6량은 산인 본선 특급용으로 쿠모하183형 200번대로 개조되었다.
|thumb|200px|right|사하481-501
「시라사기」색]]

「시라사기」용 부속 편성을 마련하기 위해 「슈퍼 선더버드」용 편성 3개가 10량 관통 고정 편성으로 개조되면서, 1997년에 사로481형에서 가나자와 종합 차량 사업소에서 개조되었다. 외관은 종차와 큰 차이가 없지만, 등급 향상으로 지정석 차량이 되면서, 바닥면을 70mm 높인 후 시트 피치를 1010mm로 함으로써 창 배치와 좌석 간격이 일치하지 않게 되었다.

2001년에 「시라사기」로 전용되었고, 2003년에 교토 종합 운전소로 전출되어 「선더버드」에서 운용되었지만, 2011년까지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
1997년 10월 개정으로 「시라사기」의 분할 병합 운전이 시작되면서, 「슈퍼 라이초」 편성의 쿠모하485형 200번대를 포함한 차량이 전용되어, 3량 부속 편성 3개와 4량 기본 편성 4개가 분할 병합용으로 조성되었다. 「슈퍼 라이초」에서 전용된 차량은 재전환되어 정방향으로 복귀되었으며, 쿠모하를 포함한 분할 병합 측 선두부에는

6. 3. 4. JR 큐슈의 개조차

1987년 - 1988년에 JR 큐슈 고쿠라 공장에서 총 13량이 개조되었다. 종차는 1 - 8이 관통형 200번대, 9 - 13이 비관통형 300번대이지만, 번호에 따른 구분 없이 0번대의 연번이다. 그린석은 3열 × 5석이다.

1993년에 크로하481-1이 쿠하481-226으로 복원되었다. 2000년에 9 - 13이 폐차되었다. 남은 차량도 2012년까지 폐차되었다.

1987년 - 1988년에 일본국유철도 고쿠라 공장에서 크로480형으로 앞쪽 그린차 좌석 5열을 남기고 뒤쪽을 보통차로 개조한 그룹이다. 52는 1992년에 크로480-12로 복원되었다. 51은 2001년에 폐차되었다.

1989년 4월부터 485계 특급 "아리아케"와 키하183계 1000번대 "오란다무라 특급"의 완전 협조 운전을 시작했다.[61] 협조 운전을 한 것은 모지코 발 하행 "아리아케 11호"뿐이며, 상행은 단독 운전이었다.[61] 당초에는 기동차가 선두인 편성으로 모지코 - 하카타 간에서 병결했지만, 1990년 3월 개정부터는 전동차를 선두로 하여 병결 구간도 모지코 - 토스 간으로 연장되었다.[61]

전동차 특급 "하우스텐보스"의 운행 개시에 따라, "오란다무라 특급"은 1992년 3월 개정으로 운행을 종료했다.[61] 키하183계 1000번대는 "유후인의 숲 II세"로 개조되었다.

JR 큐슈가 783계 이후의 신형 차량과의 격차 해소를 목적으로 1989년 이후에 시행한 아래의 개조이다.

; 차체

; 기기

; 차내

; 선두차

본 개수는 최종적으로 6종류의 도장 바리에이션으로 하여 JR 큐슈 소속 전차에 시행되었다.

{{vertical images list

|폭=200px

|1=JRKyushu485 KamomeExpress.jpg

|2=KAMOME EXPRESS

|3=MidoriExpress Ec485.jpg

|4=MIDORI EXPRESS

|5=JRkyushu485Nichirin.jpg

|6=RED EXPRESS

|7=JRKyushu EC485 HuisTenBosch 199404.jpg

|8=HUIS TEN BOSCH
1994년 이후의 배색

|9=JR九州 485系 きりしま・ひゅうが.jpg

|10=KIRISHIMA & HYUGA

|11=JRkyushu-kuha481-256.jpg

|12=KIRISHIMA EXPRESS

}}

; KAMOME EXPRESS

; MIDORI EXPRESS

; RED EXPRESS

; HUIS TEN BOSCH → KIRISHIMA & HYUGA

; KIRISHIMA EXPRESS

; 구 국철색

クロ481-301


1990년에 JR 큐슈 고쿠라 공장이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에 배치된 쿠하481-243에 실시한 전실 그린차 개조로 1량만 구분되었으며, 개조 시공 후 가고시마 운전소에 배치되었다.

개조로 인해 출입구 앞쪽에 승무원실을 증설했기 때문에 승강문 옆의 창문이 2분할되어 있으며, 시트 간격 확대에 따라 창문 배치가 일치하지 않는 것 외에도 좌석은 낙성시 일반적인 2+2 배치였으나 1991년 이후에 실시된 2+1의 3열 배치로 업그레이드되었다.

1995년 4월 20일 시간표 개정으로 "니치린" 운용이 종료되고 "키리시마" 전용이 되었을 때 그린차 연결을 중단했기 때문에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로 전출되었다. 같은 구역에 배치된 크로480형과 "니치린", "카모메"에서 공통 운용되었지만, 2000년 3월 11일 시간표 개정으로 같은 구역의 전실 그린차 운용 종료에 따라 2000년 3월 31일자로 폐차 및 폐구분 번대가 되었다.

1992년 - 1994년에 가고시마 차량소・고쿠라 공장에서 하우스텐보스 편성용으로 모하485형 6량을 전장 해제하여 사하481형으로 개조했다.[68] 차량 번호는 형식만 변경했다. 2000년까지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

JR 큐슈(JR九州)에는 485계 324량이 계승되었으며, 미나미후쿠오카·가고시마에 이어 오이타 철도 사업부 오이타 차량센터에도 배치되었다. JR 큐슈에서는 내외장의 리뉴얼이 적극적으로 실시되어, 코퍼레이트 컬러인 빨간색을 베이스로 한 도색의 시리즈가 등장했다.

783계나 787계·883계·885계 등 신형 특급형 전동차의 증비에 따라, 말년의 485계는 닛포 본선 로컬 특급용 69량이 오이타 차량센터와 가고시마 종합 차량소에 남게 되었다. 그 후 "니치린", "키리시마", "휴가" 등에서 운용되었지만, 2011년 3월 12일 규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전선 개업에 따른 다이어 개정으로 잉여가 된 783계·787계 등으로 대체되어 정기 운용이 종료되었고, 파동 수송 대응이 되는 일부 차량을 제외하고 폐차되었다. 2016년 10월 2일자로 쿠하 481-256이 폐차되어, JR 큐슈에서는 전폐되었다.

또한, JR 큐슈에서는 1990년대 이후, 편성 번호를 부여할 때 계열 고유 알파벳과 차량 기지 고유 소문자 알파벳에 일련의 숫자를 조합하여 표시하고 있으며, 본 계열을 나타내는 D와 소속 기지에서 다음 3종류가 존재했다.

6. 4. 타 계열로의 개조 (JR 각 사)

6. 4. 1. 스시 24형 0번대로의 개조 (JR 서일본)

스시24형 0번대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용 식당차


JR 서일본에서는 1988년에 사시481·489형 3량이 24계 객차의 스시24형으로 개조되어, 스시24 1 - 3이 되었다。개조 내용은 국철 시대의 스시24 501 - 503과 동일하지만, 식당의 창문은 높이가 낮아졌다. 스시24 1·2는 사시489형 초기 차량에서 개조되었기 때문에 냉방 장치가 버섯형 커버의 AU12였고, 스시24 3은 1986년에 폐차된 사시481-52를 차적 부활하여 개조했다。

1988년에 다카토리 공장에서 개조 후, 미야하라 객차구(후의 미야하라 종합 운전소)에 배치되었다. 개조 초창기에는 "비와호 한바퀴 미식 열차" 등 단체 열차에 사용되었고, 일반 24계와 같은 도색이었지만, 1989년에 운행을 시작한 오사카 - 삿포로 간 침대 특급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용으로 정비되어, 도색도 녹색으로 변경되었다。

2015년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운용 종료 후에는 투어 열차에 사용되었지만, 2017년 3월까지 폐차되었다. 스시24 1은 교토 철도 박물관에서 전시 보존되고 있다.

6. 4. 2. 스시 24형 500번대로의 개조 (JR 동일본, JR 홋카이도)



1988년 침대 특급 "호쿠토세이" 운행 개시에 맞춰, JR 동일본에서는 사시481·489형을 개조한 스시24형 3량을 투입했다. 차량 번호는 JR 홋카이도 승계 차량 3량에 이어 스시24 504 - 506이 되었다.

1989년에는 JR 동일본에서 507, JR 홋카이도에서 508이 증비되었다. JR 홋카이도 차량은 501 - 503을 포함하여 삿포로 운전소에, JR 동일본 차량은 오쿠 객차구에 배치되었다. 504 - 506의 식당 정원은 당초 40명이였지만, "호쿠토세이" 운행 개시까지 JR 홋카이도의 501 - 503을 포함하여 28명으로 변경했다.

2008년 "호쿠토세이" 감편으로 508을 포함한 JR 홋카이도 차량 4량이 폐차되어, 각 차량 모두 미얀마 국철에 양도되었다. 이후에는 JR 동일본 차량만 운용되었지만, 2015년 "호쿠토세이" 폐지로 운용을 종료했다. 2020년 현재에는 보류 차량이지만 스시24 506이 차적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차량이 보존 또는 양도되었다.

스시24 504는 사이타마현 가와구치시 히가시카와구치 "퓨어 빌리지 히가시카와구치"에서 레스토랑으로 영업[69][70][71], 스시24 505는 이바라키현 지쿠세이시 "더 히로사와 시티"에서 전시 보존되었다.

6. 4. 3. 183계 800번대로의 개조 (JR 서일본)



1986년에 운행을 시작한 후쿠치야마선·산인 본선 특급 "기타킨키"에서는 485계가 전선 직류 구간을 운행했지만, 1991년 나나오선 직류 전철화에 의해 113계에 485계의 교류 기기를 전용하여 교·직류화한 415계 800번대가 나나오선에 투입되면서 "기타킨키"용 485계의 교류 기기가 철거되어 183계 800번대가 되었다。

이 그룹은 1990년부터 1991년에 걸쳐 36량이 개조되었으며, 교류 기기 철거 등의 개조가 실시되었다。 증결용 유닛의 일부는 485계로 존치되었다。 인출선 등의 차이로 인해 기존 183계와 연결 운행은 불가능하다. 도장은 국철 특급색이지만, 후에 실시된 객실 설비 개량 이후에는 창 아래에 빨강 2호의 가는 띠가 들어갔다。

1996년에는 산인 본선 소노베 - 후쿠치야마 간, 그리고 기타킨키 탄고 철도미야후쿠선·미야즈선의 후쿠치야마 - 미야즈 - 아마노하시다테 간이 전철화되면서, 485계 개조 183계 편입차가 42량 증비되었다。모두 호쿠리쿠 특급에 681계 투입에 따른 잉여차의 전용으로, 직류화 개조와 함께 리뉴얼 공사도 실시하여, 도장도 베이지에 창 주위가 갈색이고 창 아래에 코퍼레이트 컬러의 파란 띠가 들어가는 것으로 되었다。

2003년에는 산인 본선·마이즈루선 계통에서 전철 특급의 분할 병합을 실시하게 되어, 전 "시라사기" "카가"용 485계의 쿠모하 485형 200번대 등 20량이 183계에 편입되었지만, 교류 기기의 철거는 이루어지지 않고 사용 정지되었다。

2009년에는 "기타킨키" 계통용 183계에 ATS-P 설치 공사에 따른 예비차를 확보하기 위해, 683계 증비로 잉여가 된 전 "선더버드"용 485계 비 파노라마 편성이 183계에 편입되어, 6량 편성 3본이 증비되었다。 교류 기기가 존치되어 있으며, 도장도 "선더버드" 시대와 같은 국철 특급색으로 창 아래의 가는 띠는 없다。

2011년부터 287계의 신제 투입이 시작되어, "기타킨키"의 열차명은 "고노토리"로 개칭되었다. 2012년부터 전 "구로시오"용 381계가 전입했고, JR 서일본의 183계는 2013년에 운용을 종료했다.

7. 보존

2016년 10월 기준으로, 485계 전동차 5량이 다음과 같이 보존되어 있다.[4]


규슈 철도 역사 박물관에 보존된 쿠하 481 603

7. 1. 정태 보존

2016년 10월 기준으로, 485계 전동차 5량이 보존되어 있다.[4]

그림차량 번호소재지최종 배치・경위
150px
쿠하481-26
모하484-61
사이타마현사이타마시오미야구오오나리초 3-47
철도 박물관
가쓰다 차량 센터 K26(훈련차) 편성에 조성.
2007년 폐차 후 코리야마 종합 차량 센터에서 정비 후 반입.[263] 개관 시부터 전시.
|150px]]
쿠하481-1508니가타현니가타시아키하구 닛쓰히가시마치 2-5-6
니가타시 닛쓰 철도 자료관
니가타 차량 센터 T18 편성에 조성.
2015년 7월 폐차 후 반입.[176]
|150px]]
쿠하489-501이시카와현고마쓰시 도이하라마치 772
도이하라 보닛 광장
가나자와 종합 차량소 H01 편성 오사카・우에노 방면 선두차.
2012년 6월 1일 폐차 후 고마쓰시로 양도.
2013년 4월부터 고마쓰역 근처의 현재 위치에서 보존.[264][265][266]
|150px]]
쿠하489-1교토부교토시시모교구 간키지초
교토 철도 박물관
가나자와 종합 차량소 H01 편성 니가타 방면 선두차.
2015년2월 10일 가나자와 종합 차량소에서 반출.[267] 2월 13일 폐차. 개관 시부터 전시 보존.
|150px]]쿠하481-603후쿠오카현기타큐슈시모지구 기요타키 2-3-29
규슈 철도 기념관
1995년에 미나미후쿠오카 전차구를 폐차 후에도 고쿠라 공장에 유치.
2003년에 수복 이전하여 개관 시부터 전시 보존.
|150px]]
쿠하481-246가고시마 종합 차량소 Dk01 편성에 조성.
2013년 폐차 후 전두부만 보존.
RED EXPRESS색으로 운전실 내부에 들어갈 수 있다.
|150px]]
쿠하481-256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고쿠라키타구 가네다 3-1-1
고쿠라 종합 차량 센터
오이타 차량 센터 Do32 편성에 조성.
2016년 10월 2일 폐차와 동시에 전시 보존.[268]


7. 2. 보관・전용차

2016년 10월 기준으로, 485계 전동차 5량이 보존되고 있다.[4]

485계 식당차는 대부분 전용 후 사업 종료, 폐점, 토지 재개발, 노후화 등의 이유로 해체되었으며, 현존하는 것은 사시 481-48 1량뿐이다. 이 차량은 1988년경 이와테현 모리오카시립 오타 스포츠 센터 옆에서 찻집으로 전용되었다가 1990년대 후반 폐점 후 창고로 이용되고 있다. 창문 유리 파손 및 도색 박리 등 상태가 좋지 않지만, 2024년 2월 이시카와현 고마츠시로 이송될 예정이다.

다음은 해체된 차량들이다.

이 외에도 485계에서 개조된 스시 24형 객차 중 스시 24-504가 사이타마현 가와구치시에서 레스토랑으로, 스시 24-1이 교토부 교토시 교토 철도 박물관 전시물로 이용되고 있다.

8. 각주

참조

[1] 서적 Jēāru zensharyō handobukku: Rail Magazine 2009 Neko Publishing 2009
[2]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6-06-20
[3] 서적 Jr電車編成表 Kotsu Shimbunsha 2016-05-20
[4] 서적 国鉄&jr 保存車大全 2015-2016 Ikaros Publications Ltd. 2014-11-25
[5]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6-10-03
[6] 웹사이트 485系の定期運用が終了する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7-03-05
[7] 문서 1961年以降製造の151電動車ユニットは、将来の交直流化改造を想定して台枠強化ならびに主電動機に[[脈流]]対策を施したMT46B形搭載で落成した。
[8] 문서 483系はモハ483・482、485系はモハ485・484の中間電動車のMM'ユニットのみの製造となった。その後、国鉄時代の先頭車化改造においてクハ480形・クロ480形を、分割民営化後にJR東日本がジョイフルトレイン化改造においてクハ485形・クハ484形を制式化した。
[9] 문서 交互点滅灯もしくはウインカーランプとも呼称
[10] 문서 「つばさ」盛岡編成から独立させ別愛称への変更。
[11] 문서 日本では、1968年(昭和43年)の「[[カネミ油症事件]]」をきっかけに、1972年(昭和47年)に[[行政指導]]という緊急避難的な措置として製造・輸入・使用が原則として中止され、翌1973年(昭和48年)には、[[化学物質の審査及び製造等の規制に関する法律]]を制定(発効は1975年〈昭和50年〉)し、法的に禁止された。PCBを含む廃棄物は、国の具体的対策が決定するまで使用者が保管することが義務付けられたが、電気機器等については[[耐用年数]]を迎えるまで使用が認められたことから、PCBを含む機器所在や廃棄物絶対量の把握が曖昧なものとなった。
[12] 문서 クハ481-204は分割民営化直前の1987年2月にクロハ481-214へ改造されJR西日本に承継。1990年6月にはクロハ183-801へ再改造された。同車は踏切事故復旧時に前面貫通扉を埋込んでいるが、スカートには電気連結器装着時代の痕跡が確認できる。
[13] 문서 分割民営化後に西日本・九州所属車の一部に電気連結器・自動解結装置を装着した車両が存在する。
[14] 문서 冬期は屈指の豪雪地帯である奥羽本線は列車が遅延することも多く、分割・併合運用では他列車への影響も問題視されたためとも言われている。
[15] 문서 車両側には装置および汚物タンクを搭載するが、当時は地上側処理施設の整備が遅れていたため完成までは配管をタンクに接続せず流し管を別に設置し線路上に汚物を垂れ流す方法がとられた。
[16] 문서 旭川電化当時の駅名の読みはあさひ'''が'''わ。このため側面方向幕に記載される旭川の英字表記はFOR '''ASAHIGAWA'''とされた。
[17] 간행물 クハ481-1508が国鉄特急色に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08-08
[18] 문서 扉に設置されたヒーターにより雪はいったん溶けたものの、走行中に冷やされ再度凍り付き客用扉を固着させるため、次駅までの20分 - 30分間に凍結する問題への対策として、湯の入った大型[[やかん]]をいくつも用意し扉に湯を掛けて氷を溶かしたという
[19] 웹사이트 485系「いろどり(彩)」が改番される https://railf.jp/new[...] 交友社 2024-03-16
[20] 웹사이트 485系K60編成が郡山総合車両センターへ https://railf.jp/new[...] 交友社 2024-03-16
[21] 문서 1976年製造の1000番台車は「つばさ」用として秋田運転区に投入されたが、国鉄の予算名目上は長崎本線・佐世保線電化用名義で製造された。なお、長崎本線・佐世保線の特急には暫定的に「つばさ」に使用されていた200番台車を南福岡電車区に転属させて使用した。
[22] 문서 本番台区分の給電制御変更機能は、クハ481形・サロ481形に対応するものであり、通常は自車給電のみとなるサシ481形の制御は考慮されていない。したがってサシ481形のMGに異常が発生し使用不能となった場合は同車の三相回路配電盤を手動で切替てサロ481形からの給電となる。
[23] 문서 当初は向日町に配置されたため、送り込みを兼ねた共通運用とされた。
[24] 문서 このため車両番号に付く横軽対策車を示す「●」マークを車両検査時に省略した車両も存在した。
[25] 문서 169系での総括制御は165系との混結ではKE64形ジャンパ連結器2基で、169系単独で協調制御も行う場合はKE70形ジャンパ連結器を用いた方式を採用。
[26] 문서 解放テコ部分を切り欠いた連結器カバーを装着して落成しており、製造直後や21世紀になってからの[[リバイバルトレイン]]でも装着されて運用された実績がある。
[27] 문서 編成間総括制御用とは回路構成が異なることから別途装備する必要があり、当然ながら両者の相互連結制御は不可である。
[28] 문서 1974年から1976年頃にかけてクハ489-503はスカートが本来のクリーム4号ではなく、クハ181形同様グレーに塗られていた時期がある。
[29] 문서 名目上は、1972年11月25日より急行「妙高」1往復の運転区間延長を兼ねた格上げである。
[30] 문서 モハ489・488-7 - 9・クハ489-3・503・サロ489-5・8・サシ489-102
[31] 문서 クハ481形300番台初落成車を含む。
[32] 문서 1986年にはサシ489形が余剰廃車となったが、[[減価償却]]資産の耐用年数等に関する大蔵省令第15号に定められた鉄道用車両における電車の償却年数である13年に満たない期間での廃車である。
[33] 문서 横軽区間用KE64形ジャンパ連結器も残存。
[34] 문서 クハ481形200番台同様に貫通幌を外付けで取付けることは可能だが、この場合は必然的に貫通幌が剥き出しの状態となる。また、このケースでの営業運転実績は無い。
[35] 문서 [[国鉄キハ181系気動車|キハ181系気動車]]で運用されていた「つばさ」は基本7両+付属4両の11両編成とされたが、編成中間のキハ181形は立体型特急マークが貫通路構成時に通行支障をきたすことから同様例として取り外された。そのため、「つばさ」基本7両編成の間合い運用で運転される「あおば」では、秋田方キハ181形の特急マークが外された状態とされた。なお、分割併合運転が多数存在した[[国鉄キハ80系気動車|キハ82系]]で運用されていた列車に関しては、このような措置は採られていない。
[36] 문서
[37] 문서
[38] 서적 鉄道ジャーナル 鉄道ジャーナル社 1986-09
[39] 문서
[40] 문서
[41] 간행물 鉄道ファン 1989-04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문서
[46] 논문 東日本旅客鉄道向け 485系リニューアル車用補助電源装置 https://dl.ndl.go.jp[...] 東洋電機製造 1997-04
[47] 뉴스 485系R27編成の「はくたかエンブレム」が消える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1-06-21
[48] 웹사이트 485系の定期運用が終了する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7-03-04
[49] 웹사이트 ありがとう485系R編成がラストラン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7-03-20
[50] 웹사이트 485系3000番台R26編成が長野へ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7-03-14
[51] 웹사이트 485系R28編成が長野へ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7-04-05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58] 간행물 鉄道ファン 1998-10
[59] 문서
[60] 문서
[61] 문서
[62] 문서
[63] 뉴스 485系Dk9編成が国鉄色に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0-08-08
[64] 문서
[65] 문서
[66] 문서
[67] 웹사이트 485系Do32編成がラストラン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5-10-19
[68] 문서
[69] 간행물 【復活】ブルートレイン「北斗星」の食堂車両レストランを東川口にオープン http://entabe.jp/pre[...] ピュアフードプランニング 2016-04-06
[70] 웹사이트 グランシャリオ オープニングセレモニーのお知らせ http://www.pure-home[...] ピュアホームズ 2016-04-26
[71] 웹사이트 グランシャリオ オープニングセレモニー開催! http://www.pure-home[...] ピュアホームズ 2016-05-01
[72] 문서 ジパング改造時には改番されず。
[73] 문서 ジパング改造時には改番されず。
[74] 문서 一方の当該車である189系はグレードアップ編成であったことと先頭車のみが軽度の損傷であったため修復を行うが、冬期シーズン・長野オリンピック・新幹線開業を控えた時期に2編成が使用不能となり「あさま」充当用編成が不足したことから、先頭車とMM'ユニット1組は長野所属車、グリーン車とMM'ユニット1組は松本運転所(現・[[松本車両センター]])所属車でN401編成を組成し対応した。
[75] 간행물 鉄道事故調査報告書 https://www.mlit.go.[...] 航空・鉄道事故調査委員会 2008-04-02
[76] 문서 当該編成は先頭から クハ481-3506・モハ485-3018・モハ484-3018・モハ485-3044・モハ484-3044・クロハ481-3010 の順で組成。全車両が脱線した。
[77] 웹사이트 JR東日本「事故の歴史展示館」拡充、京浜東北線川崎駅事故の実物も https://news.mynavi.[...] 2018-10-03
[78] 문서 183系200・700・800番台への改造車は福知山電車区に配置。特急網「[[北近畿ビッグXネットワーク]]」で運用された。
[79] 문서 日蓮正宗が創価学会を破門したために全面的に廃止。
[80] 문서 ただし787系の転属措置と運用の都合から改正当日の一部列車は鹿児島総合車両所の本系列5両編成で運転された。
[81]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1978年10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82]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1982年11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83]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1985年3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84]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1965年10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85] 문서 「やまばと」山形編成は10日間単独運転の後9月27日から本系列での運転を開始。
[86]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1968年10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87]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1969年10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88]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1970年7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89]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1970年10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90] 문서 ただし1往復は583系を充当
[91]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1972年3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92]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1973年1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93] 문서 回送線自体の廃止はそれから10年後の1983年である。
[94]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1973年10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95]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1974年4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96]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1975年3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97] 문서 充当期間中は幕張車両センターに貸し出し名義となる。なお、2008年以降は幕張配置の183系や[[松本車両センター]]配置の[[JR東日本E257系電車|E257系0番台]]が投入される。
[98] 웹사이트 485系「あかべぇ」編成が国鉄特急色に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1-06-03
[99] 웹사이트 快速“あいづライナー”,485系国鉄色編成で運転開始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1-06-05
[100] 웹사이트 253系1000番代 〈日光〉〈きぬがわ〉への導入延期 http://rail.hobidas.[...]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1-03-24
[101] 웹사이트 “あいづライナー”に485系ラッピング車両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2-02-27
[102] 웹사이트 485系快速「あいづライナー」運転取りやめに https://news.mynavi.[...] 2015-01-04
[103] 보도자료 インターネット限定旅行商品のお知らせ 国鉄型特急車両485系特急車両 http://www.jr-sendai[...] 東日本旅客鉄道仙台支社 2016-04-27
[104] 문서 キハ80系広域転配の関係から本系列化は9月27日に実施。
[105]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1972年10月号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06] 문서
[107]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72-06
[108] 문서
[109] 문서
[110] 문서
[111] 간행물 新幹線連絡特急の50年〔東日本編〕 2014-12
[112] 문서
[113] 문서
[114] 간행물 新幹線連絡特急の50年〔東日本編〕 2014-12
[115] 문서
[116] 문서
[117] 문서
[118] 간행물 JR東日本車両詳報 車両追跡 第14回「2018年冬」 http://secure.ikaros[...] イカロス出版
[119] 간행물 JR東日本車両のうごき(平成30年10月分) https://railf.jp/jap[...] 交友社
[120] 간행물 JR東日本車両のうごき(平成30年11月分) https://railf.jp/jap[...] 交友社
[121] 간행물 JR旅客会社の車両配置表 http://railf.jp/japa[...] 交友社
[122]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75-11
[123] 간행물 キハ80系から400系へ “つばさ”30年のはばたき 1992-07
[124] 간행물 キハ80系から400系へ “つばさ”30年のはばたき 1992-07
[125] 간행물 キハ80系から400系へ “つばさ”30年のはばたき 1992-07
[126] 뉴스 「こまち」似の美人です かもしか1号衣替え 男鹿、五能線の車両も 読売新聞 1997-11-13
[127] 문서
[128] 웹사이트 “つがる”51号に「かもしか」色の485系 http://railf.jp/news[...] 2010-12-13
[129] 문서
[130] 문서
[131] 문서
[132] 문서
[133] 간행물 鉄道ファン 交友社 1991-08
[134] 간행물 鉄道ファン 交友社 1993-12
[135] 간행물 鉄道ファン 交友社 1993-04
[136] 문서
[137] 문서
[138] 문서
[139] 문서
[140] 문서
[141] 문서 いわき駅 - 仙台駅間の新設特急に転用される予定であったが、福島第一原子力発電所事故により計画が白紙となり余剰となった。
[142] 뉴스 485系K40編成が郡山総合車両センターへ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3-01-17
[143] 간행물 JRグループ 車両のデータバンク 2018上半期 https://railf.jp/jap[...] 交友社
[144] 간행물 JR東日本車両詳報 車両追跡 第13回 http://secure.ikaros[...] イカロス出版
[145]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85-11-01
[146] 문서 クハ481-21・23・27・28・29・30・102
[147] 문서 クハ481-22・25 モハ485+484-14・20・57 サロ481-1056 このうちMM'ユニットの57が返却されずに廃車。
[148] 간행물 RailMagazine ネコパブリッシング
[149] 문서 改造種車は旧T4編成に組成されていたサロ481-107および1996年5月に南秋田から転入したMM'ユニット3組とクロハ481形1000番台2両をクハ481形に復元して充当した。
[150] 문서 9両編成は指定日のみ充当。非充当の場合は「はくたか」運用車は金沢滞留とし、「北越」運用は6両編成の新潟滞留車を充当。
[151] 간행물 RailMagazine ネコパブリッシング
[152] 문서 改造種車は旧T3編成に組成されていたサロ481-106およびMM'ユニットとクハ481形が1996年に南秋田から転入した1030ならびに勝田から転入した1011を充当。
[153] 문서 1002はグリーン室定員12名・普通室定員は44名。1023はグリーン室定員16名・普通室定員36名。秋田配置車は両グループが一部共通運用される反面で新潟配置車はグリーン室定員16名に統一されていたための車両交換である。
[154] 간행물 鉄道ファン 交友社
[155] 문서 クハ481-332・333・1011は勝田所属時に下り方に組成されていたことから、2編成併結改造で制御回路用KE70形ジャンパ連結器栓受けを装備したほか、同様に勝田から転入したものの上り方に組成されていて栓受けを装備しないクハ481-349も含みひたち色へ塗替をした際に愛称幕上部の特急エンブレムを取り外しており、本センター転入後に上沼垂色へ塗装変更後も復元は未施工。
[156] 문서 脱着可能であり、T18・R26・R27編成も代走時には装着して充当された。
[157] 문서 「ムーンライトえちご」が定期運行されていた時期は首都圏側停泊中に車両故障が発生すると予備車を新潟から回送あるいは運休させるしか対処法がなかったが、2007年2月2日下り「ムーンライトえちご」に充当予定のT18編成が大宮総合車両センター車両検査科東大宮センターから回送中に車両故障を起こした際には、急遽同センターの183系1000番台OM102編成代走となった。なお、同編成はモノクラスのため本来グリーン車利用客に対してグリーン料金の払戻しとグレードアップ車である3号車の同番号席に、3号車の指定券を持っていた乗客は1号車の同番号席への振替が行われた。
[158] 문서 ただし、首都圏内の列車無線が完全デジタル化された2010年7月以降は装置未搭載のR26・R27編成は充当されない。
[159] 문서 金沢方クハ481形はクロハ481形へ改造。MM'ユニットは、7・8号車がカット。2・3号車は4・5号車へ、5・6号車は2・3号車へ組成。
[160] 문서 A9編成に組み込まれていたモハ485・484-3068と車両交換。また、A9編成で転属対象から外れたモハ485・484-3081は増結用ユニットに転用。
[161] 문서 「くびき野」に投入される2編成は新井で運用終了となるが、夜間滞留は2本とも直江津で行うためにそのうち1編成は送り込みを兼ねた(新井行1328M・直江津行1351Mの1往復)普通列車に投入される。もう1編成は回送で運転。
[162] 문서 主に大宮総合車両センター常駐で幕張車両センター所属のマリ31・32編成が投入された。
[163] 뉴스 “ムーンライトえちご”,183系で運転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0-03-20
[164] 문서 このため「能登」が運転されない日はいずれかの編成が尾久車両センターに終日滞留となりホームライナー運用に投入された。ただし「能登」が運転されない期間が長期化した際の検査スケジュールや車両故障発生の場合は、回送もしくは配給列車により編成の入替が行われた。
[165] 문서 塗装が国鉄色であることから、同一装備を持つT18編成と共にJR東日本管内で運転されるリバイバルトレインなどのイベント列車に充当されることも多い。
[166] 뉴스 快速“おはよう信越”運転開始 https://railf.jp/new[...] 2012-03-19
[167] 뉴스 特急“いなほ“485系の定期運用終了 http://railf.jp/news[...] 交友社 2014-07-13
[168] 간행물 交友社
[169] 간행물 交友社
[170] 문서 夏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www.jreast.co[...] JR東日本プレスリリース 2014-05-23
[171] 문서 K2編成は秋田総合車両センターへ、K1編成は長野総合車両センターへ回送され廃車。
[172] 웹사이트 JR東日本・えちごトキめき鉄道ダイヤ改正 - 485系快速列車、運転取りやめに https://news.mynavi.[...] 2016-12-16
[173] 웹사이트 「ありがとう485系国鉄色号」運転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5-05-31
[174] 문서 当初はT17編成を付番。また、クロハ481形が青森方にクハ481形が金沢方に組成されていたことから、方向転換の上で再組成しT15編成へ再付番。2001年3月3日にT18編成へ再々付番された。
[175] 문서 T18・K1・K2編成に組成される車両は、元々は秋田運転区で上野発着「つばさ」と共通運用の「あいづ」に充当されていた9両編成×3本に組成されており、両列車では首都圏乗入対策からATS-Pを搭載していた。1992年7月1日のダイヤ改正で両列車廃止に伴い青森運転所へ転出し急行「津軽」への充当な波動輸送対応へ転用の際に車内減光装置を搭載。1993年10月以降にMM'ユニット1組とサロ481形をカットした6両編成へ再組成され、クハ481形1000番台をクロハ481形へ改造。新潟転出によりクロハ481形とクハ481形の方向転換を実施し連結位置を逆転させた。
[176] 뉴스 クハ481-1508が新津鉄道資料館へ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交友社 railf.jp鉄道ニュース 2015-07-13
[177] 웹사이트 新潟車両センター485系T18編成が秋田へ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5-08-11
[178] 웹사이트 JR東日本・えちごトキめき鉄道ダイヤ改正 - 485系快速列車、運転取りやめに https://news.mynavi.[...] 2016-12-16
[179] 문서
[180] 간행물 鉄道ダイヤ情報 交通新聞社 2015-09
[181] 웹사이트 485系R22編成が長野総合車両センターへ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5-06-18
[182] 웹사이트 485系R23編成6両が長野総合車両センターへ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5-09-09
[183] 뉴스 『終幕 NO.DO.KA』運転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交友社 railf.jp鉄道ニュース 2018-01-07
[184] 뉴스 新潟の展望車形ジョイフルトレイン「NO.DO.KA」が上京 引退の旅路 https://trafficnews.[...] 2018-01-10
[185] 서적 JR電車編成表 ジェー・アール・アール、交通新聞社 2018
[186] 간행물 新潟・庄内の食と景観を楽しむ列車「海里(KAIRI)」デビュー http://www.jrniigata[...] 東日本旅客鉄道 2018-10-16
[187] 웹사이트 えちご発鉄の細道 きらきらうえつから海里へ https://www.niigata-[...] 新潟日報モア 2019-08-29
[188] 뉴스 JR東「きらきらうえつ」廃車へ 国鉄485系、残り少なく https://this.kiji.is[...] 共同通信社 2018-11-13
[189] 간행물 ラストランに向けてカウントダウン!きらきらうえつの旅をお楽しみください https://www.jrniigat[...] 東日本旅客鉄道 新潟支社 2019-03-28
[190] 뉴스 さよなら、きらきらうえつ 最終列車 雄大な日本海を見せ続けた18年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09-29
[191] 뉴스 ありがとう「きらきらうえつ」 定期運行が終了 新潟駅 https://www.hokuriku[...] 北陸新幹線で行こう!北陸・信越観光ナビ(新潟日報) 2019-09-30
[192] 뉴스 きらきらうえつ 営業運転終了 https://www.tetsudo.[...] 2019-09-26
[193] 뉴스 485系「きらきらうえつ」がラストラン https://railf.jp/new[...] 2019-12-16
[194] 서적 JR電車編成表 ジェー・アール・アール、交通新聞社 2020
[195] 문서
[196] 간행물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64-12
[197] 논문 日本海縦貫線 485系電車特急のあゆみ【国鉄編】 2011-04
[198] 간행물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66-10
[199] 논문 新幹線連絡特急の50年〔西日本編〕 2014-11
[200] 간행물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70-03
[201] 간행물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71-07
[202] 문서
[203] 간행물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72-11
[204] 간행물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72-05
[205] 간행물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73-06
[206] 간행물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74-05
[207] 문서
[208] 논문 特急『雷鳥』の46年 2011-04
[209] 간행물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81-05
[210] 논문 日本海縦貫線 485系電車特急のあゆみ【国鉄編】 2011-04
[211] 서적 鉄道ピクトリアル 2011年4月号 電気車研究会
[212] 논문 「特急『雷鳥』の46年」 鉄道ピクトリアル 2011-04
[213] 문서
[214] 웹사이트 485系もとA07編成,183系となり福知山へ http://railf.jp/news[...] 交友社 railf.jp 2009-10-18
[215] 웹사이트 もと“雷鳥”用485系が“北近畿”用183系に http://railf.jp/news[...] 交友社 railf.jp 2009-12-14
[216] 서적 JR電車編成表 2010夏 交通新聞社
[217] 간행물 Rail Magazine 2010年12月号(No.327)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18] 서적 『JR電車編成表』2012冬 交通新聞社 2011
[219] 서적 JR電車編成表 2021夏 交通新聞社 2021-05-24
[220] 웹사이트 白田切川土石流災害復旧治山事業の概要 https://www.rinya.ma[...] 林野庁関東森林管理局 2016-11-08
[221] 문서
[222] 문서
[223] 문서
[224] 문서
[225] 문서
[226] 문서
[227] 논문 日本海縦貫線 485系電車特急のあゆみ【JR編】 鉄道ピクトリアル 2011-05
[228] 서적 よみがえる485系
[229] 논문 「特急『雷鳥』の46年」 鉄道ピクトリアル 2011-04
[230] 논문 「特急『雷鳥』の46年」 鉄道ピクトリアル 2011-04
[231] 문서
[232] 논문 485・489系電車の現況 JR西日本金沢総合車両所 鉄道ピクトリアル 2001-08
[233] 논문 485・489系電車の現況 JR西日本金沢総合車両所 鉄道ピクトリアル 2001-08
[234] 논문 485・489系電車の現況 JR西日本金沢総合車両所 鉄道ピクトリアル 2001-08
[235] 논문 日本海縦貫線 485系電車特急のあゆみ【JR編】 鉄道ピクトリアル 2011-05
[236] 문서
[237] 뉴스 【JR西】489系H01編成使用の団臨 ほぼ1年ぶりに運転 http://rail.hobidas.[...] 鉄道ホビダス ネコ・パブリッシング RMニュース 2012-04-16
[238] 뉴스 【JR西】489系H01編成使用の団臨 その後 http://rail.hobidas.[...] 鉄道ホビダス ネコ・パブリッシング RMニュース 2012-04-20
[239] 문서
[240]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84-02
[241] 문서
[242] 문서
[243] 서적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76-07
[244] 논문 新幹線連絡特急の50年〔西日本編〕 鉄道ピクトリアル 2014-11
[245] 문서
[246] 문서 当初はDE10 1755に国鉄特急色へ塗装変更し専従とした。
[247] 간행물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87-03
[248] 문서 485系電車・12系客車も電源電圧は三相交流440{{nbsp}}Vであり、スハフ12形に搭載されるディーゼル発電機の容量は0番台で180{{nbsp}}kVA、100番台で210{{nbsp}}kVAであり、自車を含み6両分の供給容量がある。
[249] 간행물 JR編集 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87-06
[250] 문서 「KIRISHIMA & HYUGA」塗装車が竣工する12月までは暫定措置として一切のレタリングなどを隠して運行。
[251] 문서 DK10編成は大分のDo21編成からMM'ユニット2組を外した編成。クハ481-213は最後まで残存したRED EXPRESS色。
[252] 문서 DK12編成は2006年9月17日に発生した[[JR日豊本線脱線転覆事故]]により被災したが、2006年12月に復旧したクロハ481-4と大分車両センターの波動用MM'ユニットを組込み運用に復帰した。
[253] 웹사이트 485系DK11編成が小倉総合車両センターへ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2-03-13
[254] 웹사이트 ニコニコ超会議でJR九州485系「公開解体」、激安レア部品の数々にどよめき https://news.mynavi.[...] 2012-04-29
[255] 웹사이트 485系Do2編成が小倉総合車両センターへ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4-11-07
[256] 웹사이트 485系国鉄色5連が“にちりん”で小倉へ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0-12-30
[257] 간행물 交通公社の時刻表 日本交通公社出版事業局 1980-07
[258] 문서 2020年現在で「くろしお」に充当される[[JR西日本287系電車|287系]]・[[JR西日本289系電車|289系]]は振子機能は未搭載であるが、加減速性能向上ならびに低重心設計による曲線通過速度を本則+10 - 15 km/の設定とされていることなどから、和歌山 - 白浜間を本系列よりも約10分早く走行している。
[259] 문서 その後全車が他区所へ転出か、交流機器を撤去または使用停止にして183系電車に改造されたために485系としての配置は既にない。
[260] 뉴스 新車両が4日運行開始 JR・東武直通特急 記念品プレゼントも http://www.shimotsuk[...] 2011-05-26
[261] 문서 「白鳥」「いなほ」のマークは新規に作成され、「ひばり」「やまびこ」のマークは仙台運転所のものと共通で使用したが、「はつかり」のマークは毛筆で手書きしたものだった。
[262] 문서 前者は譲渡元である[[西武鉄道]]での再利用。後者は標準軌車両で機器流用そのものに難があった。
[263] 문서 クハ481-17から移植。
[264] 웹사이트 クハ489-501の補修プロジェクトが完了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7-03-21
[265] 웹사이트 原型ボンネット復元お披露目撮影会開催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7-03-27
[266] 웹사이트 クハ489の屋根を補修|特急あずさやかもめ時代を再現し後世へ繋ぐ https://readyfor.jp/[...] 2023-11-08
[267] 웹사이트 クハ489-1が配給輸送される https://railf.jp/new[...] 交友社 2015-02-12
[268] 웹사이트 クハ481-256が小倉総合車両センターで保存される https://railf.jp/new[...] 2016-10-03
[269] 뉴스 「白鳥」最後の食堂車が小松へ 愛好者団体が盛岡から移送 https://www.hokkoku.[...] 2024-02-03
[270] 웹사이트 吹田総合車両所が一般公開される https://railf.jp/new[...] 交友社
[271] 간행물 鉄道ファン 1987-03
[272] 간행물 鉄道ファン 1988-07
[273]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 1997-05
[274] 문서 따라서 483계는 모하 483.482,485계는 모하 485.484의 MM'유닛만 제조했다. 그러나 국철시대의 선두차화 개조에서 쿠하 480형·쿠로 480형이다. 분할 민영화 이후 JR동일본이 죠이풀 트레인화 개조에서 쿠하 485형·쿠하 484형을 제식화했다.
[275] 문서 교대 점멸등 또는 신호등이라고도 호칭.
[276] 문서 공통 운용인 '하쿠타카'를 포함한다.
[277] 문서 일부 차량의 좌석은 키하58계 죠이풀 트레인 '라쿠타'로 전용되었다.
[278] 문서 '쓰바사' 모리오카 편성에서 독립된 애칭으로 변경.
[279] 문서 1968년 '가네미 유증 사건'을 계기로 1972년의 생산·사용 중단 등의 행정 지도를 거쳐 1974년에 제조 및 수입이 원칙 금지되었다.
[280] 문서 MM'유닛 62-96·쿠하 481-105-126·사하 481-14·사로 481-36-51·스시 481-29-39가 해당.
[281] 기타
[282] 기타
[283] 기타
[284] 기타
[285] 기타
[286] 기타
[287] 기타
[288] 기타
[289] 기타
[290] 기타
[291] 기타
[292] 기타
[293] 기타
[294] 기타
[295] 기타
[296] 기타
[297] 기타
[298] 기타
[299] 기타
[300] 기타
[301] 기타
[302] 웹인용 485계 K60편성이 고리야마 종합 차량 센터로 http://railf.jp/news[...] 2015-02-08
[303] 기타
[304] 기타
[305] 기타
[306] 기타
[307] 기타
[308] 기타
[309] 기타
[310] 기타
[311] 기타
[312] 기타
[313] 기타
[314] 기타
[315] 기타
[316] 정보
[317] 정보
[318] 정보
[319] 정보
[320] 정보
[321] 정보
[322] 정보
[323] 정보
[324] 정보
[325] 정보
[326]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